$\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마른 체형 소아에 대한 성장증보탕(成長增補湯)의 체중개선 효과
The Weight Gain Effects of Sungjangjeungbo-tang (Ch$\\acute{e}$ngzh$\\check{a}$ngz$\\bar{e}$ngb$\\check{u}$-tang) on Thin Korean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3 no.2, 2012년, pp.180 - 187  

김기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준석 (BOM 한의학 연구소)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봉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eight gain effects of the Sungjangjeungbo-tang (Ch$\acute{e}$ngzh$\check{a}$ngz$\bar{e}$ngb$\check{u}$-tang) on thin Korean preschool children. Methods : Sungjangjeungbo-tang is composed of 9 herb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위허약에 사용하는 평위산, 내소산, 육군자탕 등 한약처방의 복용을 통해 식욕부진을 개선하고 소화기능을 도와 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체중 개선 효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검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5~6년간 본원에서 비위허약에 사용되는 기존 처방과 약재를 근거로 구성된 성장증보탕을 처방받은 마른 체형 소아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성장증보탕의 체중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체중개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석대상으로 소아환자들이 만족해야 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1)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를 기준으로 BMI 백분위 50 percentile 미만인 경우 2) 성장증보탕을 처방받아 1~3개월 지속적으로 복용한 경우 3) 신장, 체중 자료가 복용 직전 1회 및 복용기간 중 1회 이상 있는 경우 4) 의무기록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자가 동의한 경우
소아에서의 저체중은 무엇인가? 소아에서의 저체중은 BMI 백분위 5 percentile 미만으로 정의된다 1,2 . 저체중은 영양섭취부족이나 영양실조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마른 체질 (constitutional thinness or leanness)처럼 유전적인 요인이나 특별한 질병 없이 나타나기도 하며 3 , 5 percentile 미만인 저체중에 속하지는 않더라도 자녀의 성장속도에 관심이 많은 부모들의 경우 병원에 내원하여 체중개선과 관련된 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 시절의 저체중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유ㆍ소아기는 근육, 골격과 여러 기관의 성장, 발달 및 활동량의 증가로 인해 에너지와 영양소 필요량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로 비록 저체중에 해당하지는 않더라도 마른 체형의 유ㆍ소아들은 열량 및 영양소 섭취 부족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어 장기적으로 체력 저하, 면역력 저하 및 성장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 또한 어린 시절의 저체중은 성인에서의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5 , 2011년 Zheng W. 등 6이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7개국 19개 코호트로 구성된 114만명의 대규모 아시아 성인들을 9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BMI 17.5 이하에서 사망확률이 1.85배, BMI 15.0 이하에서 사망확률이 2.8배 증가하여 비만한 경우보다 저체중에서 오히려 사망 확률이 더 높았다. 따라서 성장 초기 단계에 있는 저체중의 유ㆍ소아 뿐만이 아니라 마른 체형의 유ㆍ소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성인에서의 저체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mmittee on Physical Status.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1995;854:1-452. 

  2. Kuczmarski RJ, Ogden CL, Guo SS, Grummer-Strawn LM, Flegal KM, Mei Z, et al. 2000 CDC growth charts for the United States: methods and development. Vital Health Stat 2002;(246):1-190. 

  3. Tounian P, Dumas C, Veinberg F, Girardet JP.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substrate utilisation rate in children with constitutional leanness or obesity. Clin Nutr 2003;22(4):353-7. 

  4.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 생애주기영양학. 경기도: 교문사; 2007, p. 207-14. 

  5. Pimenta AM, Beunza JJ, Sanchez-Villegas A, Bes-Rastrollo M, Martinez-Gonzalez MA. Childhood underweight, weight gain during childhood to adolescence/young adulthood and incidence of adult metabolic syndrome in the SUN(Seguimiento Universidad de Navarra) Project. Public Health Nutr 2010;17:1-8. 

  6. Zheng W, McLerran DF, Rolland B, Zhang X, Inoue M, Matsuo K, et al. Association between Body-Mass Index and Risk of Death in More Than 1 Million Asians. NEJM 2011;364:719-29. 

