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합 조건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에 대한 프랙탈 구조 분석
Fractal analysis of peri-implant bone density surrounding implant with different state of antagonis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4 no.1, 2016년, pp.14 - 20  

김주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재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와 대합되는 부분의 상태에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 골조직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51개의 임플란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임플란트는 성별, 나이, 악골 위치, 환자의 대합되는 부위에 따라서 분류되었고 대합되는 부위는 자연치, 임플란트, 가공치, 무치악의 네 집단으로 나뉘었다. 프랙탈 분석을 위해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치근단 사진과 보철 수복 이후 10주 이상이 지난 치근단 사진이 사용되었다. 분석은 Image J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보철수복 전후 프랙탈 값 차이의 평균은 자연치가 대합되는 경우 $0.009{\pm}0.048$이었으며 임플란트의 경우 $0.026{\pm}0.080$, 가공치의 경우에 $-0.025{\pm}0.068$이었으며 무치악은 $-0.093{\pm}0.171$으로 나타났다.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와 임플란트일 때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와 성별, 악골 위치에 따른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후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를 제외한 세 집단간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와 임플란트일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환자의 나이와 성별, 악골의 위치에 따른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i-implant bone dens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antagonist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51 patients who had implant operation in Daeje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15 Urdaneta 등16은 단일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 요인들을 연구한 결과 대합 부위의 종류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골변 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으나 표면처리 방식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라는 한계 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표면처리를 거친 한 종류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대합 조건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절한 하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합 조건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임플란트 주변 골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하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Urdaneta 등16은 단일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 요인들을 연구한 결과 대합 부위의 종류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골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조직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면 어떻게 되는가? Wolff의 법칙에서 밝혔듯이 1 건전한 골조직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골조직은 이에 적응하기 위해 더욱 단단하고 강해지며 골의 내부 구성 요소인 골소주는 외부 충격에 의해 두꺼워지고 골의 외부 조직 역시 이에 따라 변형된다. 반면 골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면 골은 약해지는데 이는 골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골조직은 어떤 구조로 발달하는가? 골조직은 가해진 힘에 가장 잘 저항하는 구조로 발달한다. Wolff의 법칙에서 밝혔듯이 1 건전한 골조직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골조직은 이에 적응하기 위해 더욱 단단하고 강해지며 골의 내부 구성 요소인 골소주는 외부 충격에 의해 두꺼워지고 골의 외부 조직 역시 이에 따라 변형된다.
건전한 골조직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골조직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골조직은 가해진 힘에 가장 잘 저항하는 구조로 발달한다. Wolff의 법칙에서 밝혔듯이 1 건전한 골조직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골조직은 이에 적응하기 위해 더욱 단단하고 강해지며 골의 내부 구성 요소인 골소주는 외부 충격에 의해 두꺼워지고 골의 외부 조직 역시 이에 따라 변형된다. 반면 골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면 골은 약해지는데 이는 골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earson OM, Lieberman DE. The aging of Wolff's" law": ontogeny and responses to mechanical loading in cortical bone. Am J Phys Anthropol 2004;39:63-99. 

  2. Traini T, Degidi M, Iezzi G, Artese L, Piattelli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eri-implant bone tissue mineral density around unloaded titanium dental implants. J Dent 2007;35:84-92. 

  3. Gazit D, Ehrlich J, Kohen Y, Bab I. Effect of occlusal (mechanical) stimulus on bone remodelling in rat mandibular condyle. J Oral Pathol 1987;16:395-8. 

  4. Carlsson L, Rostlund T, Albrektsson B, Albrektsson T. Removal torques for polished and rough titan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21-4. 

  5. Ivanoff CJ, Sennerby L, Johansson C, Rangert B, Lekholm U.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s on the integration of screw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7;26:141-8. 

  6. Wennerberg A, Albrektsson T, Andersson B, Krol JJ. A histomorphometric and removal torque study of screw-shaped titanium implants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Clin Oral Implants Res 1995;6:24-30. 

  7. Johansson C, Albrektsson T. Integration of screw implants in the rabbit: a 1-year follow-up of removal torque of titan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7;2:69-75. 

  8. Johansson CB, Sennerby L, Albrektsson T. A removal torque and histomorphometric study of bone tissue reactions to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Vitall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437-41. 

  9. Denissen H, Verhey H, de Blieck J, Corten F, Klein C, van Lingen A. Dual X-ray absorptiometry for alveolar bone: precision of periimplant mineral measurements ex vivo. J Periodontal Res 1996;31:265-70. 

  10. Ellwood R, Horner K, Alexander S, Davies R. A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investigation of upper first molar proximal bone density changes in adolescents. J Periodontal Res 1998;33:172-7. 

  11. Bassi F, Procchio M, Fava C, Schierano G, Preti G. Bone density in human dentate and edentulous mandibles using computed tomography. Clin Oral Implants Res 1999;10:356-61. 

  12. Peitgen HO, Jurgens H, Saupe D. Chaos and fractals : new frontiers of science. New York: Springer-Verlag; 1992. 

  13. Weinans H, Huiskes R, Grootenboer HJ. The behavior of adaptive bone-remodeling simulation models. J Biomech 1992;25:1425-41. 

  14. Feik SA, Storey E, Ellender G. Stress induced periosteal changes. Br J Exp Pathol 1987;68:803-13. 

  15. Rubin CT, Lanyon LE. Regulation of bone mass by mechanical strain magnitude. Calcif Tissue Int 1985;37:411-7. 

  16. Urdaneta RA, Daher S, Lery J, Emanuel K, Chuang SK. Factors associated with crestal bone gain on single-tooth locking-taper implants: the effec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1;26:1063-78. 

  17. Urdaneta RA, Leary J, Panetta KM, Chuang SK. The effect of opposing structures, natural teeth vs. implants on crestal bone levels surrounding single-tooth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14;25:e179-88. 

  18. Ruttimann UE, Webber RL, Hazelrig JB. Fractal dimension from radiographs of peridental alveolar bone. A possible diagnostic indicator of osteoporosi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2;74:98-110. 

  19. Lynch JA, Hawkes DJ, Buckland-Wright JC. A robust and accurate method for calculating the fractal signature of texture in macroradiographs of osteoarthritic knees. Med Inform (Lond). 1991;16:241-51. 

  20. Ulm C, Kneissel M, Schedle A, Solar P, Matejka M, Schneider B, Donath K.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becular bone in edentulous maxillae. Clin Oral Implants Res 1999;10:459-67. 

  21. Geraets WG, van der Stelt PF. Fractal properties of bone. Dentomaxillofac Radiol 2000;29:144-53. 

  22. Hong SW, Lee JI, Cho HW. Fractal Analysis of Peri-Implant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Functional Loading on Implant. J Dent Rehabil Appl Sci 2011;27:359-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