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Academic Burnout Among College Students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175 - 185  

이민주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김가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이준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이상민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대인관계스트레스 수준이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회귀분석과 부스트래핑, 그리고 조절된 매개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학업소진을 많이 겪음이 확인 되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는 대인관계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개인적·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대학생 학업문제 개입 방안에 있어 대인관계스트레스를 다루는 것의 실무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academic burnout, the role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interpersonal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5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and were analyzed with a regre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대학생 345명의 자료를 중심으로 개인적인 역량으로서의 학업실패내성과 사회적인 요인으로서의 대인관계스트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소진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 으로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실패 내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스트 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과 어떠한 상호작용 을 하여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생의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 원의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한 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에 영향을 미칠 때 끈기와 불굴의 의지라고 말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인 학업실패내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마 지막으로 사회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대인관계 스트 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과 같은 학업관련 개인적 요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성취관련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이는 기존의 JDR 모형을 기반으로 한 연구 에서 개인적인 역량이 뛰어난 경우에도 사회적인 자원이 부족하거나 고갈될 경우 소진이 가속화된다는 연구결과 와 일치하며 [48] 본 연구의 결과는 직업에서의 소진과 마찬가지로 학업소진에 있어서도 사회적 자원이 매우 중 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인관 계 영역의 스트레스가 사회적인 관계를 넘어 개인의 학 업소진의 수준에까지 영향을 미침을 밝혀내었다. 또 학업 소진은 학업적 성취 뿐 아니라 대학생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고려할 때, 대인관 계스트레스를 조절 및 관리하는 능력은 사회 초년생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점은 학업소 진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각 요소들이 단편적 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나아가 개 인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이 함께 상호작용하였을 경 우에 학업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적으로 살 펴보았다는 데에 있다. 또한 이 연구의 실무적 함의점은 대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에서 학업소진 예방을 위해서 학업실패내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과 적절한 개입법에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대학생 345명의 자료를 중심으로 개인적인 역량으로서의 학업실패내성과 사회적인 요인으로서의 대인관계스트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소진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 으로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실패 내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스트 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과 어떠한 상호작용 을 하여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생의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 원의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한 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에 영향을 미칠 때 끈기와 불굴의 의지라고 말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인 학업실패내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마 지막으로 사회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대인관계 스트 레스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과 같은 학업관련 개인적 요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J. B. Tan & S. Yates. (2011). Academic expectations as sources of stress in Asian students.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4(3), 389-407. DOI : 10.1007/s11218-010-9146-7 

  2. S. Kamtsios & E. Karagiannopoulou. (2015).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hardiness, academic stressors and achievement in university undergraduates. Journal of Applied Educational and Policy Research, 1(1), 53-73. DOI :10.12681/jret.762 

  3. Y. B.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Failure Tolerance and Overcoming the Degradation of Grades among Academic Excellence High School Students. Youth Research, 18(1), 31-47. 

  4. J. H.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sychological Type and Human Development, 17(1), 81-100. 

  5. H. Y. Jo. (2013). A Study on the College Level Post-Adolescents' Consciousness of Social Situation and Identitie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5(2), 367-393. 

  6. S. K. Kim. (2003). A Study on th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Youth Research, 10(2), 215-237. 

  7. S. J. Jung & H. J. Jo. (2013).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tress for Students Who Have Visited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2013(1), 265-265. 

  8. D. H. Jang.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198-298. 

  9. S. J. Lee.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the Autonomy, Relatedness, Competence,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25(4), 903-926. 

  10. M. A. Kim, S. M. Lee, H. J. Shin, Y. M. Park & J. Y. Lee.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Demand and Academic Burnout: The Role of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7(1), 69-84. DOI : 10.16983/kjsp.2010.7.1.69 

  11. H. Y. Gao. (2012). The Differences i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between Motivation Typ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3(1), 125-147. DOI : 10.15753/aje.2012.13.1.006 

  12. J. B. Eicher & S. L. Evenson. (2014). The visible self: Global perspectives on dress, culture and society. USA : Bloomsbury Publishing. 

  13. H. J. Jo, J. Y. Lee & J. Y. Jang.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Academic Demands and Academic Burnout o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3), 1605-1621. DOI : 10.15703/kjc.14.3.201306.1605 

  14. N. Kumaraswamy. (2013). Academ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a brief review.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5(1), 135-143. 

  15. N. Sohail. (2013).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medical students. Journal of College Physicians and Surgeons Pakistan, 23(1), 67-71. 

