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재조합 생물 발광 균주를 이용한 순수 오염물과 토양시료의 독성도 평가
Application of the Recombinant Bioluminescence Bacterium on the Toxicity Assessment of the Sole Chemicals and Soil Sample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4 no.2, 2012년, pp.136 - 142  

공인철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진영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선희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물 생물 검정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오염 시료의 희석 최소화의 필요 조건인 낮은 균주와 시료의 비율(0.5 : 9.5)에서도 실험을 수행할 정도의 발광 활성이 관찰되었다. Sodium lactate와 $KNO_3$를 첨가한 조건에서 대조군에 대해 약 2.6~4.0배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시료 희석(추출)용액으로는 발광 영향에 중요한 끼치지 않는 증류수와 MSM이 적절하였다. 본 방법은 중금속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였지만 유기오염물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지역의 토양 시료추출액은 대조군의 29~111% 발광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별 총중금속 농도와 독성 영향 간의 상관성을 예측하기는 어려웠지만 시료의 중요 오염물(비소)에 기준한 두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높은 비소와 낮은 비소 그룹은 각 44%와 20%의 독성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factors affecting on the bioassay were investigated. Experiments with a low mixture ratio (cell to toxicant solution) of 0.5 : 9.5 (v/v) produced observable bioluminescence intensity for assay. Both sodium lactate and potassium nitrate stimulate bioluminescence activity; 2.6~4.0 times of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테리아의 발광 특성을 이용한 독성법의 신속, 간편, 민감성 등의 장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양시료에 대한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토양 시료에 적용하기 전에 순수 오염물에 대한 민감도 및 오염물별 차이와 검정법 개선을 위한 조건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 박테리아의 발광 특성을 이용한 독성법의 신속, 간편, 민감성 등의 장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양시료에 대한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토양 시료에 적용하기 전에 순수 오염물에 대한 민감도 및 오염물별 차이와 검정법 개선을 위한 조건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 오염물이 주변 지하수계에 영향을 줄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기초 평가를 균주의 발광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검정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본 조건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매우 낮은 발광상태에서는 발광촉진제를 사용하여 검정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유전자 재조합(xyl-lux) 발광균주에 대해서 발광활성 촉진제로 조사된 화합물(sodium lactate, KNO3)이 본 검정법 사용 균주 RB1436의 발광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균주와 시료의 비율 0.
  • 시료의 희석과 추출에 사용하는 용액이 발광 활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다음 용액에 대해서 조사하였다(균주와 시료 1:9조건): 증류수, 인산염 완충액(p-buffer), MSM, 배양액(LB). 특정 조건에서의 낮은 발광에 의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발광 촉진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상이한 발광균주에 대해서 적당한 촉진인자로 알려진 sodium lactate (2 g C/L, C3H5NaO3) 와 KNO3 (20 g KNO3/L)가 발광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테리아를 이용한 독성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진핵생물인 어류, 물벼룩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가 높고 부가적인 시험조작을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사용 측면에서 오염 환경 평가가 용이한 박테리아의 특성을 이용한 독성시험법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7) 박테리아를 이용한 독성방법으로는 효소활성도(enzyme activity) 및 생합성, ATP, 호흡률(respiration), 효소 혹은 세포 생존률 (viability), 발열량 등을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으며,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십 분에서 수 시간 내로 타 시험법보다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8) 박테리아의 다양한 특성 중에서 생물발광(bioluminescence)은 특정 유기화합물이 효소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에너지의 형태로 체외로 나오는 일종의 광화학반응 현상이다.
생물발광이란 무엇인가? 7) 박테리아를 이용한 독성방법으로는 효소활성도(enzyme activity) 및 생합성, ATP, 호흡률(respiration), 효소 혹은 세포 생존률 (viability), 발열량 등을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으며,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십 분에서 수 시간 내로 타 시험법보다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8) 박테리아의 다양한 특성 중에서 생물발광(bioluminescence)은 특정 유기화합물이 효소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에너지의 형태로 체외로 나오는 일종의 광화학반응 현상이다. 생물발광 이용 검정법은 높은 민감도, 낮은 배경영향, 빠른 반응, 쉬운 측정 등의 특성 때문에 환경독성 평가에 효율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생물학적 독성을 검출하기 위한 생물검정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생물검정법(bioassay)은 다양한 물리, 화학적 방법들과 더불어 중요한 수단이다.6)독성시험법은 시험기간에 따라 급성(acute) 및 만성(chronic)독성으로 대개 나뉘며, 진핵생물 이용법(어류, 무척추 동물 조류 및 원생동물 등)과 원핵생물이나 효소 이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핵생물인 어류, 물벼룩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가 높고 부가적인 시험조작을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사용 측면에서 오염 환경 평가가 용이한 박테리아의 특성을 이용한 독성시험법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sieh, C. Y., Tsai, M. H., Ryan, D. K. and Pancorbo, O. C., "Toxicity of the 13 priority pollutant metals to Vibrio fisheri in the Microtox chronic toxicity test," Sci. Tot. Environ., 320 (1), 37-50(2004). 

  2. Brammer, H. and Ravenscroft, P., "Arsenic in groundwater: A threat to sustainable agriculture in South and South-east Asia," Environ. Int., 35, 647-654(2009). 

