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매립지반의 도시철도 시공에 따른 구조물 침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Settlement due to Urban Railway Construction on Reclaimed Land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1 no.1, 2012년, pp.23 - 33  

신은철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임용관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박정준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대상 현장은 굴착심도가 약 20m 내외로 사업 전구간을 개착공법으로 계획하였고, 흙막이 가시설공법은 굴착심도까지 쉬트파일과 버팀보 공법을 적용하여 도시철도 하부기초에서 계측된 침하 자료를 사용, 시공 중 대상 현장에서 발생된 지반공학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 1구간과 제 2구간에 간극수압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연속적인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의 변화와 하부지반 침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물 하부기초 계측자료와 기존 문헌의 지반정수를 적용하여 계측시점에 해당하는 침하량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CAIN RDA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추가하중을 고려하여 장기침하를 산정하였다. 해석 결과, 6개 구간에서 5.94~12.77cm의 침하가 발생되어 제 2구간에서의 침하량이 12.77cm로 허용 침하량 10.0cm보다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bility of urban railway foundation can be a problem due to the excessive settlement. The settlement at the base of railway is monitored by the installed settlement gauges. The piezometer and pore water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re installed to measure the variation of pore water pressu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계측 현황과 침하량은 표 4와 같으며 연구 대상지역의 6개 구간에서 침하량을 계측하였다. 그림 8은 구조물 하부지점의 종단면 설계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것이다.
  • 기존에 실시된 토질조사 자료 및 설계자료를 토대로 구조물 시공 후 되메우기가 완료된 본 연구대상 현장의 구조물 하부지반에 대한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의 변화와 구조물 하부기초의 침하를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 1구간과 제 2구간에 간극수압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연속적인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의 변화와 하부지반 침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물 하부기초 계측자료와 기존 문헌의 지반정수를 적용하여 계측시점에 해당하는 침하량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추가하중을 고려한 장기침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 현장의 기존 문헌 자료 및 현장사례를 평가하고, 도시철도 하부기초에서 계측된 침하 자료를 사용, 시공 중 발생된 지반공학적 문제점 분석과 쉬트파일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 변화와 하부지반의 침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물 하부기초 계측자료와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얻은 침하량을 비교 분석하고, 추가하중을 고려한 장래 침하를 예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유한요소망에 사용된 요소는 절점과 매개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경계조건 중에서 변위는 양 측면에서 수평 변위만 구속하였고 바닥면에서는 수평 및 연직방향에 대하여 구속하였다. 배수에 대한 경계조건은 하부 점토층 아래에 풍화토 내지 풍화암층이 존재하므로 지표면 부근과 연약층 바닥면에서 양면 배수를 허용하도록 하였다. 본 해석에 적용된 해석단계는 최대한 실제적으로 수행된 공사과정 및 기간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 공사 현장에서 갑작스런 지하수위의 감소는 간극수압 역시 감소되는 만큼 하중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주변 건물 및 지반 침하로 나타나므로 허용 침하량 이상의 침하 요인이 될 소지가 크다. 본 연구 대상 현장의 경우 쉬트파일 인발에 따라 침하가 발생되었으므로 쉬트파일 인발 여부에 따라 구조물 하부지반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진동 해머식 및 유압식 인발 방법을 적용하여 인발 시 간극수압과 지하수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계측하였다. 진동 해머식 인발의 경우에는 인발시점으로부터 인발길이 23∼28m의 쉬트 파일을 한 번에 연속적으로 인발하였으며, 유압식 인발의 경우에는 인발길이가 8∼10m 까지 반복 인발 후 남은 파일 길이는 진동해머식 인발기를 통하여 인발하였다.
