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령기 아동의 일상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영향
The Effect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Daily Str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2, 2012년, pp.163 - 175  

장영애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daily stress. The subjects were 292 children selected from 4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parenting efficacy index, paren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결과들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도 자녀의 일상스트레스에 관계되는 변인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도 함께 고려하여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일상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일상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일상스트레스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일상스트레스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일상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일상스트레스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일상스트레스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볼 때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각각이 아동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있으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하고,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발견할 수 없었다.
  • 그러나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의 양육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므로 이 두 변인의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해보는 일은 부모의 양육에 관련되는 변인을 이해하는데 의의 있는 일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부모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아동발달을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즉, 아동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의 차이,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학령기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즉, 아동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의 차이,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학령기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부모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아동 발달을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한편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일부의 4, 5, 6학년 아동으로 제한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학령기 아동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의 일상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 특히,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머니, 아버지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아동의 학년과 성별에 따라 아동의 일상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가?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아동의 성격이나 기질 등 아동의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아동의 스트레스를 설명하려 노력해 왔다(Gamezy 1991; Shin & Kim 1996). 따라서 아동의 스트레스를 아동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으로 설명하거나 예측하려는 연구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할 수 있다(Doh 1996; DuBois et al.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는 주요변수는 무엇인가? 1991; Han & Yoo 1995). 일상의 반복된 경험을 통해 누적된 스트레스는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는 주요변수로 설명(Carson et al. 1992)되고 있기 때문에, 아동의 발달적 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 경험하는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요구 된다는 것이다.
아동을 둘러싼 환경변인 중 가정은 어떤 곳인가? 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 중 가정은 인간이 가장 처음 접하는 일차적 사회로서 인간 행동의 기초를 확립하는 곳이다. 가정은 한 개인의 정의적 특성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집단이며, 가정생활의 각종 경험과 학습을 통해 인간의 성격형성의 기초가 형성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idin RR(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 Manual Pediatric PSYC. 

  2. Bae KY(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Stress of Infants and the Raising Stress of Both Job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Korea. 

  3. Bandura A(1982)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37, 122-147. 

  4.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5. Carson DK, Swanson DM, Cooney MH, Gillum BJ, Cuningham D(1992) Stress and coping as predictor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Child Study J 22, 273- 302. 

  6. Cha KS(1997) The Influence of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Mode of Mothers on Children's Self-esteem Reported by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Choe HS(2002)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HS, Chung OB(2000)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J Child Development 22(3), 1-15. 

  9. Choi SY(1991) A Study on Children's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10. Coleman PK, Korraker KH(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f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11. Crnic KA, Greenberg MT(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12. Dabow EF, Tisak J, Causey D, Hryshko A, Reid CT(1991)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stressful life events,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ontributions to children's behavioral and academic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2, 583-599. 

  13. Doh HS(1996) Parental warmth and control and loneliness in childr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4(6), 1-12. 

  14. DuBois DL, Felner RD, Brard S, Adan AM, Evans EG(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15. Garmezy N(1991) Resilience in children's adaptation to negative life events and stressed environments. Pediatric Annals 20, 459-466. 

  16. Han MH, Yoo AJ(1995) Development of daily stres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3(4), 49-64. 

  17. Han SY(1996)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Poorness-of-fit of Tempera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Hong HR(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aily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Jeong HI(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Efficacy, and Children's Daily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 Johnston C, Mash EJ(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21. Jun CA, Park SY(1998) Exploration of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mother's parenting stress.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 16(1), 1-11. 

  22. Jun EY(2004) Difference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Efficacy, and Children's Self-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Kang OS(2006)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Type,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Gyungnam, Korea. 

  24. Kim JY, Kim JS(1999) A study on stress in school-aged and their coping behavio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0(1), 252-261. 

  25. Kim KU(200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won University, Gyeonggi, Korea. 

  26. Kim KU, Park SY(1995) The Role of Father in Child Developement.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7. Kim MY(1999)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s upon Children's Coping Behavior with Daily Stre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8. Lazarus RS, Folkmans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29. Lee CI(2001) A Study on the Stres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nd Their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30. Lee HJ(1997)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Maternal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Thei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JB(1990) The Influences on the Child Abuse by the Stress Related to the Parents' Life Events.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Taegu University, Kyeongsan, Korea. 

  32. Lee KS(2000)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on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3. Lee MS(2003)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Causes and Stress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nam University, Daejun, Korea. 

  34. Mash EJ, Johnston C(1983) Parental Perception of Chi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J Consulting and Clinical Paychology 51, 86-99. 

  35. Park HM(1994) A Study on Parental Stress Based on the Parenting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6. Seo YM(2001)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ocial Supports, and Coping Behavior with Stre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37. Shin EY, Kim KY(1996) A Study on the Stressor, Frequency of the Stressor,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4(4), 33-48. 

  38. Shin SJ(1997) Effect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9. Yang HY(1998) Children's Stress by Ecological Approach. Bring up competent child, Samsung Foundation, 119-144. 

  40. Yoon, SY(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Rathe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1. Yun HJ(1993) A Perception of Everyday Stress and Social Network Support in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2. Yun YH(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mothers and the Daily Stress and Problems Behaviors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Buche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