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2 = no.68, 2012년, pp.129 - 150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일본광도대학 지구혹성 시스템학과) ,  류충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옥천, 청산, 문경 부운령, 부산 지역에서 작성된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 변형단계별 지질구조와 미구조,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 시간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결과와 옥천누층군에서 최근까지 보고된 절대 및 화석 연대자료로부터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 지구조운동($D^*$)은 원경기육괴를 북부 경기육괴(현재의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부산 및 박달령 편마암복합체)로 분리시키는 열곡작용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전기 고생대 동안에는 조선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하위층군(석영사질암, 이질암, 탄산염질암, 염기성질암)이 옥천열곡분지에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고, 후기 고생대 동안에는 평안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상위층군(역질암, 이질암, 산성질암)이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다. 두 번째 지구조운동(옥천-청산 지구조운동/송림조산운동: D1)은 후기 페름기~중기 트라이아스기 동안에 발생하였고, D1은 전기단계의 옥천 아지구조운동(D1a)과 후기단계의 청산 아지구조운동(D1b)으로 구분된다. D1a는 북부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의 결합 즉 옥천열곡분지의 닫힘운동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며, 그 초기단계에는 옥천누층군에 조립흑운모, 석류석, 십자석 등 중압형 변성광물의 성장과 관련된 M1 중압형 변성작용을 발생시켰고 그 후기단계에는 옥천 중압형 변성암류를 남동-버젼스의 몇몇 나쁘로서 발굴시켰다. 그 결과 옥천변성대에서는 남동-버젼스의 지구조단위들이 형성되고 옥천누층군에는 이에 수반되어 대규모 칼집습곡, 광역엽리, 신장선구조가 형성되었다. D1b는 (북)북동-(남)남서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남중국판(경기육괴와 옥천변성대)과 북중국판(영남육괴와 태백산대)을 결합시켰다. 주요 지질구조로는 결합부의 선단부와 후미부에 (북)북동-버젼스 내지 (남)남서-버젼스를 갖는 (서)북서 방향의 충상단층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측면부에는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청산전단대와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직립습곡이 형성되었으며, 한반도에는 대동분지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 후기 트라이아스기~전기 쥬라기의 대동층군이 퇴적되고, 세 번째 지구조운동(호남 지구조운동/대보조산운동: D2)은 전기~후기 쥬라기 동안에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호남전단운동의 횡압축응력 지구조환경하에서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비대칭 파랑습곡과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횡와습곡과 후기 트라이아기 이전의 지층군이 대동층군의 상부로 충상하는 동남동-버젼스의 충상단층을 형성시켰다. M2 홍주석-규선석형 접촉변성작용은 D2의 휴식기에 해당하는 중기 쥬라기에 대보 화강암류의 관입에 의해 발생하였다. 네 번째 지구조운동(청마리 지구조운동: D3)은 전기 백악기에 남-북 방향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북북동 방향의 좌수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에 수반된 당겨-열림형 백악기 퇴적분지를 형성시켰다. M3 후퇴변성작용은 주로 D2 이후에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녹니석 반상변정을 결정시켰다. D3 이후 옥천지역에서는 기생 킹크습곡과 함께 대규모 금강 끌림습곡을 수반하는 좌수향 금강단층운동(금강 지구조운동: D4)이 발생하였고 이들 킹크습곡은 후기 백악기의 산성 암맥에 의해 관입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has been newly analyzed in this paper from the detailed geological maps by lithofacies classificatio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geological structures, microstructures, and the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metamorphism in the Ogche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지역의 옥천누층군이 하위층군과 상위층군의 구성암류는 무엇인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부산지역의 옥천누층군은 주로 변성탄산염질암, 고변성도의 변성이질암, 규암, 변성염기성질암으로 구성된 하위층군과 주로 변성역 질암, 변성산성질암, 저변성도 변성이질암으로 구성된 상위층군으로 구분된다. 하위층군의 구성암류는 부산 및 박달령 편마암복합체의 덮개암류의 구성암 류와 동일하고, 박달령 편마암복합체의 덮개암류는 후산리 지역에서 조선누층군과 점이적인 관계를 보인다(Reedman and Um, 1975; Kang, 1994b; 강지훈, 2001)(Fig.
옥천지역 옥천누층군에 인지되는 5번의 변형작용은 무엇인가? 옥천지역 옥천누층군에는 적어도 5번의 변형작용이 인지된다. 중압형 변성광물(조립흑운모, 석류석, 십자석)의 내부엽리(Si)를 형성한 D* 변형작용, 거대한 칼집습곡(지양리 습곡)과 광역엽리 그리고 지양리 지구 조단위가 합금리 지구조단위로 충상하는 옥천 충상단 층운동과 관련된 D1 변형작용, 파랑습곡구조를 형성 시킨 D2 변형작용, 좌수 주향-이동성의 S-C 구조와 전단렌즈를 수반하는 청마리 단층운동의 D3 변형작용, 그리고 좌수 주향-이동성 금강단층과 금강 끌림습곡 형성과 관련된 D4 변형작용 등이다(Kang et al. 1993).
옥천퇴적분지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열곡작용은 전기 및 후기 고생대에 각각 어떤 암류를 다량 산출시켰는가? D* 원경기육괴의 열곡작용과 이에 수반된 바이모달형 화성활동은 적어도 4회(후기 원생대 2회, 전기 고생대, 후기 고생대) 발생하였다. 옥천퇴적분지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전기 고생대의 열곡작용은 옥천누 층군 하위층군의 구성암류인 염기성 화산·심성암류를 그리고 후기 고생대의 열곡작용은 옥천누층군 상위층군의 구성암류에 해당하는 황강리층의 역질암과교호하는 산성 화산암류를 보다 우세하게 다량 산출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강지훈, 1998, 변형된 청산화강암의 압쇄암화작용시의 변형 온도-변형된 청산화강암의 구조해석. 암석학회지, 7, 53-68. 

