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정 노동에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play Rule Fairness Perception and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on Emotional Labor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37 no.2, 2012년, pp.57 - 72  

강원경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  김민수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  오원경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erators that reliev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have been studied such as job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variables. But as reviewing these studies, they focused on the degree of emotional on certain condition, there's no distinction between that degree and moderating effects.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정 노동은 정신노동이나 육체노동과 마찬가지로 직무 수행과정의 긴장을 필수적으로 수반하며 임금을 얻기 위한 목적에서 의무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16, 44]. 기존의 감정 노동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정 노동의 부정적 결과물로 연구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 스트레스를 결과변수와의 매개요인으로서 가정함으로써 두 가지 단계에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 변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무적으로 감정 노동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정 노동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필요함과 동시에 감정 노동으로 유발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정 노동의 영향에 있어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와 표현 규칙의 공정성 지각,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정 노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무 스트레스는 감정 노동과 직무 만족의 부적인 관계와 감정 노동과 이직 의도의 정적인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정 노동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 스트레스가 매개한다는 가정을 함으로써 감정 노동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감정 노동은 정신노동이나 육체노동과 마찬가지로 직무 수행과정의 긴장을 필수적으로 수반하며 임금을 얻기 위한 목적에서 의무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16, 44].
  •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측정한 변인들이 서로 잘 변별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두 가지 경우의 요인 모형을 비교하였다. 또한 모형의 적합도 추정 시, 감정 노동, 직무 스트레스,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 변수들의 경우 측정 문항들을 항목 묶기(item parceling) 방법을 사용하여 4개의 변수로 축소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감정 노동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역할을 고찰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조직의 개입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 노동으로 인해 유발된 스트레스는 직무에 의한 스트레스이고 조직을 떠나지 않는 한 직무를 피할 수는 없으므로, 감정 조절 능력 등의 문제점을 밝혀 해결하려는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가 구성원의 태도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직무 스트레스는 감정 노동과 구성원의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가설 2:표현 규칙이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개인일수록 감정 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정적인 관계가 약해질 것이다.
  • 가설 3-1:문제 중심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개인일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간의 부적인 관계가 약해질 것이다.
  • 가설 3-2:문제 중심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개인일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간의 정적인 관계가 약해질 것이다.
  • 가설 3: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는 직무 스트레스와 구성원의 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다음으로 <가설 2>의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의 조절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가설에서는 감정 노동이 직무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관계에 있어서, 표현 규칙에 대해 공정하다고 지각할수록 두 변수의 정적인 관계가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가설은 채택되었다. 즉, 표현 규칙에 대해 불공정하다 지각하는 개인에게 감정 노동의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볼 수 있고, 이는 연구에서 예상한 바와 일치한다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가설 3-1>과 <가설 3-2>는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이다. 연구 가설은 직무 스트레스가 구성원 태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있어서, 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가의 대처 성향이 유의미한 조절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가설 4-1>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조절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 주) 제시된 수치는 표준화 회귀계수임.
  •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 기존의 연구들에서 공정성 지각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밝히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20, 52], 본 연구에서는 감정 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공정성 지각 요소로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의 조절 효과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에서 개인은 어떤 것에 의해 제약과 제재를 받는가? 조직에서 개인은 규범과 규칙에 의해 행동을 제약 받을 뿐만 아니라, 감정 행동(emotional behavior) 또한 제재를 받는다[13]. 조직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감정 행동은 채용, 교육, 평가 그리고 보상 시스템의 공식적인 수단에 의해 전달되기도 하며 사회적 압력 등의 비공식적인 수단을 통해서 구성원들에게 전달된다[13].
직원들이 업무에서 감정 노동을 하는 형태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개인이 표현하는 감정을 강하게 제한하고, 직원의 감정 조절 정도에 따라 성과를 평가하고, 이는 구성원의 보상 및 승진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압력 아래에서 직원들은 전문가 정신(professional spirit)으로 고객을 대하고 있을 때에는 항상 명랑해 보여야 하며, 맘에 들지 않는 동료에 대한 짜증은 감추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원이 자신의 직무의 일부분으로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감정 노동(emotional labor)이라 한다[30].
조직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감정 행동은 어떤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가? 조직에서 개인은 규범과 규칙에 의해 행동을 제약 받을 뿐만 아니라, 감정 행동(emotional behavior) 또한 제재를 받는다[13]. 조직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감정 행동은 채용, 교육, 평가 그리고 보상 시스템의 공식적인 수단에 의해 전달되기도 하며 사회적 압력 등의 비공식적인 수단을 통해서 구성원들에게 전달된다[13].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개인이 표현하는 감정을 강하게 제한하고, 직원의 감정 조절 정도에 따라 성과를 평가하고, 이는 구성원의 보상 및 승진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2006. 

  2. Abraham, R.,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24(1998), pp. 229-246. 

  3. Abraham, R., "The impa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turnover,"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33, No.4(1999), pp.441-455. 

  4. Aiken, L.S. and S.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Sage. 1991. 

  5. Alloy, L.B. and C.M. Clements, "Illusions of control;Invulnerability to negative affect and depressive symptoms after laboratory and natural stresso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1(1992), pp.234-245. 

  6. Amirkhan, J.H.,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1990), pp.1066-1074. 

  7. Ashforth, B.E. and R.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1993), pp.88-115. 

  8. Bagozzi, R.P. and J.R. Edwards, "A general approach for representing construc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1(1998), pp.45-87. 

  9. Bandalos, D.L., "Assessing Sources of Error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The Effects of Sample Size, Reliability, and Model Mis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4(1997), pp.177-192. 

