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 비대칭 환자에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하악골 해부학적 변이의 분석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f Mandibular Anatomical Variation in a Patient with Facial Asymmetry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4 no.1, 2012년, pp.34 - 40  

박성원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오승환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재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patients with anatomical variations in facial asymmetry with patients in the normal rang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o take the preoperative condition into consideration in the case of a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하악골 수술 시 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해부학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비대칭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는 차이는 존재하였지만 이는 연구대상이 부족하고 시상 단면의 계측점이 적고 부정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하여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의 하악골을 Obwegeser와 Makek[14]의 하악골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여 시상단면상에서 하악관의 위치 및 하악골의단면적을 변위측과 반대측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비대칭이 없는 환자군과 비교 분석하여 이에 대한 술전 고려를 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 비대칭은 무엇을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안면 비대칭은 정준선을 기준으로 반대측 안면 크기, 형태, 배열과의 상관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1].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상악골 자체의 길이 차이, 하악체 길이의 차이, 하악지 길이의 차이, 두개저 형태의 차이 등이며[2,3], 임상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환자의 성장 방향이나, 성장량에 영향을 준다[4].
안면비대칭 환자들의 수술을 계획 할 때, 2차원적인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가? 전통적으로는 안면 비대칭 환자들의 수술을 계획할 때, 안면비대칭의 요소들을 2차원적인 방사선 사진, 즉 후 전방 두부 방사선 사진이나, 파노라마, 이하두정 방사선 사진,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들을 통해서 계측했고, 그 변위량을 계산하였다[6-10]. 그러나 이러한 2차원적인 방사선 사진은 두개악안면 골격의 3차원 형태를 2차원 평면 구조로 나타내기 때문에, 전후방의 구조물 확대 및 왜곡현상이 발생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자들은 2차원 평면사진을 3차원으로 변환시켜 보려는 시도들을 하였다[11,12].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안면 비대칭은 정준선을 기준으로 반대측 안면 크기, 형태, 배열과의 상관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1].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상악골 자체의 길이 차이, 하악체 길이의 차이, 하악지 길이의 차이, 두개저 형태의 차이 등이며[2,3], 임상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환자의 성장 방향이나, 성장량에 영향을 준다[4]. 안모의 비대칭은 악골과 연관된 현상일 때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들은 주로 하악골과 연관되어 나타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eck H, Peck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70;40:284-318. 

  2. Maeda M, Katsumata A, Ariji Y, et al.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2:382-90. 

  3. Baek SH, Cho IS, Chang YI, Kim MJ. Skeletodental factors affecting chin point devi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4:628-39. 

  4. Sakurai A, Hirabayashi S, Sugawara Y, Harii K. Skeletal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ies in plagiocephaly (unilateral coronal synostosi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1998;32:81-9. 

  5.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y. Angle Orthod 2002;72:28-35. 

  6. Sassouni V.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via roentgenographic cephalometry. Am J Orthodontics 1958;44:433-63. 

  7. Ricketts RM. Cephalometric synthesis. Am J Orthodontics 1960;46:647-73. 

  8. Mulick JF. Clinical use of the frontal headfilm. Angle Orthod 1965;35:299-304. 

  9. Graber TM. New horizons in case analysis-clinical cephalometrics. Am J Orthodont 1952;38:603-24. 

  10. Graber TM. A critical review of clinic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m J Orthodont 1954;40:1-26. 

  11. Grayson B, Cutting C, Bookstein FL, Kim H, McCarthy JG. The three-dimensional cephalogram: theory, technique, and clinical applica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4:327-37. 

  12. Kusnoto B, Evans CA, BeGole EA, de Rijk W. Assessment of 3-dimensional computer-generated cephalometric measurem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390-9. 

  13. Lee JY, Kim YI, Hwang DS, et al. Cross-sectional study of the mandibular bod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11;37:109-113. 

  14. Obwegeser HL, Makek MS. Hemimandibular hyperplasia-hemimandibular elongation. J Maxillofac Surg 1986;14:183-208. 

  15. Bishara SE, Burkey PS, Kharouf JG. Dental and facial asymmetries: a review. Angle Orthod 1994;64:89-98. 

  16. Ahn JS, Hwang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facial asymmetry an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measurements. Korean J Orthod 2001;31:489-98. 

  17. Bruneteau RJ, Mulliken JB. Frontal plagiocephaly: synostotic, compensational, or deformational. Plast Reconstr Surg 1992;89:21-31. 

  18. Trauner R, Obwegeser H.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nd retrognathia with consideration of genioplasty. I. Surgical procedures to correct mandibular prognathism and reshaping of the chi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7;10:677-89. 

  19. Wyatt WM. Sagittal ramus split osteotomy: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ed modification of technique.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7;35:137-41. 

  20. White RP Jr, Peters PB, Costich ER, Page HL Jr. Evaluation of sagittal split-ramus osteotomy in 17 patients. J Oral Surg 1969;27:851-5. 

  21. Guernsey LH, DeChamplain RW. Sequelae and complications of the intraoral sagittal osteotomy in the mandibular rami.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1;32:176-92. 

  22. Behrman SJ. Complications of sagittal osteotomy of the mandibular ramus. J Oral Surg 1972;30:554-61. 

  23. Freihofer HP Jr, Petresevic D. Late results after advancing the mandible by sagittal splitting of the rami. J Maxillofac Surg 1975;3:250-7. 

  24. Broadbent TR, Woolf RM. Our experience with sagittal split osteotomy for retrognathia. Plast Reconstr Surg 1977;60:860-7. 

  25. Westermark A, Bystedt H, von Konow L. Inferior alveolar nerve function after mandibular osteotomies.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8;36:425-8. 

  26. Kane AA, Lo LJ, Chen YR, Hsu KH, Noordhoff MS. The cours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 the normal human mandibular ramus and in patients presenting for cosmetic reduction of the mandibular angles. Plast Reconstr Surg 2000;106:1162-74. 

  27. Ylikontiola L, Moberg K, Huumonen S, Soikkonen K, Oikarinen K. Comparison of three radiographic methods used to locate the mandibular canal in the buccolingual direction before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3:736-42. 

  28. Yamamoto R, Nakamura A, Ohno K, Michi KI.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lateral cortex of the mandibular ramus as a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neurosensory disturbanc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490-5. 

  29. Yoshioka I, Tanaka T, Khanal A,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position at mandibular second molar in patients with prognathism and possible occurrence of neurosensory disturbance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10;68:3022-7. 

  30. Tamas F.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7;16:65-9. 

  31. Gowgiel JM. The position and course of the mandibular canal. J Oral Implantol 1992;18:38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