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준비교육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 대구지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Korea -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3, 2012년, pp.423 - 437  

장경은 (대구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cusing on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as voluntar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죽음준비교육에서 자살관련주제를 얼마나 집중적으로 다루어 참여자들이 실제적으로 인지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노력을 익힐 수 있는가가 참여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에서 2회기에 걸쳐 죽음과 자살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고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자신의 자살충동경험발표, 인지치료적 자살예방방법, 자살로 삶을 마무리했을 때의 사망기 작성 등 다양한 죽음준비 교육활동내용을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죽음과 삶에 대한 의미있는 성찰을 통해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 개인의 건전한 정신건강 확립과 더불어 예비사회복지사를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도입에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양적·질적 방법을 통합한 연구방법의 강점을 살려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im과 Lee(2009)의 연구나 Knight 와 Elfenbein(1993)의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죽음불안을 더 증가시켰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는 참여자 특성, 교육기간, 진행방법, 척도선택 등에 따라 결과의 차이를 보인다고 하겠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상반된 연구결과를 염두에 두고 죽음준비교육 진행 전부터 연구참여자들과 친밀감을 형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교육 기간의 선정과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진행방법에 신경을 써서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이러한 활동은 참여대상자들이 죽음준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지변화를 미술치료기법중 색 선택에 기반하여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본 회기의 발표내용을 참여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여 본 교육의 질적 분석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부터 지속적으로 죽음교육을 받아온 외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과는 달리 죽음준비교육을 처음 받아보는 국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에게 상실과 비탄의 교육주제보다는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불안을 해소하고 자신의 삶의 가치를 정립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살예방에 관한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통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사회복지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그러나 우리가 인식하는 죽음은 자신의 삶과 동떨어진 다른 영역으로 여기고 나의 죽음이 아니라 타인의 죽음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죽음을 삶의 종말로 여기는 경향이 있어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고 죽음을 회피하거나 금기시하려고 한다. 실존주의 철학자인 하이데거는 인간을 죽음으로 향한 존재로 규정하면서 삶의 최종목적지는 죽음이라고 말한 바 있다.
  •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전문대학 사회복지전공 2학년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후 죽음에 대한 태도,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유사실험조사인 비동일통제집단 사전사후조사설계를 활용하여, 죽음준비교육의 참여를 원하는 사회복지과 2학년 대학생을 중심으로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4명)을 구성하여 사전·사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점수를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2학년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 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죽음불안을 해소하고 삶의 목표를 정립시켜 생명의 소중함을 인식시키고자 하였고, 예비사회복지사로서는 사회복지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죽음경험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히 수용하고 자살의 부정적인 측면을 각인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록 지원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정하였다. 먼저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의 동질성여부를 검정한 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에 대한 동질성 여부를 검정하였다.
  • 한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은 인생에서 죽음으로 인한 상실과 비탄을 다루는 내용(Kramer, 1998; Ryan, 2007)과 사별보다는 죽음과 죽어감에 초점을 두는 교육내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Napier, 2000).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부터 지속적으로 죽음교육을 받아온 외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과는 달리 죽음준비교육을 처음 받아보는 국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에게 상실과 비탄의 교육주제보다는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불안을 해소하고 자신의 삶의 가치를 정립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살예방에 관한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통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사회복지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2학년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 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죽음불안을 해소하고 삶의 목표를 정립시켜 생명의 소중함을 인식시키고자 하였고, 예비사회복지사로서는 사회복지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죽음경험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히 수용하고 자살의 부정적인 측면을 각인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록 지원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의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선행연구들에 대해 설명하시오. Baek et al.(2001)은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간호 강좌를 실시한 결과 죽음의식의 사전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호스피스 간호강좌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Kim과 Lee(2009)는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죽음준비교육이 죽음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없음을 제시하였다. Kim et al.(2005)는 일반대학생이 참여한 죽음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죽음태도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여 죽음교육이 죽음태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Jo와 Kim(2005)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죽음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죽음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어 죽음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night와 Elfenbein(1993)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 죽음준비 교육을 실시해 죽음과 관련된 불안, 두려움, 의미를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죽음불안,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태도 등의 죽음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죽음불안이 감소한 참가자는 죽음불안이 증가한 이들보다 죽음에 대한 더 많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ramer(1998)는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수용의 정도, 개인적 전문적 상실에 대한 죽음준비 교육를 학기 중에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보다 개인적 상실을 더 잘 다룰 수 있고, 슬픔과 죽어감을 더 지원할 수 있으며, 슬픔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이 더 좋아지고, 죽음수용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준비교육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죽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도와주는 죽음준비교육은 죽음 그 자체가 무엇이냐를 알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준비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Feifel은 ‘죽음인식운동(death awareness movement)’은 넓은 의미에서 ‘죽음교육’과 동의어로 여긴다고 하였다(Wass, 2004).
Puolimatka와 Solasaari(2006)는 죽음준비교육을 어떤 교육이라 하였는가? 그래서 Feifel은 ‘죽음인식운동(death awareness movement)’은 넓은 의미에서 ‘죽음교육’과 동의어로 여긴다고 하였다(Wass, 2004). Puolimatka와 Solasaari(2006)는 죽음준비교육을 미래에 죽어야 한다는 사실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여 스스로 반성하도록 하고, 죽음에 직면하기 위해 사람들을 준비시키는 교육이라 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과정과 죽음의 현상을 다루는 형식적․제도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도로 죽음과 관련된 정보를 알리고 죽음이 삶이라는 사실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다(Ke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ek, S. H., Lee, M. A., & Kim, I. H. (2001). A Study on Change in Death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 Nurses-comparison of pre and post hospice care cla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8(3), 357-365. 

