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Life of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Period of Survival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2, 2012년, pp.132 - 138  

우혜덕 (영남대학교의료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of patient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ccording to period of survival. Methods: Participants consists of 83 HSCT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regularly at out-patient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여 향후 임상현장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여 향후 임상현장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위한 기초자료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로서 생존기간 1년 미만군에서는 타인 조혈모세포이식이 가장 많았으나, 생존기간 1-3년군과 3년 이상군에서는 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이 가장 많았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생존 시기에 있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의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여 향후 각 생존기간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혈모세포이식 후 합병증에는 무엇이 있는가? 1)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5,000건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고 있으며,2) 국내에서는 1983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처음으로 시행한 후 2006년에는 38개 센터에서 9,561건의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었다.3) 조혈모세포이식 후에 급성이식편대숙주병과 만성이식편대숙주병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4) 이는 환자들의 일상생활과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유발하여 결국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5)
조혈모세포이식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이식은 재생불량성빈혈과 같은 골수기능부전 환자의 조혈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치료이며, 혈액암 환자에서는 잔존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고 이식편대항종양효과를 유도하여 완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다.1)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5,000건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고 있으며,2) 국내에서는 1983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처음으로 시행한 후 2006년에는 38개 센터에서 9,561건의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환자의 장기간 휴식은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 환자들은 일차적으로 안정과 휴식, 일상생활 활동의 제한을 권고받는데, 이러한 안정과 활동 제한으로 인한 신체활동의 부진은 근육의 소모를 낳고 피로와 허약을 초래하며 독립성을 감소시킨다. 나아가 장기간의 휴식은 기능적 역량을 감소시키고 수행능력의 상실을 초래함으로써 악순환이 생기게 된다.6) 암환자의 수행능력은 생존의 주요 예측인자이며, 치료의 예후, 우울, 치료여부 결정 등과 관련이 있고, 나아가 수행능력이 저하되면 정상적인 직업을 갖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문제, 무력감, 우울증 및 자존감 손상을 심각하게 야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JA. New therapeutic modalities o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Korean J Med 2004;78:552-6. 

  2. National Marrow Donor Program. 2010. Trends in allogeneic transplants. Available at: http://marrow.org/Physicians/Unrelated_Search_and_Transplant/Trends_in_Allo_Transplants.aspx [accessed on 9 December 2011]. 

  3. Lee JW, Kim CC. The activity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Korea. Bone Marrow Transplant 2008;42:92-5. 

  4. Park JG, Park CI, Kim NK. Oncology. Seoul:Ilchokak;2009. 

  5. Zittoun R, Suciu S, Watson M, Solbu G, Muus P, Mandelli F, et al.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prolonged first complete remissio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geneic or autologous) or chemotherapy: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ORTC-GIMEMA AML 8A trial. Bone Marrow Transplant 1997;20:307-15. 

  6. Han SH.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program on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in patients after the stem cell transplantation. Korean J Rehabil Nurs 2001;4:7-19. 

  7. Kim YS. A path analysis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dissertation]. Daegu:Kyungpook National Univ.; 2006. 

  8. Sohn SK, Kim KH, Kim SH.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07;7:3-13. 

  9. Hjermstad MJ, Knobel H, Brinch L, Fayers PM, Loge JH, Holte H,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3-5 years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 2004;34:257-66. 

  10. Bevans MF, Mitchell SA, Barrett AJ, Bishop M, Childs R, Fowler D, et al. Adjustment, quality of life symptoms (FAQS) i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survivors: A study protocol.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1;9:24-32. 

  11. Song BY, Kang HR, Kim KS.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J Korean Oncol Nurs 2008;8:40-9. 

  12. Lee SG. An methodology research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survivors [dissertation]. Seoul:Seoul National Univ.;2001. 

  13. Kang HR. Family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dissertation]. Seoul:Hanyang Univ.;2004. 

  14. Bush NE, Haberman M, Donaldson G, Sullivan KM. Quality of life 125 adults surviving 6-18 years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Soc Sci & Med 1995;40:479-90. 

  15. Kopp M, Holzner B, Meraner V, Sperner-Unterweger B, Kemmler G, Nguyen-Van-Tam DP, et al. Quality of life in adult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 patients at least 5yr after treatment. a comparison with healthy controls. Eur J Haematol 2005;74:304-8. 

  16. Song CW, Park JN, Cho SG, Lee JW, Hong YS, Min WS, et al. Results of IVAM chemotherapy in relapsed or refractory non- Hodgkin's Lymphoma. Korean J Med 2001;61:141-50. 

  17. McGill JS, Paul PB. Functional status and hope in elderly people with and without cancer. Oncol Nurs Forum 1993;20:1207-13. 

  18. Ferrans CE, Powers MJ.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 Nurs Health 1992;15:29-38. 

  19. McQuellon RP, Russell GB, Cella DF, Craven BL, Brady M, Bonomi A, et a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one marrow transplantation (FACT-BMT) scale. Bone Marrow Transplant 1997;19: 357-68. 

  20.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0. Malignant lymphoma: Cancer stage. Available at:http://www.cancer.go.kr/ncic/cics_b/03/033/125 3978_5879.html [accessed on 9 December 2011]. 

  21. Kim EK. Health promotion behavior,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Daegu:Keimyung Univ.;2009. 

  22. Yu MD. Educational needs and perceived understanding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cancer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2. 

  23. Kim EJ.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J Korean Oncol Nurs 2008;8:50-60. 

  24. Syrjala KL, Langer SL, Abrams JR, Storer B, Sanders JE, Flowers ME, et al. Recovery and long-term function after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for leukemia or lymphoma. JAMA 2004;291:2335-43. 

  25. Messerer D, Engel J, Hasford J, Schaich M, Ehninger G, Sauerland C, et al. Impact of different post-remission strategie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Haematologica 2008;93:826-33. 

  26. Lee SJ, Vogelsang G, Flower ME.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Bone Marrow Transplant 2003;9:215-33. 

  27. Gonzalez-Vicent M, Molina B, Andion M, Sevilla J, Ramirez M, Perez A, et al. Allogeneic hematopoietic transplantation using haploidentical donor vs. unrelated cord blood donor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Eur J Haematol 2011;87:46-53. 

  28. Lee SJ, Kim HT, Ho VT, Cutler C, Alyea EP, Soiffer R, et al.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acute an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Bone Marrow Transplant 2006;38:305-10. 

  29. Fall-Dickson JM, Mitchell SA, Marden S, Ramsay ES, Guadagnini JP, Wu T, et al. Oral symptom intens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rrelative salivary cytokines in adult survivor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ith oral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0;16:948-56. 

  30. Popat U, de Lima MJ, Saliba RM, Anderlini P, Andersson BS, Alousi AM, et al. Long-term outcome of reduced-intensity allogeneic hematopoietic SCT in patients with AML in CR. Bone Marrow Transplant 2012;47: 2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