  3. Bolt, H. M. and Hengstler, J. G., "The past and the future of toxicology," Arch. Toxicol., 82, 1-3(2008). 

  4. West, O. R., Siegrist, R. L., Mitchell, T. J. and Jenkins, R. A., "Measurement error and spatial variability effects on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s in the subsurface," Environ. Sci. Technol., 29, 647-656(1995). 

  5. Zhou, E. and Crawford, R., "Effects of oxygen, nitrogen, and temperature on gasoline biodegradation in soil," Biodegradation, 6, 127-140(1995). 

  6. Toussaint, M. W., Shedd, T. R., Schailie, W. H. and Leather, G. R., "A comparison of standard acute toxicity tests with rapid-screening toxicity tests," Environ. Toxicol. Chem., 14, 907-915(1995). 

  7. Ptitsyn, L. R., Horneck, G., Bpmer, M. and Rettberg, P., "A biosensor for environmental genotoxin screening based on an SOS lux assay in recombinant E. coli cells," Appl. Environ. Microbiol., 63, 4377-4384(1997). 

  8. Bitton, G., Garland, E.. Kong, I. C., Morel, J. L. and Koopman, B., "A direct solid-phase assay specific for heavy metal toxicity," I. Methodol. Soil Contam., 5(4), 385-394(1996). 

  9. Gupta, G. and Karuppiah, M., "Toxicity study of a Chesapeake bay tributary-Wicomico river," Chemosphere, 32, 1193-1215(1996). 

  10. Kim, B. C. and Gu, M. B., "A bioluminescent sensor for high throughput toxicity classification," Biosen. Bioelectro., 18, 1015-1021(2003). 

  11. Goicolea, A., Barrio, R. J., Balugera, S. G., Goroztiza, I., Vicente, A. S. and Diaz, A. I., "Study of the toxicity in industrial soils by the bioluminescence assay," J. Environ. Sci. Health A, 33(5), 863-875(1998). 

  12. Ghirardini, A. V., Girardini, M., Marchetto, D. and Pantani, C., "Microtox solid phase test: Effect of diluents used in toxicity test," Ecotoxicol. Environ. Safety., 72, 851-861 (2009). 

  13. Mariscal, A., Peinado, M. T., Carnero-Varo, M. and Fernandez- Crehuet, J., "Influence of organic solvents on the sensitivity of a bioluminescence toxicity test with Vibrio harveyi," Chemosphere, 50, 349-354(2003). 

  14. U. S. EPA., "Using toxicity tests in ecological risk assessment," Publication 9345.0-051(1994). 

  15. Ko, K. S. and Kong, I. C., "Conditions required for the stimulation of bioluminescence activity of the genetically engineered bacteria, P. putida mt-2 KG1206, preserved by deepfreezing," Sci. Tot. Environ., 407, 2427-2430(2009). 

  16. Cooper, C., "Use of Microtox for assessing heavy metal complex formation with the organic solvents acetonitrile and dimethyl sulphoxide: a preliminary study,"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7, 526-534(2001). 

  17. Lajoie, C. A., Lin, S.-C., Nguyen, H. and Kelly, C. J., "A toxicity testing protocal using a bioluminescece reporter bacterium from activated sludge," J. Microbiol. Meth., 50, 273- 282(2002). 

  18. Scheers, E. M., van der Wielen, C. and Dierickx, P. J., "Toxicological evaluation of waste water samples to appropriately sensitized culture fathead minnow cells compared with the Microtox assay,"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8, 253- 260(2002). 

  19. Ren, S. and Frymier, P. D., "Toxicity estimation of phenolic compounds by bioluminescent bacterium," J. Environ. Eng., 129(4), 328-335(2003). 

  20. Holtel, A., Marques, S., Mohler, I., Jakubzik, U. and Timmis, K. N., "Carbon source-dependent inhibition of xyl operon expression of the Pseudomonas putida TOL Plasmid," J. Bacteriol., 176(6), 1773-1776(1994). 

  21. 공인철, 권효정, 고경석, "다양한 생물 검정법에 근거한 비소의 위해성 평가 비교," 대한환경공학회지, 32(8), 795-801 (2010). 

  22. van Poucke, S. O. and Nelis, H. J., "Development of a sensitive chemiluminometric assay for the detection of beta-galactosidase in permeabilize coliform bacteria and comparison with fluorometry and colorimetry," Appl. Environ. Microbiol., 61, 4505-4509(1995). 

  23. Fairbrother, A., Wenstel, R., Sappington, K. and Wood, W., "Framework for metals risk assessment," Ecotoxicol. Environ. Safety., 68, 145-227(2007). 

  24. Mankiewicz-Boczek, J., Nalecz-Jawecki, G., Drobniewska, A., Kaza, M., Sumorok, B., Izydorczyk, K., Zalewski, M. and Sawicki, J., "Application of a microbiotests battery for complete toxicity assessment of rivers," Ecotoxicol. Environ. Safety., 71, 830-836(2008). 

  25. Kungolos, A., Emmanuil, C., Tsiridis, V. and Tsiropoulos, N., "Evaluation of toxic interactive toxic effects of three agrochemicals and copper using a battery of microbiotests," Sci. Tot. Environ., 407, 4610-4613(2009). 

  26. Castillo, G. C., Vila, I. C. and Neild, E., "Ecotoxicity assessment of metals and wastewater using multitrophic assays," Environ. Toxicol., 15, 370-375(2000). 

  27. Ren, S. and Frymier, P., "Toxicity of metals and organic chemicals evaluated with bioluminescence assays," Chemosphere, 58, 543-550(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