  • 본 연구 대상지역의 토목공사는 되메우기 후 도상부설 작업과 부대공사가 진행중이며 구조물 하부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물 기초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레벨측정 장비를 이용하였다. 침하계측은 계측기에 의한 계측관리가 원칙이나 층별 침하계의 경우 되메우기 후 도로의 시공과 쉬트 파일 인발로 인하여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계측기 손상으로 인하여 구조물 하부 지반의 침하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 본 연구 대상현장에서는 토류공법 선정시 설계목적, 지형, 지질 및 토질, 시공환경, 공정 등을 고려하여 해안매립지층으로 지하수가 높고, 연약한 지층으로 차수가 시공중에 큰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 수밀성이 우수하고 차수성이 양호한 쉬트파일 공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대상 지역의 제 5구간에서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지반침하를 계측하였으며, 이 구간은 정거장구간을 포함하며 전 구간에 걸쳐 직선형이다. 또한, 제 4구간의 종점으로부터 정거장 구간에 이르는 본선 구간의 단면의 폭은 일정하고, 정거장 구간에서 단면의 폭이 확장된다.
  • 본 연구에서 적용된 구조물 또한 해안 매립 지반에 시공된 도시철도 연장사업의 일환으로서 건설공법은 굴착심도가 약 20m 내외로 연장사업 전구간이 개착공법으로 수행되었고, 흙막이 가시설공법은 굴착심도까지 해성퇴적토인 실트질 점토와 사질토로 구성되어 있어 쉬트파일과 버팀보 공법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토목공사 수행 중 가시설 구조체의 침하, 보일링 및 파이핑 현상에 의한 지반 침하 등 여러 가지 지반공학적 문제들이 발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 현장의 기존 문헌 자료 및 현장사례를 평가하고, 도시철도 하부기초에서 계측된 침하 자료를 사용, 시공 중 발생된 지반공학적 문제점 분석과 쉬트파일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 변화와 하부지반의 침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물 하부기초 계측자료와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얻은 침하량을 비교 분석하고, 추가하중을 고려한 장래 침하를 예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배수에 대한 경계조건은 하부 점토층 아래에 풍화토 내지 풍화암층이 존재하므로 지표면 부근과 연약층 바닥면에서 양면 배수를 허용하도록 하였다. 본 해석에 적용된 해석단계는 최대한 실제적으로 수행된 공사과정 및 기간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총 3단계의 되메우기 후 일정기간을 방치하고 녹지성토와 열차하중을 고려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단면 해석에 사용된 지반정수는 표 6과 같다.
  • 이에 대상 현장의 기존 문헌 자료 및 현장사례를 평가하고, 도시철도 하부기초에서 계측된 침하 자료를 사용, 시공 중 대상 현장에서 발생된 지반공학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 1구간과 제 2구간에 간극수압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연속적인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의 변화와 하부지반 침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물 하부기초 계측자료와 기존 문헌의 지반정수를 적용하여 계측시점에 해당하는 침하량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추가하중을 고려한 장기침하를 산정하였다.
  • 연구대상 현장의 쉬트파일 인발에 따라 구조물 하부지 반의 교란되고 연약화된 것으로 판단되어 하부지반의 지층상태 및 거동 특성 분석을 위해 1 구간과 2 구간 각각 5곳, 8곳에 심도 17∼21m 위치까지 시추조사와 표준관입 시험을 수행하여 지층의 연경도 및 조밀도를 나타내는 N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 유한요소망에 사용된 요소는 절점과 매개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경계조건 중에서 변위는 양 측면에서 수평 변위만 구속하였고 바닥면에서는 수평 및 연직방향에 대하여 구속하였다. 배수에 대한 경계조건은 하부 점토층 아래에 풍화토 내지 풍화암층이 존재하므로 지표면 부근과 연약층 바닥면에서 양면 배수를 허용하도록 하였다.
  • 이에 대상 현장의 기존 문헌 자료 및 현장사례를 평가하고, 도시철도 하부기초에서 계측된 침하 자료를 사용, 시공 중 대상 현장에서 발생된 지반공학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 1구간과 제 2구간에 간극수압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연속적인 쉬트파일 인발에 따른 간극수압 및 지하수위의 변화와 하부지반 침하를 평가하였다.
  • 본 해석에 적용된 해석단계는 최대한 실제적으로 수행된 공사과정 및 기간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총 3단계의 되메우기 후 일정기간을 방치하고 녹지성토와 열차하중을 고려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단면 해석에 사용된 지반정수는 표 6과 같다.