  16. B. R. Yang. (2013). A Sociological Study on the Discourse of Depressive Disorder in Korean Societ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G. S. Yoo & D. W. Shin. (2013).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on Academic Burnout and Employment Stres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6), 3849-3869. DOI : 10.15703/kjc.14.6.201312.3849 

  18. Y. M. Lee. (2014). A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0(4), 79-101. 

  19. D. H. Lee & S. W. Kang. (2006). Academic and Personal Stress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Developing Campus-wid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4), 1071-1091. 

  20. M. O. Suh. (2018).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related variable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32(1), 53-78. DOI : 10.17286/kjep.2018.32.1.03 

  21. S. H. Cho, J. H. Chung & H. J. Shin. (2017).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 349-379. DOI : 10.16983/kjsp.2017.14.3.349 

  22. Y. R. Kim & T. E. Kim. (2004). Learner's Stress, School-Related Coping and Academic Achievement.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CNUJES), 21, 5-31. 

  23. C. H. Lee. (2007).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4. E. Chang.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6(7), 29-56. DOI : 10.21509/kjys.2019.07.26.7.29 

  25. W. B. Schaufeli, M. P. Leiter, C. Maslach & S. E. Jackson. (199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In C. Maslach, S. E. Jackson & M. P. Leiter (Eds.),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3rd ed, 19-26.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6. W. B. Schaufeli, L. Martinez, A. Marques-Pinto, M. Salanova & A. B. Bakker.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 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27. H. J. Shin et al. (2012).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Focused on Suppression Effec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chool, 9(2), 289-309. DOI : 10.16983/kjsp.2012.9.2.289 

  28. R. A. Karasek.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DOI : 10.2307/2392498 

  29. H. Bosma, R. Peter, J. Siegrist & M. Marmot. (1998). Two alternative job stress model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8(1), 68-74. DOI : 10.2105/ajph.88.1.68 

  30. S. E. Hobfoll & M. Lerman. (1989). Predicting receipt of social support: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reactions to their child's illness. Health Psychology, 8(1), 61. DOI :10.1037/0278-6133.8.1.61 

  31. E. Demerouti, A. B. Bakker, F. Nachreiner & W. B. Schaufeli. (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DOI : 10.1037/0021-9010.86.3.499 

  32. W. B. Schaufeli & T. W. Taris. (2005).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burnout: Common ground and worlds apart. Work & Stress, 19(3), 256-262. DOI : 10.1080/02678370500385913 

  33. K. Y. Moon, B. R. Kim & S. M. Kim. (2018). Verification of the Job Demand- Resource Model for Predic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30(1), 121-146. DOI : 10.17927/tkjems.2018.30.1.121 

  34. J. Y. Song. (2017).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2), 335-345. 

  35. O. H. Lee. (2012). Effects of Life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Adolescent Association, 19(1), 29-57. 

  36. J. Ghorpade, J. Lackritz & G. Singh. (2007). Burnout and Personality: Evidence From Academia.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2), 240-256. DOI : 10.1177/1069072706298156 

  37. S. R. Jacobs & D. Dodd. (2003).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4(3), 291-303. DOI : 10.1353/csd.2003.0028 

  38. S. P. Nam, J. Y. Lee & J. Y. Jang. (2012).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the Academic Burnout: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Korean Society for Child Education, 21(3), 219-230. 

  39. B. G. Park & S. M. Park. (2012). Development of Academic Stress Scale. Academic Psychology Studies, 26(2), 563-585. 

  40. H. Shin, A. Puig, J. Lee, J. H. Lee & S. M. Lee. (2011). Cultural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Korean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4), 633-639. DOI : 10.1007/s12564-011-9164-y 

  41. M. M. Clifford. (1988).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risk-taking in ten-to twelve-year-old stud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8(1), 15-27. DOI : 10.1111/j.2044-8279.1988.tb00875.x 

  42. A. Y. Kim. (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1-19. 

  43. Y. H. Kim, Y. K. Jin, Y. R. Cho, J. H. Kwon, S. H. Hong & E. Y. Park. (2002). Validation of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C and KIIP-P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391-411. 

  44. S. G. Han & N. W. Chung. (2014).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rauma Exposur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Understanding Human, 35(1), 149-168. 

  45.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DOI : 10.1037/0022-3514.51.6.1173 

  46. S. H. Lin & Y. C. Huang. (2014). Life stress and academic burnout.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5(1), 77-90. DOI : 10.1177/1469787413514651 

  47. B. E. Stoliker & K. D. Lafreniere. (2015).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loneliness, and learning burnout on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College Student Journal, 49(1), 146-160. 

  48. F. Chirico. (2016). Job stress models for predicting burnout syndrome: a review. Ann Ist Super Sanita, 52(3), 443-456. 

  49. H. J. Kang, S. H. Kang & E. M. Lim. (2014).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tress, Hope,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 and the Gender Differ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4),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