  2. 강지훈, 2001, 부산지역에서 옥천변성대의 지질구조: 하트상 부산 편마암복합체에 대한 새로운 지구조모델. 암석학회지, 10, 106-120. 

  3. 강지훈, 2010a, 옥천지역 쥬라기 옥천화강암의 변형구조와 호남전단운동. 암석학회지, 19, 19-30. 

  4. 강지훈, 2010b, 옥천화강암 부근 옥천 변성퇴적암류의 파랑습곡구조와 호남전단운동. 암석학회지, 19, 157-165. 

  5. 강지훈, 류충렬, 1997,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화성활동과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6, 151-165. 

  6. 강지훈, 이철구, 2002, 미원-보은지역에서 옥천변성대의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11, 234-249. 

  7. 강지훈, 이철구, 2003, 괴산지역에서 옥천변성대의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9, 99-114. 

  8. 강지훈, 原郁夫, 宮本隆寬, 옥수석, 2001, 문경 부운령지역에서 옥천대의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10, 82-94. 

  9. 권성택, 이진한, 1997,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관한 소고. 지질학회지, 33, 183-188. 

  10. 김기완, 박봉순, 이홍규, 1967, 한국지질도 (1:50,000) 제천 지질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46p. 

  11. 김남장, 최승오, 강필종, 1967, 한국지질도 (1:50,000) 문경 지질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37p. 

  12. 김동학, 이병주, 1986, 한국지질도 (1:50,000) 청산지질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0p. 

  13. 김동학, 장태우, 김원영, 황재하, 1978, 한국지질도(1:50,000), 옥천지질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21p. 

  14. 김명정, 박계헌, 박양진, 최지은, 2011, 옥천변성대 충주지역 계명산층의 SHRIMP U-Pb 연령.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2011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51. 

  15. 김옥준, 1968, 충주-문경간의 옥천계의 층서와 구조. 광산지질, 1, 35-46. 