대상 데이터

  • 공사현장의 지반조사 자료를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구조물 기초저면 지반은 잡석치환 2m, N치가 50 이상인 자갈층 7m, N치가 20 이상인 실트질 점토 5m, N치가 12정도인 점토 퇴적층 9m로 구성되어 있다. 길이 26m 정도의 U-Type 쉬트파일 인발을 위하여 진동해머가 사용되었다. 즉, 구조물 박스 상부의 되메우기 종료 후 쉬트파일의 인 발에 따른 침하량은 38mm 정도로 나타났다.
  • 대상 현장은 준설매립지역으로서 G.L. -16m∼G.L.-18m 의 위치에 구조물 기초공사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0m, 열차하중이 33 KN/m2이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되는 되메우기 및 녹지성토를 위한 토사는 인근 사토장에 적치되어 있는 대상 현장의 굴착 토사로서 점토질 실트이며 해석을 위한 물성치 또한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 연구대상지역의 지질은 주로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및 이를 관입한 쥬라기의 흑운모 화강암이 기반암을 이루며, 기반암은 흑운모 화강암으로써 기반암 상부에는 장기간의 풍화로 생성된 풍화토 및 풍화암이 덮고 있고 풍화대 상부는 해수에 의해 운반 퇴적된 해성퇴적층이 덮고 있다.

이론/모형

  • 본 연구 대상 검토 구간의 최종 침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2차원 유한요소프로그램인 CAIN RDA(CAIN RDA, Crip Aided Internet For Roadbed Thickness Design and FE Analysis)를 사용하였고, CAIN RDA는 2차원 유한요소프로그램이며 철도 노반 해석/설계 통합 자동화 분야, 연약지반 개량 공법 해석 분야(SCP, PBD)등으로 일반적인 지반분야 뿐만 아니라 특화시공까지 도입될 수 있는 지반 법용 유한요소 해석/설계 프로그램이다(지구환경전문가그룹, 2008; Russell, 1990; Woods and Clayton, 19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안의 해안매립 공사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러한 해안 매립지는 과거에 농업, 공업단지로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에 와서는 주거부지 및 상업부지로도 그 활용영역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서해안에서는 새만금 간척산업 및 경제자유구역 건설을 위한 해안매립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해안 매립지의 활용영역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최근 국내에서는 공유수면 매립으로 부지를 확보하는 대규모 매립공사들이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해안 매립지는 과거에 농업, 공업단지로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에 와서는 주거부지 및 상업부지로도 그 활용영역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서해안에서는 새만금 간척산업 및 경제자유구역 건설을 위한 해안매립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매립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이처럼 매립지는 준설선이나 펌프선을 이용해 매립하거나 해성퇴적토로 일부 매립한 이후 상부에 양질의 토사나 암반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 2차 압밀완료이후에도 지하수위가 매우 높고, 해성점토, 실트질 점토, 느슨한 사질토 등의 연약지반이 매립층 하부에 그대로 존재하므로 전단강도가 작고 압축성이 커서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구조물의 활동파괴나 과대침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해안 매립 연약지반의 토목공사 수행을 위해서는 흙막이 벽체의 변형 및 붕괴, 주변 지반의 침하, 시공 완료 후 본 구조물의 침하, 주변 구조물의 안정성 저하와 더불어 상하수도, 전력, 도시가스 등의 지중구조물 등의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올바른 시공과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나승남 (2002), "연약지반의 현장계측에 의한 침하량 추정 기법에 관한 특성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pp.307-310. 

  2. 박정준, 김성환, 신은철 (2008), "토목섬유매트를 활용한 호안축조공사 사례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7 권, 제2호, pp.7-13. 

  3.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2004a), 인천도시철도 1호선 송도연장건설사업 지반조사보고서(설계 1구간-설계 3구간). 

  4.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2004b), 인천도시철도 1호선 송도연장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설계 1구간-설계 3구간). 

  5. 지구환경전문가그룹 (2008), CAIN RDA USER & Technical Manual. 

  6. Russell, D. (1990), "An element to model thin, highly permeable materials in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consolidation analyses", Proc. 2nd European Speciality Conference on Numerical Method in Geotechnical Engineering, Santander, pp.303-310. 

  7. Woods, R. I. and Clayton, C. R. I. (1992), "The application of CRISP finite element program to practical retaining wall problems", Proc. ICE Conference on Retaining Structures, Cambridge, UK. 

  8. Clough, G. W. and Chameau, J. L. (1980), "Measured Effects on Vibratory Sheetpile Driving",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104 GT10, pp.1081-1099. 

  9. Kim, D. S. and Drabkin, S. (1995), "Investigation of Vibration Induced Settlement using Multi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GTJODJ, Vol.18, No.4, pp.463-471. 

  10. Leathers, F. D. (1994), "Deformations in Sand Layer During Pile Driving", Proceedings of Settlement '94, Vertical and Horizontal Deformations of Foundations and Embankments, Vol.1, pp.257-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