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모유수유 교육 방법에 따른 초산모의 모유수유 적응, 태도 및 실천효과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75 - 84  

연승은 (서울여성병원) ,  이혜경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ividual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on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in primipara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출산 후 모든 임산부들이 필수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산후집단교육을 통한 이론적 내용의 학습과 더불어 개별모유수유 교육을 통해 모유수유의 적응, 태도, 실천율을 높여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산후 모유수유 교육방법 중 집단교육과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이 산모의 산후 모유수유 적응, 모유수유 태도,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이 집단 모유수유 교육보다 모유수유 적응에 더 효과적이었다.
  • 본 연구는 산후 모유수유 교육에 있어서 집단교육과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이 초산모의 산후 적응, 태도 및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교육방법의 접근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모유수유 적응, 태도, 실천에 있어서 집단교육보다 집단교육 후 개별모유수유 교육이 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모유수유 교육방법에 따른 모유수유 적응, 태도,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후 집단 모유수유 교육과 집단교육 후 개별모유수유 교육방법에 따른 초산모의 모유수유 적응과 태도 및 실천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집단교육을 통한 일반적인 모유수유에 대한 내용전달로는 직접적인 아기와의 수유시범과 개인의 특성에 따른 유방의 상태를 점검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개인적인 모유수유의 문제점에 따른 접근이 어려운 실정인 반면, 개별 교육을 통해서는 산후 초기에 모유수유를 시도하면서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의 유방을 사정하여 적절한 모유수유 방법을 제공하여 조기에 문제를 확인한 후, 그에 따른 개별적인 교육, 지도, 관리를 함으로써 수유문제를 줄이고 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만족감과 자존감을 높여 성공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될 수 있다(Ju, 2008).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는 연구자의 숙련도 차이를 배제하기 위해 본 연구자 1인에 의해 모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집단 교육은 1) 출산 초기 흔히 하는 모유수유에 대한 잘못된 인식 (모유가 나올 때부터 수유를 시작한다, 모아별실을 기본으로 하면서 필요시마다 모자동실을 하면서 모유수유를 실시한다) 에 대한 교정, 2) 모자동실의 중요성과 모자동실시 주의사항, 3) 올바른 수유횟수와 시간, 4) 정확한 수유자세와 방법, 5) 초기 모유수유 시 흔히 행하는 실수, 6) 보충수유 방법과 필요성, 7) 유방 마사지 방법, 8) 모유수유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젖양의 부족, 유두혼동의 예방과 해결법, 유방울혈 예방과 대처) 등에 관한 내용에 대해 신생아 모형과 유방모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강의식 교육을 말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1가설: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을 실시한 모유수유 교육군(실험군 II)은 집단 모유수유 교육군(실험 군 I) 보다 모유수유 적응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을 실시한 모유수유 교육군(실험군 II)은 집단 모유수유 교육군(실험군 I) 보다 모유수유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집단교육 후 개별교육을 실시한 모유수유 교육군(실험군 II)은 집단 모유수유 교육군(실험군 I) 보다 모유수유 실천정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가 아기에게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모유는 아기에게 줄 수 있는 최상의 식품으로 분유에 비해 풍부한 면역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감염성 질환에 걸릴 가능성도 줄여주고 위장장애나 비만, 고혈압을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유아습진, 알레르기도 줄일 수 있다. 수유 과정을 통해서는 하악골의 발달과 튼튼한 치아 형성에 도움을 주며, 모유수유를 통한 정서적인 안정감은 원만한 성격을 형성해 주는 장점이 있다.
생후 개월수에 따른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어떠한가? 이렇듯 모유수유의 우수성과 가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생후 1개월에 57.2%, 생후 6개월에는 42.2%, 12개월에는 33.4%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2008). 이는 산후 초기에 젖몸살, 유두손상, 함몰유두와 같은 유방문제(Yoo, Kim, & Seo, 2002) 모유부족 등으로 산후 초기 완전 모유수유 확립에 어려움을 겪는데다 가족 및 의료인의 지지체계 조차 부족해 모유수유를 쉽게 중단하기 때문이다.
모유수유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2008). 이는 산후 초기에 젖몸살, 유두손상, 함몰유두와 같은 유방문제(Yoo, Kim, & Seo, 2002) 모유부족 등으로 산후 초기 완전 모유수유 확립에 어려움을 겪는데다 가족 및 의료인의 지지체계 조차 부족해 모유수유를 쉽게 중단하기 때문이다.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다른 이유로는 인공수유에 대한 편리성과 과잉신뢰, 사회적 여건 및 지지부족,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과 의지의결여, 여성의 취업률 증가, 모유수유에 대한 역할모델 부족, 산전 산후관리에서의 교육부족, 출산 후 모자분리, 모유수유 전문간호사 제도의 결여, 그리고 제왕절개 수술, 출산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물적용 등이 거론되고 있다(Choi & Kim, 2007; Lee, Cho, & Kim, 2010; Yang, Lee, & Lee, 2005). 특히 초기에 모유수유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초기 모유수유시의 어려움에 대처할수 있는 적응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Korea. (2006). New mother's guide to breastfeeding. Seoul: E-public. 