  2. Basu, S. & Heuser, L. (2003). Using service learning in death education, Death Studies, 27(10): 901-927. 

  3. Becker, C. (2004). Death Education and religion in schools and modern society.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9, 3-22. 

  4. Boyar, J. I. (1964). The construction and partial validation of a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the fear of dea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Rochester. 

  5. Brabant, S. & Kalich, D. (2008). Who enrolls in college death education courses? A longitudinal study. Omega, 58(1), 1-18. 

  6. Chung, Y. J. (1999). Die pAdagogische Kunsttherapie als anthroposophischer Ansatz, Zeitschrift fur padagogische Forschung, 4(1), 149-163. 

  7. Corr, C. A. (2002). Teaching a college course on children and death for 22 years: A supplemental report. Death Studies, 26(4), 596-606. 

  8. Corr, C. A., Nabe, C. M., & Corr, D. M., (2008). Death and dying, life and living. Belmont, CA: Wadsworth/Cengage Learning. 

  9. Durlak, J. A. (1994). Changing death attitudes through death education. In R. A. Neimeyer(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243-260. 

  10. Feifel, H. (1959). The meaning of death. New York: McGraw-Hill. 

  11. Heuser, L. (1995). Death education: A model of student-participatory learning, Death Studies, 19(6), 583-590. 

  12. International Work Group On Death, Dying, and Bereavement. (1992). A statement of Assumptions and principles concerning education about death, dying, and bereavement. Death Studies, 16(1), 59-65. 

  13. Jo, H. J., & Kim, E. S. (2005).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2), 163-172. 

  14. Kee, Y. H. (2007). Educational Gerontology. Seoul: Hakjisa. 

  15. Kim, D. B. & Kwon, J. D. (2004). Human Behavior Theory and The Social Environment practice. Seoul: Hakjisa. 

  16. Kim, E. H., & Lee, E. J. (2009).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1), 1-9. 

  17. Kim, H. C. (1993). Adolescents Suicide : Psycho - social Factors and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 167-181. 

  18. Kim, S. H. 2002. An Educational-Philosophical Meaning of Deat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5, 205-223. 

  19. Kim, S. N., Choi, S. N., Lee, J. J., & Sin, K. I. (2005).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5, 205-223. 

  20. Knight, K. H. & Elfenbein, M. H. (1993). Relationship of death education to the anxiety, fear, and meaning associated with death. Death Studies, 17(5), 411-425. 

  21. Kramer, B. J. (1998). Preparing social workers for the inevitabl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 course on grief, death, and los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34(2), 211-228. 

  22.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23. Lee, H. S et al. (2008). Understading and Preventing Suicide. Seoul: Hakjisa. 

  24. Lee, J. Y. (2004). The Youths' Perception of Death and The Religiou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9, 39-56. 

  25. Lee, L. J. (2003).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for the Ag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6. Lee, Y. J. Jo, G. H., & Lee, H. J. (2005). Effects of Significant Other's Death on High-Touch Major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3(1), 113-124. 

  27. Napier, L. (2000). For ever beyond. pp. 159-175. in Practice and Research in Social Work: Post-Modern Feminist Perspectives, edited by B. Fawcett, B. Featherstone, J. Fook, and A. Rossiter. London: Routledge. 

  28. Neimeyer, R. A. & Dingemans, P. (1981). Death orientation in the suicide intervention worker. Omega, 11, 15-23. 

  29. Oh, J. T. & Kim, C. G. (2009).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51-69. 

  30. Oh, J. T. (2006). Instruction for Protecting of Suicide. Issues in East-Asian Philosophy, 15, 230-246. 

  31. Padgett, D. K. (198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Tae Kyun Yoo Translated (2001). Seoul: Nanam Public 

  32. Park, J. E. (2009).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8, 79-109. 

  33. Puolimatka, T. & Solasaari, U. (2006). Education for death.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38(2), 201-213. 

  34. Reynolds, W. M.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FL: P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35. Ryan, M. (2007). Teaching loss and grief to social work students: Some reflections. Advances in Social Work and Welfare Education, 9(1), 69-81. 

  36. Shin, S. J. (2004). The Effect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of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37. Statistics Korea. (2010). The Cause-Secific Death Satistics 2009. 

  38.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39. Templer, D. (1970).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eath anxiety scal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8, 165-177. 

  40. Thorson, J. A. & Powell, F. C. (1988).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5), 691-701. 

  41. Wass, H. (2004). A perspective on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Death Studies, 28(4), 289-308. 

  42. Wass, H., Miller, D., & Thornton, G. (1990). Death education and grief/suicide intervention in the public school. Death Studies, 14(3), 253-268. 

  43. Yook, S. P. (2002). Exploration of Suicid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