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노인과 재가 노인의 다면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Comprehens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1, 2012년, pp.40 - 50  

현혜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장애경 (일리노이대학교 간호대학) ,  유수정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Methods: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114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d 99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다면적 건강상태를 포괄적 노인평가도구로 측정하여 건강 관련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의 거주유형별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변수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는 것은 시설입소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시설로의 입소를 준비하는 많은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증가를 위한 맞춤형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인의 거주 유형별 삶의 질 증진 전략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시설노인과 재가노인 모두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모두 중간 이하로 측정되었고, 특히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설 및 재가노인의 건강특성을 고려한 간호중재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의 질적인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2009).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 허약, 만성질환은 노인의 기동성과 사회활동을 제한하고 의존성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Lin et al., 2011; Yümin, Simsek, Sertel, Öztürk, & Yümin, 2011). 또한 노년기의 허약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는 타인에 대한 의존성을 증가시켜 장기요양시설(시설) 입소의 주요 원인이 되어 삶의 만족감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Degenholtz, Rosen, Castle, Mittal, & Liu, 2008; Kim & Kim, 2010). 우리나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후부터 삶의 질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노년기에 가장 낮았고(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국내 여성노인을 대상으로한 선행연구(Sohn, 2009)에서도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루푸스를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은 OECD와 G20이 포함된 39개국 중 몇 위인가? 최근 우리나라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와 세계 주요 20개국(G20)이 포함된 39개국 중 27위를 기록하여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마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Korea lags in quality of life, 2011). 인간의 최적의 안녕상태 및 행복한 삶과 관련된 삶의 질의 문제는 현대사회와 보건의료계의 궁극적인 목표로 전세계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Hellström, Andersson, & Hallberg, 2004; Kim & Lee, 2009 Shin, Byeon, Kang, & Oak, 2008).
노년기의 질적인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의 최적의 안녕상태 및 행복한 삶과 관련된 삶의 질의 문제는 현대사회와 보건의료계의 궁극적인 목표로 전세계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Hellström, Andersson, & Hallberg, 2004; Kim & Lee, 2009 Shin, Byeon, Kang, & Oak, 2008). 특히 과학기술과 의료의 발전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년기의 질적인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Drageset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wling, A., Banister, D., Sutton, S., Evans, O., & Windsor, J. (2002). A multidimen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Aging & Mental Health, 6 , 355-371. 

  2. Chang, J. M. (2007).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falls, degree of ADL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3 (2), 27-42. 

  3. Cho, E. J., Par, S. J., Lee, J. E., Lee, J. S., Kim, M. Y., & Yoon, J. Y. (2007). Results of 'short-form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pplication to elderly out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11 , 1-8. 

  4. Chung, S. Y.,, Kwon, I. S., Cho, B. L., Yoon, J. L., Rho, Y. G., Lee, E. J., et al.,(200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brie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10 (2), 67-76. 

  5. Cohen, H. J., Feussner, J. R., Weinberger, M., Carnes, M., Hamdy, R. C., Hsieh, F., et al. (2002). A controlled trial of inpatient and outpatient geriatric evaluation and managemen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6 , 905-912.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Degenholtz, H. B., Rosen, J., Castle, N., Mittal, V., & Liu, D.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health status and nursing home resident quality of life. The Gerontologist, 48 , 584-592. 

  8. Dobek, J., White, K., & Gunter, K. (2007). The effect of a novel ADL-based training program on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hysical fitnes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5 , 13-25. 

  9. Drageset, J., Natvig, G. K., Eide, G. E., Bondevik, M., Nortvedt, M. W., & Nygaard, H. A.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life among old residents of nursing homes in Norwa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 455-466. 

  10. Drageset, J., Natvig, G. K., Eide, G. E., Clipp, E. C., Bondevik, M., Nortvedt, M. W., et al. (2008).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general population of Norwa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 1227- 1236. 

  11. Hellstrolm, Y., Andersson, M., & Hallberg, I. R. (2004). Quality of life among older people in Sweden receiving help from informal and/or formal helpers at home or in special accommodation.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2 , 504-516. 

  12. Jeon, M. Y., Jeong, H. C., & Choe, M. A. (2001). A study on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fracture from the fal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 443-453. 

  13. Kim, E. H., & Kim, Y. K. (2010).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2 , 281-290. 

  14. Kim, E. H., & Lee, J. W.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 425-440. 

  15. Kim, H., Bae, N., Kwon, I., & Cho, Y. (2010). Relationship between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admitted from long 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 319-329. 

  16. Kim, M. R. (2006).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 , 197-222.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National health survey: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Author. 

  18. Korea Lags in Quality of Life. (2011, August 22). Retrieved October 31, 2011, from http://www.koreatimes.co.kr/ www/news/biz/2011/08/123_93198.html 

  19. Lin, C. C., Li, C. I., Chang, C. K., Liu, C. S., Lin, C. H., Meng, N. H., et al. (2011). Reduc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with frailty: A cross-sectional study of communitydwelling elders in Taiwan. PLoS ONE, 6 (7 ), 1-7. 

  20. Lopez, D., McCaul, K. A., Hankey, G. J., Norman, P. E., Almeida, O. P., Dobson, A. J., et al. (2011). Falls, injuries from fall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with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is there a gender difference? Maturitas, 69 , 359-364.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8 Survey of the elderly: National elderly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Retrived October 31, 2011, http://www.mw.go.kr/front/ jb/sjb030301ls.jsp 

  22. Nam, H., Son, M., Kweon, S., Kim, S., Park, H., Lee, C., et al. (2000). Chronic disea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urban elder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4 (3), 172-190. 

  23. Oh, Y. H. (2005).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perceived health of Korean older pers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4. Shin, K. R., Byeon, Y. S., Kang, Y., & Oak, J.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37-444. 

  25. Sitoh, Y., Lau, T., Zochling, J., Schwarz, J., Chen, J., March, L., et al. (2005).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nstitutionalised older persons in northern Sydney. Internal Medicine Journal, 35 , 131-134. 

  26. Soh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99-107. 

  27. Ware, J. J., & Sherbourne, C.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 , 473-483. 

  28. Yumin, E. T., Simsek, T. T., Sertel, M., Ozturk, A., & Yumin, M. (2011). The effect of functional mobility and bala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and those living in nursing hom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2 , 180-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