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화자잡음이 말더듬의 비율과 말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Noise Effect on Stuttering and Overall Speech Rate: Multi-talker Babble Nois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2, 2012년, pp.121 - 126  

박진 (서강대학교) ,  정인기 (서강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how stuttering changes in its frequency in a situation where adult participants who stutter are exposed to one type of background noise, that is, multi-talker babble noise. Eight American English-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 subjects rea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 나아가 말더듬화자의 음성관련 변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 여러 변수 중 특히 말속도가 각 실험상황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배경잡음상황에서 발생하는 말더듬화자의 말소리의 강도, 주파수, 말속도, 장단과 같은 소위 음성관련 변수들의 변화가 말더듬 감소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는 주장(Brayton & Conture, 1978; Hayden, Jordahl, & Adams, 1982; Lechner, 1979; Shrum, 1962; Wingate, 1970) 에 대해 실험적 검증을 하기 위함이다.
  • 하지만 다화자잡음을 배경잡음으로 하는 상황에서 말더듬 빈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화자잡음을 배경잡음으로 들려주는 상황에서 말더듬 빈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또한 다화자잡음상황과 합독상황에서 말더듬 빈도 변화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화자잡음을 배경잡음으로 들려주는 상황에서 말더듬 빈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또한 다화자잡음상황과 합독상황에서 말더듬 빈도 변화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장애 영역 중 하나인 유창성장애 (fluency disorders), 그 중에서도 말더듬(stuttering)에 대해 배경 잡음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말더듬은 말빠름증(cluttering)과 더불어 대표적인 유창성장애로, 주로 말소리, 음절, 낱말 등이 비정상적으로 반복되거나 연장 (prolongation), 막힘과 같은 비운율적 음성(disrhythmic phonation)으로 말의 산출 또는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장애이다(Perkins, 1983; Van Riper, 1982; Wingate, 1988).
  • 결국, 제공된 청각자극(즉, 다화자잡음)이 말더듬을 감소시키는 주요인이라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질문 하나가 백색잡음과 다화자잡음이라는 두 배경잡음이 말더듬을 감소시키는 정도에 있어 차이를 일으키는 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를 해본다면, 백색잡음은 기계 잡음인 반면 다화자잡음은 말소리잡음이라는 차이를 주지하고, 외부 청각자극이 온전한 말소리에 근접할수록 말더듬이 감소하는 정도가 증가한다는 주장(Kalinowski et al.
  • 하지만, 배경잡음이 말더듬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백색잡음 뿐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의 배경 잡음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백색잡음과는 상이한 형태의 배경잡음인 다화자잡음(multi-talker babble noise)을 들려주는 상황에서 말더듬화자의 말더듬 빈도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화자잡음은 백색잡음과 더불어 동일한 배경잡음이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지만 분명 다른 특성을 보이는 배경잡음이다.
  • 좀 더 명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여러 자극상황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특히, 배경잡음이 말더듬 빈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백색잡음, 다화자잡음 등을 포함한 여러 배경잡음을 이용한 포괄적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기본적인 실험 방법을 확대해 단순한 실험내 상황이 아닌 임상과 연계된 독백 또는 대화상황에서의 연구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읽기상황(TSR, Typical Solo Reading)과 다화자잡음을 배경잡음으로 하는 읽기상황(BNR, Multi-talker Babble Noise Reading)에서 말더듬화자의 말더듬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일반합 독상황(TCR, Typical Choral Reading)과 BNR에서 말더듬화자의 말더듬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셋째, 각 실험 상황에서 말더듬화자의 말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읽기상황(TSR, Typical Solo Reading)과 다화자잡음을 배경잡음으로 하는 읽기상황(BNR, Multi-talker Babble Noise Reading)에서 말더듬화자의 말더듬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일반합 독상황(TCR, Typical Choral Reading)과 BNR에서 말더듬화자의 말더듬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셋째, 각 실험 상황에서 말더듬화자의 말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더듬이란 어떠한 장애입니까?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장애 영역 중 하나인 유창성장애 (fluency disorders), 그 중에서도 말더듬(stuttering)에 대해 배경 잡음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말더듬은 말빠름증(cluttering)과 더불어 대표적인 유창성장애로, 주로 말소리, 음절, 낱말 등이 비정상적으로 반복되거나 연장 (prolongation), 막힘과 같은 비운율적 음성(disrhythmic phonation)으로 말의 산출 또는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장애이다(Perkins, 1983; Van Riper, 1982; Wingate, 1988).
백색잡음(white noise)이란 무엇입니까? 현재까지 말더듬 빈도와 관련된 배경잡음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잡음은 백색잡음(white noise)이다. 이는 인간의 가청영역주파수대인 20Hz에서 20kHz 범위에서 비교적 일정한 에너지 밀도를 보이는 무작위적 기계신호이다(Fastle & Zwicker, 2007; Katz & Lezynski, 2002). 이러한 백색잡음을 배경잡음으로 들려주는 상황에서 말더듬화자에게 대화를 하게 한다든지 일정량의 글을 소리 내어 읽게 할 때 말더듬 빈도가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것이다(Brayton & Conture, 1978; Cherry, Sayers & Marland, 1955; Garber & Martin, 1974; Ingham, Southwood, & Horsburgh, 1981; Martin & Haroldson, 1979).
일반적으로 배경잡음은 정상적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일반적으로 배경잡음(backgroud noise)은 정상적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Cainer, James, & Rajan, 2008; Sperry, Wiley, & Chial, 1997; 이성희 외, 2009). 이는 배경잡음이 의사소통 맥락 안에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실체인 말전달을 방해하는 주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장애 영역에서 배경잡음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배경잡음이 주로 어음인지력(speech intelligibility)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주지할 때, 특히 청각장애 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행해져 왔다(Bronkhort & Plomp, 1989; Daniel, 2007; Zurek & Delhorne,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S. H., Shim, H. J., Yoon, S. W., & Lee, K. W. (2009). Effects of various background noises on speech intelligibility of normal hearing subjects,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ery, Vol. 52, 307-311. (이성희, 심현준, 윤상원, 이경원 (2009). 배경소음의 유형이 정상인의 어음인지력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ery 52호, 307-311.) 

