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안면부 측정의 재현성과 정확도에 대한 마네킨을 이용한 연구: 직접 인체계측, Digitizer, Stereophotogrammetry의 비교 연구
Manikin Model Study on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Maxillofacial Measurements Determined by Stereocamera: Comparative Study of Direct Anthropometry, Digitizer and Stereophotogrammetery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4 no.1, 2012년, pp.17 - 25  

정연욱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양지웅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정광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국민석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오희균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a three dimensional approach to hard and soft tissues of the maxillofacial area has been widely used.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a stereocamera compared to actual measurement methods using a digital caliper and digitizer. Methods: The stereosc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Di3D 시스템의 정확도와 재현성에 대해 digital caliper와 digitizer를 이용한 직접 인체측정법과 비교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 Allanson 등[27]은 협조적인 다운증후군 피험자의 21개의 안면 측정을 캘리퍼로 얻는 데 30분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성인 1명을 대상으로 150개 이상의 안면부 표준 인체 측정 평가항목을 자세히 측정하는 데 45∼60분이 소요된다고 하였다[28]. 본 연구에서 임상에서는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digital caliper 기구를 이용한 직접 신체측정을 시행하였다. 한 마네킨에서 10개의 계측 항목을 측정하는데 대략 1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안면부의 연조직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악안면부의 연조직에 대한 평가는 악교정 수술, 구순구개열의 치료, 안면부 결손 치료 등의 분석과 치료 계획, 술후 평가, 그리고 두개 안면의 성장 양상 관찰 등에 있어 필수적이다[1]. 특히 악교정 수술의 경우, 이전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안면 연조직은 연골, 결체조직, 근육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Burston 등[2]은 골격과 치아관계 분석에만 기초하여 치료할 경우 적절한 안모를 얻기 어려우므로 안면 연조직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악교정 수슬의경우 안면 연조직에 영향을 주는것은 무엇인가? 악안면부의 연조직에 대한 평가는 악교정 수술, 구순구개열의 치료, 안면부 결손 치료 등의 분석과 치료 계획, 술후 평가, 그리고 두개 안면의 성장 양상 관찰 등에 있어 필수적이다[1]. 특히 악교정 수술의 경우, 이전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안면 연조직은 연골, 결체조직, 근육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Burston 등[2]은 골격과 치아관계 분석에만 기초하여 치료할 경우 적절한 안모를 얻기 어려우므로 안면 연조직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악교정 수술에 이용되는 여러 분석법들은 대부분 경조직에 의존하며, 이는 환자의 안면 형태나 비율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두부계측방사선사진과 안모사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대부분의 악교정 환자의 안모 분석 및 치료 계획 수립 시에 주로 두부계측방사선사진과 안모사진이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은 3차원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2차원적 평면으로 투영시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의 확대와 축소, 상의 왜곡과 구조물 간의 중첩 등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안모사진은 특정 계측점에서 깊이나 방향성을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einberg SM, Naidoo S, Govier DP, Martin RA, Kane AA, Marazita ML. Anthropometric precision and accuracy of digital three-dimensional photogrammetry: comparing the Genex and 3dMD imaging systems with one another and with direct anthropometry. J Craniofac Surg 2006;17:477-83. 

  2. Burstone CJ, James RB, Legan H, Murphy GA, Norton LA. Cephalometrics for orthognathic surgery. J Oral Surg 1978;36:269-77. 

  3. Uysal T, Yagci A, Basciftci FA, Sisman Y. Standards of soft tissue Arnett analysis for surgical planning in Turkish adults. Eur J Orthod 2009;31:449-56. 

  4. Soncul M, Bamber MA. Evaluation of facial soft tissue changes with optical surface sca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lass III deformities.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1331-40. 

  5. Incrapera AK, Kau CH, English JD, McGrory K, Sarver DM. Soft tissue images from cephalograms compared with those from a 3D surface acquisition system. Angle Orthod 2010;80:58-64. 

  6. Ferrario VF, Sforza C, Schmitz JH, Santoro F. Three-dimensional facial morphometric assessment of soft tissue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9;88:549-56. 

  7. Sforza C, Peretta R, Grandi G, Ferronato G, Ferrario VF. Soft tissue facial volumes and shape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treatment.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07;60:130-8. 

