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 소실된 급성 폐색전증 1예
A Case of Spontaneous Remission of Acute Pulmonary Embolism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72 no.2, 2012년, pp.232 - 235  

이재준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민지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효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전석재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임영민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내과학교실) ,  송상희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내과학교실) ,  나동집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내과학교실) ,  김은진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ute pulmonary embolism (PE) ranges from asymptomatic to often fatal, incidentally discovered emboli to massive embolism causing immediate death. Acute PE may occur rapidly and unpredictably and may be difficult to diagnose. Mortality and complications can be reduced by prompt diagnosis and therap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응급실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의 폐색전증을 간과하였고 환자의 순응도 또한 좋지 않아 치료를 전혀 못하였다. 그러나 2개월 뒤의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폐색전의 자연소실이 확인되어 보고한다.
  • 저자들은 호흡곤란과 고열로 응급실 내원 후 촬영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폐색전증이 관찰되었던 환자가 모든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하여 지내던 중 2개월 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자연소실이 확인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 폐색전증을 치료하지 않을 시 사망률은 약 몇 퍼센트인가? 급성 폐색전증의 사망률은 치료하지 않으면 약 30% 정도로 높아서 임상적으로 의심되면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하나 비특이적 증상만으로는 진단하기가 어렵다1-3,5,6. 그러나 임상적 자료로 폐색전증의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으며 추가 검사 시행의 근거가 될 수 있다2,5,6.
폐색전증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은 폐색전증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5,7, 민감도와 특이도가 90% 이상이고 분절 폐동맥의 색전까지 발견할 수 있으며2, 특히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multidetector CT)은 세분절 폐동맥 색전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7.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색전증이 의심되면 거의 모든 경우 반드시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 위양성은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2.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폐색전증이 의심되면 반드시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은 폐색전증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5,7, 민감도와 특이도가 90% 이상이고 분절 폐동맥의 색전까지 발견할 수 있으며2, 특히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multidetector CT)은 세분절 폐동맥 색전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7.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색전증이 의심되면 거의 모든 경우 반드시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 위양성은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2. 증례의 응급실 당직의가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후에도 폐색전증을 미처 확인하지 못한 것은 폐색전증의 일반적 중증도를 고려할 때 아쉬운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ark YS, Ha JW, Kwon KH, Jang YS, Chung NS, Shim WH,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for patients with acute major pulmonary embolism. Korean J Med 2000;58:293-300. 

  2. Tapson VF. Acute pulmonary embolism. N Engl J Med 2008;358:1037-52. 

  3. Carson JL, Kelley MA, Duff A, Weg JG, Fulkerson WJ, Palevsky HI, et al. The clinical course of pulmonary embolism. N Engl J Med 1992;326:1240-5. 

  4. Nijkeuter M, Hovens MM, Davidson BL, Huisman MV. Resolution of thromboemboli in patients with acute pulmonary embolism: a systematic review. Chest 2006; 129:192-7. 

  5. Goldhaber SZ. Pulmonary embolism. In: Bonow RO, Mann DL, Zipes DP, Libby P, Braunwald E, editors. Braunwald's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9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12. p.1679-95. 

  6. Torbicki A, Perrier A, Konstantinides S, Agnelli G, Galie N, Pruszczyk P, et al.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pulmonary embolism: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Pulmonary Embolism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Eur Heart J 2008;29:2276-315. 

  7. Yong HS. MDCT application in the Vascular System. J Korean Med Assoc 2007;50:25-32. 

  8. Aujesky D, Obrosky DS, Stone RA, Auble TE, Perrier A, Cornuz J, et al.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prognostic model for pulmonary embolism.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1041-6. 

  9. Choi WH, Kwon SU, Jwa YJ, Kim JA, Choi YH, Chang JH, et al. The pulmonary embolism severity index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pulmonary embolism. Korean J Intern Med 2009;24:123-7. 

  10. Gans H, Rosenberg M, Tan BH, Boulton A. The mechanism of spontaneous resolution of thromboemboli. Surg Gynecol Obstet 1970;130:326-32. 

  11. Wilson JE 3rd, Frenkel EP, Pierce AK, Johnson RL Jr, Winga ER, Curry GC, et al. Spontaneous fibrinolysis in pulmonary embolism. J Clin Invest 1971;50:474-80. 

  12. Walker RH, Goodwin J, Jackson JA. Resolution of pulmonary embolism. Br Med J 1970;4:135-9. 

  13. Geerts WH, Heit JA, Clagett GP, Pineo GF, Colwell CW, Anderson FA Jr, et al.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Chest 2001;119(1 Suppl):132S-75S. 

  14. Shinohara Y, Nishimaru K, Sawada T, Terashi A, Handa S, Hirai S, et al. Sarpogrelate-aspirin comparative clinical study for efficacy and safety in secondary prevention of cerebral infarction (S-ACCESS): a randomized, double-blind, aspirin-controlled trial. Stroke 2008;39: 1827-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