  2. Andrews, G., Howie, P. M., Dozsa, M., & Guitar, B. E. (1982). Stuttering: Speech pattern characteristics under fluencyinducing condition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25, 208-216. 

  3. Bloodstein, O. (1995). A Handbook on Stuttering (5th ed.), Clifteon Park, NY: Thomson-Delmar. 

  4. Bloodstein, O. & Bernstein Ratner, N. (2006) A Handbook of Stuttering (6th ed.), Clifteon Park, NY: Thomson-Delmar. 

  5. Bronkhorst, A. W. & Plomp, R. (1989). Binaural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for hearing-impaired listener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86, No. 4, 1508-1516. 

  6. Brayton, E. R. & Conture, E. G. (1978). Effects of noise and rhythmic stimulation on the speech of stutter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21, 285-294. 

  7. Cainer, K. E., James, C., & Rajan, R. (2008). Learning speech-in-noise discrimination in adult humans, Hearing Research, Vol. 238, 155-164. 

  8. Cherry, C., Sayers, B., & Marland, P. M. (1955). Experiments on the complete suppression of stammering, Nature, Vol. 176, 874-875. 

  9. Conover, W. J. (1980).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Toronto: John Wiley and Sons. 

  10. Daniel, E. (2007). Noise and hearing loss: A review, Journal of School Health, Vol. 77, No. 5, 225-231. 

  11. Dreschler, W. A., Vershuure, H., Ludvigsen, C., & Westermann, S. (2001). ICRA noises: Artificial noise signals with speech-like spectral and temporal properties for hearing instrument assessment, Audiology, Vol. 40, 148-157. 