  7. Thakwalakwa C, Ashorn P, Phuka J, Cheung YB, Briend A, Puumalainen T, et al. A lipid-based nutrient supplement but not corn-soy blend modestly increases weight gain among 6-to 18-month-old moderately underweight children in rural Malawi. J Nutr 2010;140(11):2008-13. 

  8. Jilcott SB, Ickes SB, Ammerman AS, Myhre JA. Iterativ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upplemental feeding program for underweight children ages 6-59 months in Western Uganda. Matern Child Health J 2010;14(2):299-306. 

  9. Maleta K, Kuittinen J, Duggan MB, Briend A, Manary M, Wales J, et al. Supplementary feeding of underweight, stunted Malawian children with a ready-to-use food.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4;38(2):143-5. 

  10. Bekem O, Buyukgebiz B, Aydin A, Ozturk Y, Tasci C, Arslan N, et al. Prokinetic agents in childen with poor appetite. Acta Gastroenterol Belg 2005;68(4):416-8. 

  11. Diehl LW. Treatment of underweight and appetite loss with antiallergic agent cyproheptadine. Ther Ggw 1971;110(5):741-2. 

  12. Hermans W. Clinical evaluation of buclizine for underweight patients. Brux Med 1971;51(4): 295-8. 

  13. Doshi JC, Vaidya A, Gudibanda KK, Gupta KC, Karandikar PV, Sheth UK. Methandienone-an anabolic agent in underweight healthy subjects. Indian J Med Sci 1966;20(10):674-6. 

  14. Watson RN, Bradley MH, Callahan R, Peters BJ, Kory RC. A six-month evaluation of an anabolic drug, norethandrolone, in underweight persons. I. Weight gain. Am J Med 1959;26(2): 238-42. 

  15. Mulhausen W. The effects of vitamin T Goetsch in underdeveloped and underweight adolescents. Monatsschr Kinderheilkd 1953;101(1):13-4. 

  16. 김호철. 한약약리학. 경기도: 집문당; 2008, p. 215, 216, 266, 283, 286, 429, 441. 

  17. Khasnutdinova SL, Grjibovski AM. Prevalence of stunting,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in adolescents in Velsk district, north-west Russia: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both international and Russian growth references. Public Health 2010;124(7):392-7. 

  18. de Onis M, Onyango AW, Borghi E, Siyam A, Nishida C, Siekmann J. Development of a WHO growth reference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Bull World Health Organ 2007; 85(9):660-7. 

  19. Talley NJ, Quan C, Jones MP, Horowitz M. The association of upper and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symptoms with body mass index in an Australian cohort. Neurogastro Motil 2004;16: 413-9. 

  20. Tack J, Piessevaux H, Coulie B, Caenepeel P, Janssens J. Role of impaired gastric accommodation to a meal in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1998;115(6):1346-52. 

  21. 김종윤, 이진용, 윤상협. 기능성 소화불량증 患兒의 위전도에 대한 內消和中湯의 效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2):199-213. 

  22. 이준석, 윤상협, 김진성, 류봉하. 흰쥐의 胃排 出能에 대한 半夏瀉心湯의 效能.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471-9. 

  23.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김진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반하사심탕 엑기스제의 임상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2):329-36. 

  24. 한숙영, 윤상협, 김진성, 류봉하. 이진탕(二陳 湯)이 정상 및 위 유문부가 부분폐색된 흰 쥐의 위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1):107-18. 

  25. 원종만, 윤상협. 김진성, 류봉하. 육군자탕(六君 子湯)이 흰쥐의 위(胃) 배출능(排出能)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2):242-9. 

  26. 김진석, 윤상협. 내소산(內消散)의 정상 및 위 유문부 확장 흰 쥐의 위 운동성에 대한 효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1):117-29. 

  27. 남효익, 김회영, 손현수, 임성우. 정전가미이진 탕(正傳加味二陳湯)이 흰쥐의 위배출능(胃排 出能)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28(2):209-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