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220 - 4228  

현은민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3명이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4일부터 4월 24일까지 주 1회씩 8회의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통제집단과 사전. 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비교하여 효과를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인 $x^2$ test, Mann-Whitney U 검증, Wilcoxon rank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살생각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suicidal ideation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4 students, 1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in the contro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자살 생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그리고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총 8회의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주 1회 매 2시간 30분-3시간씩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설계 모형은 Fig.
  • 외적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하고 단기간의 죽음교육이 자살태도를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점과 참여자들의 자살태도에서 긍정적 성향의 가능성을 꼽았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자살생각이 교육 전에도 비교적 낮게 나타나 자살위험이 낮았던 점과 현재 경험하고 있는 어려운 문제도 진로문제이거나 없다고 보고하여 스트레스 수준도 높지 않고 친구들이나 가까운 사람들의 자살생각이나 자살위험의 경험도 거의 없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대학생의 자살률이 높고 대학생 대상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서 자살예방교육은 필수적으로 다루어주어야 할 주제로 생각하기에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삶의 의미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죽음준비교육을 통하여 삶의 의미에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삶의 가치와 목표를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이러한 삶의 자세는 자살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3.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삶의 의미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2.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자살생각 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1.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에 대한 이해와 태도는 죽음교육을 통하여 새롭게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는 중요한 계기로 제공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는? 이러한 죽음에 대한 이해와 태도는 죽음교육을 통하여 새롭게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는 중요한 계기로 제공될 수 있다고 본다.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삶에 대한 태도와 삶의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죽음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인가의 삶의 의미와 직결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죽음은 삶의 결과이기 때문에 죽음교육은 삶의 가치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며 죽음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개인은 인생을 더욱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살아 갈 수 있게 된다[11].
개인의 일생에서 죽음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로서 죽음은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맞게 되는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삶의 한 과정이다. 개인의 일생에서 죽음은 삶의 과정을 마무리 짓고 완성하는 사건으로서 인간의 태어남 만큼이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죽음은 삶 안에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삶과 떼어낼 수 없는 삶의 현실이며 삶을 총체적으로 완결 짓는 조건이라 할 수 있다[1].
인간발달 단계상 대학생 시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인간발달 단계상 대학생 시기는 정체감 형성, 사회적·정치적 인식 증가, 이성과의 자유로운 교제, 경제적 독립을 추구하면서 자신의 위치나 역할을 재인식하고 통합함으로 성인으로서의 자질을 형성하여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5]. 대학생이 속해있는 늦은 청소년 시기와 성인초기는 흔히 복잡하고 혼란스러우며, 때로는 두려움을 느낄만한 성인으로의 인생전환과의 투쟁시기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J. Lee, G. H. Jo, H.J. Lee. Understanding Thanatology. Seoul. Hakjisa, 2006. 

  2. B. R. Jung.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preparatory education of death. Kyungpook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 19, pp. 49-60, 2006. 

  3. M. J. 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attitude toward death.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994. 

  4. Statistics Korea. The cause-specific death statistics. 2010.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5.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W. Norton Company, 1968. 

  6. Y. K. Min. Evaluation on suicidal risk factors and suicidal thought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Vol 31, pp. 31-52. 2005. 

  7. J. Y. Lee. The youth's perception of death and religiou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Vol 19, pp. 39-56 2004. 

  8. J. E. Meyer. Death and neurosis. New York : International Univ. Press. 1973. 

  9. S. Higgins. Death education in primary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spirituality, 4, pp. 77-99. 1999. DOI: http://dx.doi.org/10.1080/1364436990040107 

  10. C. Becker. Death education and religion in schools and modern society.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9, pp. 3-22. 2004.. 

  11. S. N. Kim, S. O. Choi. J. J. Lee, & K. I. Shin.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pp. 141-153. 2005. 

  12. K. A. Kang, S. J. Kim, M. K. Song, & S. Si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for adolescents meaning in lif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pp. 625-634. 2007. 

  13. K. H. Jo, H. J. Lee, & Y. J. Le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yber lectures about dea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pp. 442-452. 2007. 

  14. H. J. Jo.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University. 2004. 

  15. N. Mogi, Y. Masuda, A. Hattori, M. Naito, A. Iguchi, & K. Uemura, Effect of death education on self-determination in medical treatment in university students. Geriar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3, pp. 200-207. 2003. DOI: http://dx.doi.org/10.1111/j.1444-1586.2003.00087.x 

  16. L. J. Collet, & D. Lester.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ournal of Psychology Vol 72, pp. 179-18, 1969.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0.1969.10543496 

  17. H. S. Nam. Analysis on the adult's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99. 

  18. W. M. Reynol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19. B. G. park.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6, No. 3, pp. 505-522. 2007. DOI: http://dx.doi.org/10.5934/KJHE.2007.16.3.505 

  20. S. O. Choi & S. N. Kim.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2, pp. 190-199,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190 

  21. M. F. Steger, P. Frazie, S. Oishi, & M. Kale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2004. 

  22. D. Won, K. H. Kim, S. J. Kwon.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0, No. 2. pp. 211-225, 2005. 

  23. C. A. Corr. Death education for adults. In Coreless, I. B. Germino, B. B. & Pittman, M. A.(Eds.), A challenge for living: Dying, death and bereavement. Boston: Jones and Bartlett. 1995. 

  24. A. Deeken, Psychology of death and dying. Macmillan, 2002. 

  25. S. J. Shin. The effect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of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4. 

  26. J. T. Oh, Instruction for protecting of suicide. Issues in East-Asian Philosophy, 15, pp.230-246. 2006. 

  27. K. E. Chan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s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0, No. 3, pp. 423-437. 2012.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2.21.3.423 

  28. Kub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A Touchstone Book. Macmillan M. 

  29. M. Blazek, & T. Besta,. Self-concept clarity and religious orientations: Prediction of purpose in life and self-esteem.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 51, No.3, pp 947-960,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0943-010-9407-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