  16. 김옥준, 민경덕, 김규한, 1986, 옥천대의 지질 및 광물자원에 관한 연구 - 제천 남부의 옥천계와 조선계의 경계 및 부근의 지질 -. 광산지질, 19, 225-230. 

  17. 나기창, 1987, 옥천대 북동변에 분포하는 부산혼성편마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20, 235-246. 

  18. 박계헌, 양윤석, 이기욱, 2011a, 문경지역 옥천변성대 상내리층과 백화리 각섬암의 생성시기: SHRIMP U-Pb 저어콘 연령 증거. 지질학회지, 155-164. 

  19. 박계헌, 이태호, 이기욱, 2011b, 옥천변성대 대향산규암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령. 지질학회지, 47. 423-431. 

  20. 박맹언, 김근수, 1995, 충주지역 희토류 광상의 성인: 산출 상태와 지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28, 599-612. 

  21. 박수인, 정창희, 1989, 문경탄전 지역의 석탄-페름계의 층서 고생물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5, 182-191. 

  22. 손치무, 1970, 옥천층군의 지질시대에 관하여. 광산지질, 3, 9-15. 

  23. 엄상호, 서해길, 김동숙, 최현일, 박석환, 배두종, 이호영, 전희영, 권육상, 1977, 문경탄전 정밀지질 조사보고서. 자원개발연구소, 60p. 

  24. 이대성, 이하영, 1972, 옥천계에 협재된 석회질지층에 관한 암석학적 및 미고생물학적 연구. 손치무교수 송수기념논문집,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질학과 동창회, 89-111. 

  25. 이대성, 장기홍, 이하영, 1972, 옥천대내 향산리돌로마이트층에서의 Archaeocyatha의 발견과 그 의의. 지질학회지, 8, 191-197. 

  26. 이승렬, 이병주, 조등룡, 기원서, 고희재, 김복철, 송교영, 황재하, 최범영, 2003, 전주전단대 화강암류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측정: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대한 고찰.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2003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55. 

  27. 임순복, 전희영, 김유봉, 김복철, 송교영, 2006, 서북옥천대 진산.복수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층서 및 지질시대. 지질학회지, 42, 149-174. 

  28. 임순복, 전희영, 김유봉, 김복철, 조등룡, 2005, 서북옥천대 비봉.연무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층서 및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41, 335-368. 

  29. 임순복, 전희영, 김유봉, 이승렬, 기원서, 2007, 서북옥천대 회남-미원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및 층서. 지질학회지, 43, 125-150. 

  30. 장태우, 이미경, 1996, 순창전단대내 화강분쇄암의 열구조 발달: 2. 열구조. 지질학회지, 32, 500-508. 

  31. 조등룡, 박준범, 고희재, 이승렬, 2009, 옥천대 옥녀봉층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조선누층군 회상부의 후기 오도비스기(442-452 Ma) 화산작용.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2009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74-75. 

  32. 최범영, 최영섭, 2007, 백악기 음성분지의 열림에 대한 응력 모델. KIGAM 논문집, 11, 3-16 

  33. 최위찬, 김규봉, 홍승호, 이병주, 황재하, 박기화, 황상기, 최범영, 송교영, 진명식, 1995, 한국지질도(1: 1,000,000). 한국자원연구소. 

  34. 최위찬, 김동학, 1981, 옥천지향사대 종합연구(I) (옥천Belt 동북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조사연구보고, 11, 19-43. 

  35. Cho K.-H., Takagi, H. and Suzuki K., 1999, CHIME monazite age of granitic rocks in the Sunchang shear zone, Korea: timing of dextral ductile shear. Geosciences Journal, 3, 1-15. 

  36. Cho, M., Kim, H., Wan, Y. and Liu, D., 2004, U-Pb zircon ages of a granitic gneiss boulder in metadiamictite from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Geosciences Journal, 8, 355-362. 

  37.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52, 175-235. 