  12. Dunn, L. M. & Dunn, L. M. (1997).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Third Edition, Bloomington, MN: Pearson Assessments. 

  13. Fastle, H. & Zwicker, E. (2007).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auditory system. In Fastle, H. & Zwicker, E. (Eds.). Psychoacoustics (3rd ed), 61-110, Berlin: Springer. 

  14. Garber, S. E. & Martin, R. R. (1974). The effects of white noise on the frequency of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7, 73-79. 

  15. Hayden, P. A., Jordahl, N., & Adams, M. R. (1982). Stutterers' voice initiation times and during condition of novel stimulatio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 7, 1-7. 

  16. Ingham, R. J., Southwood, H., & Horsburgh, G. (1981). Some effects of the Edinburgh masker on stuttering during oral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Vol. 6, 135-154. 

  17. Jastak, J. & Jastak, S. (1984). Wide Range Achievement Test-Revised, Washington, DE: Jastak Associates. 

  18. Kalinowski, J. & Saltuklaroglu, T. (2003). Choral speech: the amelioration of stuttering via imitation and the mirror neuronal system,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Vol. 27, 339-347. 

  19. Kalinowski, J., Saltuklaroglu, T., Guntupalli, V., & Stuart, A. (2004). Gestural recovery and the role of forward and reversed syllabic repetitions as stuttering inhibitors in adults, Neuroscience Letters, Vol. 363, 144-149. 

  20. Katz, J. & Lezynski, J. (2002). Clinical masking. In Katz J. (Ed.).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5th ed.), 124-141,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 Kern, A. (1932). Der Einfluss des Horens auf das Stottern, Arch. Psychiatr. Nervenkr., Vol. 97, 429-450. 

  22. Lechner, B. K. (1979). The effects of delayed auditory feedback and masking on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stutterers and nonstutter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22, 343-353. 

  23. Martin, R. R. & Haroldson, S. K. (1979). Effects of five experimental treatments o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22, 132-146. 

  24. Maraist, J. A. & Hutton, C. (1957). Effects of auditory masking upon the speech of stutter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22, 385-389. 

  25. Martin, R. R., Johnson, L. J., Siegel, G. M., & Haroldson, S. K. (1985). Auditory stimulation, rhythm, and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28, 487-495. 

  26. Onslow, M., Andrews, C., & Costa, L. (1990). Parental severity scaling of early stuttered speech: Four case studies, Australian Journal of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Vol. 18, 47-61. 

  27. Onslow, M., Packman, A., & Harrison, E. (2002). The Lidcombe Program of Early Stuttering Intervention: A Clinician's Guide. Austin, TX: Pro-Ed. 

  28. Perkins, W. H. (1983). The problem of definition: commentary o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48, 246-249. 

  29. Rami, M. K., Kalinowski, J., Rastatter, M. P., Holbert, D., & Allen, M. (2005). Choral reading with filtered speech: Effect on stutter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 100, 421-431. 

  30. Shane, M. L. S. (1955). Effects on stuttering of alteration in auditory feedback. In Johnson, W. & Leutenegger, R. R. (Eds.). The Production of Speech, pp. 109-136. New York: Springer. 

  31. Shrum, W. F. (1962).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sking noise and increased vocal intensity on the frequency of stuttering [Abstract], ASHA, Vol. 4, 408. 

  32. Sperry, J. L., Wiley, T. L., & Chial, M. R. (1997).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in various background competitor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Vol. 8, 71-80. 

  33.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Wingate, M. E. (1970). Effect on stuttering of changes in audi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3, 861-873. 

  35. Wingate, M. E. (1988). The Structure of Stuttering: A Psycholinguistic Analysis, New York: Springer. 

  36. Zurek, P. M. & Delhorne, L. D. (1987). Consonant reception in noise by listeners with mild and 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82, 1548-1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