  2. Ahluwalia, I. B., Morrow, B., & Hsia, J. (2005). Why do women stop breastfeeding? Findings from the pregnancy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system. Pediatrics, 116 , 1408- 1412. http://dx.doi.org/10.1542/peds.2005-0013 

  3. Ahn, S. Y., & Koh, H. J. (1999).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on method, attitude,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by primipar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5 ,18-29. 

  4. Cho, H. C. (2007). The effect of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on the primipara's Breastfee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5. Choi, S. Y.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breastfeeding and practice of feeding patter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 116-123. 

  6. Choi, Y. J., & Kim, M. O. (2007). Effect of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 245-253. 

  7.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 , 155-159. 

  8. Cohler, B. J., Grunebaum, H. U., Weiss, J. L., Hartman, C. R., & Gallant, D. H. (1976). Child care attitudes and adaptation to the maternal role among mentally ill and well moth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46 , 123-134. 

  9. Dennis, C. L., Hodnett, E., Gallop, R., & Chalmers, B. (2002). The effect of peer support on breast-feeding duration among primiparous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6 , 21-28. 

  10.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u, G. O. (2008). Impact of nipple and areola extensibility and ease of milk extraction during early postpartum period on nipple pain and 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ang, H. R. (2010).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and practical aspects after childbirth of expectant mothers have taken part in education for breast-feeding before childbirth in health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aracam, Z. (2008). Factors affecting exclusive breastfeeding of healthy babies aged zero to four months: A communitybased study of Turkish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341-334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1936.x 

  14. Kearney, M. H. (1998). Identifying psychosocial obstacles to breast feeding succes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7, 98-105. http://dx.doi.org/10.1111/j. 1552-6909.1988.tb00519.x 

  15. Kearney, M. H., Cronenwett, L. R., & Barrett, J. A. (1990). Breast-feeding problems in the first week postpartum. Nursing Research, 39, 90-95. 

  16. Kim, H. S. (2001). Guide book for breastfeeding. Seoul: Hyunmoonsa. 

  17. Kim, J. K., Choi, H. M., & Ryu, E. J. (2011).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 90-99. 

  18. Kim, S. H. (2009). Development of a breast feeding adaptation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 259-269. http://dx.doi.org/10.4040/jkan.2009.39.2.259 

  19. Kim, Y. K. (2010). Adaptation of breastfeeding and maternal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Kim, Y. M. (2009).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79-287. http://dx.doi.org/10.4040/ jkan.2009.39.2.279 

  21. Lee, H. J., Cho, Y. H., & Kim, W. J. (2010). Factors affecting breast feeding practice. Inje Journal, 25 , 9-31. 

  22. Marchand, L., & Morrow, M. H. (1994). Infant feeding practices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amily Medicine, 26 , 319-324.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Retrieved December 7, 2009, from http://knhanes.cdc.go.kr 

  24. Rosen, I. M., Krueger, M. V., Carney, L. M., & Graham, J. A. (2008).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and breastfeeding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3, 315-319. http://dx.doi.org/10.1097/01.NMC. 0000334900.22215.ec 

  25. Roy, S. C., & Andrews, H. A. (1999). The roy adaptation model (2nd ed.). Connecticut: Appleton & Lange. 

  26. Yang, H. J., Lee Y. E., & Lee, S. O. (2005). Factors related to neonatal suckling in the initiation of breastfeeding in primiparous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 202-208. 

  27. Yoo, E. K., Kim, M. H., & Seo, W. S. (2002). A study on the rate of breastfeeding practice by education and continuous telephone follow-up.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 424-43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