  10. Baron, R.M. and D.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1986), pp.1173-1182. 

  11. Beehr, T.A. and J.E. Newman,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Personal Psychology, Vol.31, No.4(1978), pp.665-699. 

  12. Bentler, P.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1990), pp.238-246. 

  13. Bono, J.E. and M.A. Vey, "Toward Understanding Emotional Management at Work;A Quantitative Review of Emotional Labor Research," In N. Ashkanasy and C. Hartel (Eds.) Understanding Emotions in Organizational Behavior, Mahwah, NJ;Erlbaum. 2004. 

  14. Brayfield, A.H. and H.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1951), pp.307-311. 

  15. Brotheridge, C.M. and A.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2002), pp.17-39. 

  16. Brotheridge, C.M. and R.T. Lee, On the dimensionality of emotional labor;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onference on Emotions in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CA, 1998. 

  17. Brotheridge, C.M. and R.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2003), pp.365-379. 

  18. Browne, M.W.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A. Bollen and J.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1993. 

  19. Carver, C.S., M.F. Scheier, and J.K. Weintraub, "Assessing coping strategies;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1989), pp.267-283. 

  20. Colquitt, J.A., D.E. Conlon, M.J. Wesson, C. Porter, and K.Y. Ng,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3(2001), pp. 425-445. 

  21. Cranny, C.J., C.P. Smith, and E.F. Stone, Job satisfaction;How people feel about their jobs and how it affects their performance, New York;Lexington Books, 1992. 

  22. DeShon, R.P., K.G. Brown, and J.L. Greenis, "Does self-regulation require cognitive resources? An evaluation of resource allocation models of goal sett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1996), pp.595-608. 

  23. Diefendorff, J.M. and E.M. Richard,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display rule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2003), pp.284-294. 

  24. Ekman, P., Cross-cultural studies of facial expression. Darwin and facial expression;A century of research in review. New York; Academic, 1973. 

  25. Folkman, S. and R.S. Lazaru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1980), pp.219-239. 

  26. Grandey, A.A.,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2000), pp.95-110. 

  27. Grandey, A.A., D.N. Dickter, and H. Sin, "The customer is not always right;customer agg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of service employe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2004), pp.1-22. 

  28. Grandey, A.A., G.M. Fisk, and D.D. Steiner, "Must 'Service with a smile' be stressful?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for American and French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5(2005), pp. 893-904. 

  29. Hair, J.F., R.E. Anderson, R.L. Tatham, and W.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Upper Saddle, NJ;Prentice Hall, 1998. 

  30.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31. Jones, R.G. and R.G. Best, A further examination of the nature and impact of emotional work requiremen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cademy of Management, Vancouver, British Columbia, 1995. 

  32. Judge, T.A., J.E. Bono, and E.A. Locke,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The mediating role of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2000), pp.237-249. 

  33. Justice, D.B., R.S. Gold, and J. Klein, "Life events and burnout," Journal of Psychology, Vol.108(1981), pp.219-226. 

  34. Klein,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5. 

  35. Kruml, S.M. and D. Geddes, "Catching fire without burning out;is there an ideal way to perform emotional labor?," in N.M. Ashkanasy, C.E.J. Hartel and W.J. Zerbe (Eds.), Emotions in the Workplace;Research, Theory, and Practice, Quorum Books, Westport, (2000a), pp.177-188. 

  36. Lambert, L.S., J.R. Edwards, and D.M. Cable, "Breach and fulfillment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expanded views," Personnel Psychology, Vol. 56(2003), pp.895-934. 

  37. Lazarus, R.S., Emotion and adapta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991. 

  38. Lazarus, R.S. and R. Launier, "Stress-related transactions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Im L.A. Pervin and M. Lewis(Eds.), Perspective in interactional psychology, New York;Plenum, (1978), pp.237-328. 

  39. Lazarus. R.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1984. 

  40. Lee, R.T. and B.E. Ashforth,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1996), pp.123-133. 

  41. Lindquist, C.A. and J.T. Whitehead, "Burnou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southern correctional officers;Perceptions and causal factors," Journal of Offender Services, Counseling and Rehabilitation, Vol.10(1986), pp.5-26. 

  42. Mitchell, R.E., R.C. Cronkite, and R.H. Moos,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coupl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2(1983), pp.433-438. 

  43. Mobley, W.H., Employee turnover;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44. Parker, D.F. and T.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1983), pp.160-177. 

  45. Pugh, S.D., M. Groth, and T. Gennig-Thurau, "Willing and able to fake emotions;A closer examination of the link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employee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2011), pp. 377-390. 

  46. Rafaeli, A. and R.I. Sutton,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12(1987), pp.23-37. 

  47. Schaubroeck, J. and J.R. Jones, "Antecedents of workplace emotional labor dimensions and moderators of their effects on physical sympto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2000), pp.163-183. 

  48. Watson, D., Mood and temperament. New York;Guilford Press, 2000. 

  49. Wright, T.A. and D.G. Bonnett, "The contribution of burnout to work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18 (1997), pp.491-499. 

  50. Wright, T.A. and R. Cropanzano, "Emotional exhaustion as a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and voluntary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1998), pp.486-493. 

  51. Zapf, D., C. Seifert, B. Schmutte, H. Mertini, and M. Holz, "Emotion work and job stressors and their effects on burnout," Psychology and Health, Vol.16(2001), pp.527-545. 

  52. Zohar, D., "The justice perspective of job str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6(1995), pp.487-495.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