  8. Kau CH, Cronin A, Durning P, Zhurov AI, Sandham A, Richmond S. A new method for the 3D measurement of postoperative swelling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rthod Craniofac Res 2006;9:31-7. 

  9. Kau CH, Cronin AJ, Richmond S.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postoperative swelling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at 6 months. Plast Reconstr Surg 2007;119:2192-9. 

  10. Downie J, Mao Z, Rachel Lo, et al. A double-blind, clinical evaluation of facial augmentation treatments: a comparison of PRI 1, PRI 2, Zyplast and Perlane.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09;62:1636-43. 

  11. Maeda M, Katsumata A, Ariji Y, et al.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2:382-90. 

  12. Meintjes EM, Douglas TS, Martinez F, et al. A stereo-photogrammetric method to measure the facial dysmorphology of children in the diagnosis of fetal alcohol syndrome. Med Eng Phys 2002;24:683-9. 

  13. Zeller M, editor. Textbook of stereophotogrammetry. Zurich: L Miskin; 1952. 

  14. Weinberg SM, Kolar JC. Three-dimensional surface imaging: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from the anthropometric perspective. J Craniofac Surg 2005;16:847-51. 

  15. Khambay B, Nairn N, Bell A, Miller J, Bowman A, Ayoub AF.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a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facial imaging system.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8;46:27-32. 

  16. Winder RJ, Darvann TA, McKnight W, Magee JD, Ramsay-Baggs P. Technical validation of the Di3D stereophotogrammetry surface imaging system.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8;46:33-7. 

  17. Shaner DJ, Bamforth JS, Peterson AE, Beattie OB. Technical note: different techniques, different results--a comparison of photogrammetric and caliper-derived measurements. Am J Phys Anthropol 1998;106:547-52. 

  18. Lee SH, Mori Y, Minami K, Lee GH, Kwon TG.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measuring program with frontal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Part 2. 3-D visualization and measurment program for maxillofacial structure.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1;27:321-9. 

  19. Hoffmann J, Westendorff C, Leitner C, Bartz D, Reinert S. Validation of 3D-laser surface registration for image-guided cranio-maxillofacial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2005;33:13-8. 

  20. Sforza C, Peretta R, Grandi G, Ferronato G, Ferrario VF. Three-dimensional facial morphomet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A non-invasive study of soft-tissue changes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7;45:138-44. 

  21. Rabey G, editor. Morphanalysis. London: Hatch, Pinner and Co. Ltd; 1968. 

  22. Ghoddousi H, Edler R, Haers P, Wertheim D, Greenhill D.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facial measurement.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7;36:250-8. 

  23. Ras F, Habets LL, van Ginkel FC, Prahl-Andersen B. Quantification of facial morphology using stereophotogrammetry-demonstration of a new concept. J Dent 1996;24:369-74. 

  24. Cho BO, Lee YC, Kim TY, Yang YS. Clinical study of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n oral and maxillo-facial field.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0;16:33-41. 

  25. Kau CH, Zhurov A, Bibb R, Hunter L, Richmond S.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ing facial appearance of identical twins employing a three-dimensional laser imaging system. Orthod Craniofac Res 2005;8:85-90. 

  26. McCance AM, Moss JP, Wright WR, Linney AD, James DR. A three-dimensional soft tissue analysis of 16 skeletal class III patient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2;30:221-32. 

  27. Allanson JE, O'Hara P, Farkas LG, Nair RC. Anthropometric craniofacial pattern profiles in Down syndrome. Am J Med Genet 1993;47:748-52. 

  28. Farkas LG, editor. Anthropometry of the head and face. 2nd ed. New York: Ravens Press; 1994. 

  29. Sforza C, Dellavia C, Tartaglia GM, Ferrario VF. Morphometry of the ear in Down's syndrome subjects. A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assessment.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5;34:480-6. 

  30. Kim JH. Representing the scientific methodology of stereoscopic image approach to the arts of moving image - concentrated on 3 dimensional stereoscopic and hologram. Film Studies Assoc Korea 2002;20:93-116. 

  31. Ayoub AF, Siebert P, Moos KF, Wray D, Urquhart C, Niblett TB. A vision-based three-dimensional capture system for maxillofacial assessment and surgical planning.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8;36:35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