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의 근로자가 지각하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위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practice perceived by workers in part area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2 no.1, 2012년, pp.201 - 212  

김미정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bout workers'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practice. Methods :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331 worker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of Jeonju city in 2011. As a result of surveying and analyzing workers' oral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로자의 구강보건은 근로에서 기인하는 구강질환의 문제뿐만 아니라 근로자에서 발생하는 구강질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산업기술이 요구하는 노동조건을 인간에게 적합하도록 그 방책을 찾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보호 증진시켜 근로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14).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구강 보건정책을 수립해야 하고 이는 발생된 구강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아울러 우리나라 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20)16)에서도 초등학교와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실천프로그램은 명시되어 있으나 성인이나 근로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자가 현재 지각하는 구강상태와 구강건강행위실천을 조사함으로써 구강상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를 높이며 실질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연구들을 토대로 일부지역 공단 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가 지각하는 구강상태와 구강건강행위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근로자 구강병을 예방하고 향상시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업장 구강건강증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로자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행위실천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1년 전주지역 공단 내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버전 12.0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련 습관, 구강병기인 활동제한 및 구강보건실천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업장은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장소이며 포괄적인 구강보건관리와 집단 구강건강관리 등 체계적인 사업을 펼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다6). 또한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구강병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에 필요한 구강보건지식을 인지하고, 건강한 구강관리를 위한 행동을 습관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한 이후 1995년에 근로자 일반 건강검진 시 구강상병검진이 추가되어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법정 구강상병 검진 제도가 마련되었고 1997년 한국 산업구강보건원이 설립되어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구강보건제도 확립을 마련하게 되었다.
치아우식증과 치주조직병으로 인한 치아 상실 등의 구강건강이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근로자는 18세 이상의 청, 장년층으로 치아우식증과 치주조직병으로 인해 치아상실 등 구강건강이 많이 저하된 시기이다3). 그러나 이러한 질환은 그 발생기 전이 주로 음식물섭취 양태나 칫솔질 습관 등4)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질환발생이전에 구강보건교육과 이를 통한 구강건강생활실천을 유도함으로써 구강병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구강보건지식의 인지와 행동의 습관화는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가능하며 구강보건교육은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나 행동을 계획된 실천목표에 따라 새로운 학습경험을 통하여 변화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5).
근로자 일반 건강검진 시 구강상병검진이 추가되어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구강보건제도가 확립된 해는 언제인가? 또한 근로자는 자신의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구강병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에 필요한 구강보건지식을 인지하고, 건강한 구강관리를 위한 행동을 습관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한 이후 1995년에 근로자 일반 건강검진 시 구강상병검진이 추가되어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법정 구강상병 검진 제도가 마련되었고 1997년 한국 산업구강보건원이 설립되어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구강보건제도 확립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강 상병검진제도는 근로자의 현재 구강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치료계획 등 조치를 취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노동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매우 가치 있는 제도이지만 2006년 건강검진 수검률이 5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이명선, 문인옥, 박경옥,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작업환경 인지도의 변화.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5;31(1):55-64. 

  2. 김경원, 이경수. 근로자들의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과 관련요인.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10;10(1):65-77 

  3. 구강보건교재개발위원회. 공중구강보건학. 2판. 서울:고문사;2010:73-75. 

  4. Tanni DQ. Periodontal awareness and knowledge, and pattern of dental attendance among adults in Jordan. Int Dent K 2002;52(2):94-98. 

  5. 송정록, 오효원, 이흥수. 익산시 일부 노동자의 구강보건행태 및 구강보건교육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1):91-102. 

  6. Ichihashi T, Muto T, Shibuya K. Cost-benefit analysis of a worksite oral-health promotion program. Ind Health 2007;45(1):32-36. 

  7. 보건복지부. 2006 건강검진결과분석. 서울:보건복지부;2008:1-15. 

  8. 유영재. 도시지역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861-876. 

  9. 장분자, 이성국.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4):587-599. 

  10. 김연화.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9;9(1):17-23. 

  11. 강대석,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2):305-317. 

  12. 류다영, 송귀숙, 배수명. 근로자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2010;(6):117-126. 

  13. 조성숙, 최미혜. 사업장근로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2001;5(1):25-33 

  14. Feaver GP. Occupational dentistry: A review of 100year of dental care in workplace. J Soc Occup Med 1988;38(1-2):41-43. 

  15. 고소영, 문혁수, 김종배, 백대일. 근로자의 구강보건의식과 구강보건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9;23(2):95-111. 

  16.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2010.hp.go.kr 

  17. 서현석, 박경섭.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4):641-653. 

  18. 장지언, 이천희.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841-849 

  19. Preber H, Bergstrom J.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periodontal healing following surgic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1990;65(17):125-132. 

  20. 김정숙.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도[석사학위논문]. 경산:영남대학교 대학원;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