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대나무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특성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 Korean Bamboo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7 no.2, 2012년, pp.131 - 135  

최환석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김귀철 (전남나노바이오연구센터) ,  신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4 Korean bamboo species (P. bambusoides, P. nigra var. henonis, P. pubescens and Sasa coreana) using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water, ethanol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timicrobial activ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자생하는 대나무 4종의 향후 미용향장소재로서의 기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임계 추출방법을 적용한 대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나무 추출물의 항균성은 전반적으로 ethanol 추출물이 두 공시균주에 대하여 열수 및 초임계 추출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미용향장소재로서의 기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자생 대나무 4종에 대한 초임계 추출방법을 적용한 대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추후에 화장품 원료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나무의 분포지역은? 대나무는 대나무는 벼과 (Gramineae)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벼과 중 가장 키가 큰 식물로 높이 30 m, 지름 30 cm 내외에 달한다.
대나무 잎의 성분과 어디에 사용되는지 설명하시오 대나무 추출물은 flavone glycosides, phenolic acids, coumarin lactones, anthraquinones, amino acids 등을 함유한다 [7-10]. 대나무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약제 보조제, 미용향장소재 및 식품 첨가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11-14]. 현재까지 대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대나무 잎이 활성산소 제거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17]를 비롯하여 국내 자생 왕대, 솜대, 맹종죽 및 조릿대 또는 오죽의 항산화 효과 [18], 조릿대 잎 추출물에 의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 억제 효과 [19,20]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대나무의 외관상 특징은? 대나무는 대나무는 벼과 (Gramineae)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벼과 중 가장 키가 큰 식물로 높이 30 m, 지름 30 cm 내외에 달한다. 줄기는 땅속을 옆으로 뻗어가는 근경으로부터 직립하며, 둥글며 속이 비어있다. 대나무 열수 및 용매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과 다양한 약리작용에 대한 보고가 있다 [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iu, K. L., Y. C. Cheng, J. H. Chen, C. H. Chang, and P. W. Yang (2002) Supercritical fluids extraction of Ginkgo ginkgolides and flavonoids. J. Supercrit. Fluids 24: 77-87. 

  2. Lang, Q. and C. M. Wai (2001)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in herbal and natural product studies-apractical review. Talanta 53: 771-782. 

  3. Lin, M. C., M. J. Tsai, and K. C. Wen (1999)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flavonoids from Scutellariae radix. J. Chromatogr. A 830: 387-395. 

  4. Zhou, Z. X. (1992) The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bamboo leaves. Res. Dev. Nat. Prod. 4: 44-51. 

  5. Zhang, Y. and X. L. Ding (1996) Studies on antioxidative fraction in bamboo leaves and its capacity to scavenge active oxygen radicals. J. Bamboo Res. 15: 17-24. 

  6. Li, H. Y., J. W. Sun, and S. W. Dai (2003)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of bamboo leaf. Chin. Med. Mat. 26: 562-563. 

  7. Luo, J. Y. and X. Y. Chen (2003) Study on extracting tea polyphenols from leaf of Indocalamus. Chem. Ind. Forest Prod. 37: 15-19. 

  8. Lu, Z. K. and W. Liao (2003)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for leaves of Phllostachys pubescens. J. Shanxi Univ. Nat. Sci. Ed. 26: 46-48. 

  9. Zhang, Y. and Ding, X. L. (1997) Existence of specific amino acid in bamboo leaves and its biological significance. J. Wuxi Univ. Light Ind. 16: 29-32. 

  10. Tang, L. L. and X. L. Ding (2000) Extraction of bamboo amylase and its biological functions. Devel. Res. Food. 21: 8-10. 

  11. Xu, G., H. Zhang, and J. H. Dong (2001) Studies on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bamboo leaves extracts. J. Nutr. 23: 79-81. 

  12. Xu, G. and H. Zhang (2001) A comparison of the antimicrobial function of both extracts to bacterium between bamboo leaves and Artemisia anomala S. Moore. Food Sci. Technol. 6: 38. 

  13. Huang, W., Y. Wang, X. B. Hu, and Yin, J. T. (2002) Study on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bamboo leaf extracts. Chem. Ind. Forest Prod. 22: 68-70. 

  14. Li, Y. H., H. M. Liu, Y. F. Yan, D. S. Luo, H. H. Zheng, M. J. Wang, and S. Q. Yao (2002) The inhibitory effect of bamboo leaves extract on implanted Sarcomal 80 tumor. J. Hubei Coll. TCM. 4: 17-19. 

  15. Zhang, Y., J. F. Shen, Z. Y. Yu, B. Y. Lu, and D. D. Lou (2004) Primary studies on bamboo leaf flavonoids used as anti-aging factor for skin protection. Chem. Ind. For. Prod. 24: 95-100. 

  16. Chung, D. K. and R. N. Yu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17. Kim, J. H. (2003) Cytotoxicity of Sasamorpha purpurascens Extract against HL60 Cells and L1210 Cells with Alterations of ROS Scavenging Enzymes Activities.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8. Jeong, E. Y. (2006)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Metabolic Syndrome in C57BL/6J Mice Fed a High Fat Die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9. Kim E. Y. (2007) Effect of the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cytokine levels in C57/BL6J mice.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 Hwang, J. Y. and J. S. Han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21. Park, S. J. and D. H. O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124. 

  22. Cha, H. S., M. S. Park, and K. M. Park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23. Lee, M. J. and G. S. Moon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 wang-dae, som-dae, maengjong-juk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6-1232. 

  24. Park, H. S., J. H. Lim, H. J. Kim, H. J. Choi, and I. S. Lee (2007) Antioxidant flavone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Sasa borealis. Arch. Pharm. Res. 30: 161-166. 

  25. Kweon, M. H., H. J. Hwang, and H. C. Sung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26. Perez, G. R. M., S. R. Vargas, M. F. J. Martinez, and R. I. I. Cordova (2004)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5,7,3'-trihydroxy-3,6,4'-trimethoxy flavone from Brickellia veronicaefolia. Phytother. Res. 18: 428-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