  38. Cluzel, D., Cadet, J.P. and Lapierre, H., 1990, Geodynamics of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183, 41-56. 

  39. Cluzel, D., Jolivet, L. and Cadet, J.P., 1991,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Tectonics, 10, 1130-1151. 

  40. Ernst, W.G., Gao, R. and Jiang, J., 1988, Reconnaissance stud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northeastern Sino-Korea shield, People's Republic of China. Geol. Soc. Amer. Bull., 100, 692-701. 

  41. Maruyama, S., Isozaki, Y., Kimura, G. and Terabayashi, M., 1997, Paleogeographic maps of the Japanese Islands: Plate tectonic synthesis from 750 Ma to the present. Island Arc, 6, 121-142. 

  42. Kang, J.-H., 1994a, Tectonic evolution of the Ogcheon Zone,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Hiroshima University, Japan, 119p. 

  43. Kang, J.-H., 1994b, Geological structure and tectonics of the Ogcheon zone in the Chungju-Jangseonri area, South Korea. Jour. Sci. Hiroshima Univ. Series C, 10, 11-23. 

  44. Kang, J.-H., Hara, I., Hayasaka, Y., Sakurai, Y., Shiota, T. and Umemura, H., 1993,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metamorphism of the Ogcheon Zone in the Ogcheon district, South Korea. Mem. Geol. Soc. Japan, 42, 63-90. 

  45. Kim, S. W., Oh, C. W., Ryu, I.-C., Williams, I. S., Sajeev, K., Santosh, M. and Rajesh, V. J., 2006,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The Journal of Geology, 114, 717-733. 

  46. Kobayashi, T., 1966, Stratigraphy of the Choso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on t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of ther areas, Sect. B. The Choson Group of North Korea and northeast China. Jour. Fac. Sci. Univ. Tokyo, Sec. 2, 2, 209-311. 

  47. Lee, D.S., 1987, Geology of Korea. Geol. Soc. Korea, Kyohaksa, Seoul, 514p. 

  48. Lee, J.H., Lee, H.Y., Yu, K.M. and Lee, B.S., 1989,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Jour. Geol. Soc. Korea, 25, 1-15. 

  49. Lee, K.S., Chang, H.W. and Park, K.-H., 1998,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ge and tectonic implication. Precambrian Research, 89, 47-57. 

  50. Oh, C.W., 2006, A new concept on tectonic correl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istories from the late Proterozoic to Cretaceous. Gondwana Research, 9, 47-61. 

  51. Oh, C.W., Choi, S.-G., Seo, J., Rajesh, V.J., Lee, J.H., Zhai, M. and Peng, P., 2009. Neoproterozoic tectonic evolution of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mplication for the tectonic evolution of Northeast Asia. Gondwana Research, 16, 272-284. 

  52. Otoh S., Jwa Y.-J., Nomura R. and Sakai H., 1999, A preliminary AM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study of the Namwon granite, southwest Korea. Geosciences Journal, 3, 31-41. 

  53. Park, A.F., 1988, Geometry of sheath folds and related fabrics at the Luikonlahti mine, Svecokarelides, eastern Finland. Jour. Struc. Geol., 10, 487-498. 

  54. Ree, J.-H., Kwon, S.-H., Park, Y., Kwon, S.-T. and Park, S.-H., 2001, Pretectonic and posttectonic emplacements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20, 850-867. 

  55. Reedman, A.J. and Um, S.H., 1975, The geology of Korea. Geol. Min. Inst. Korea, 139p. 

  56. Sagong, H. and Kwon, S.T., 1998, Pb-Pb age and uplift history of the Busan gneiss complex in the Okchon Belt, Korea: a comparision with the Bagdalryeong gneiss complex in the Kyongki Massif. Geoscience Journal, 2, 99-106. 

  57.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58. Skjernaa, L., 1989, Tabular folds and sheath folds: definitions and conceptual models for their development, with examples from the Grapesvare area, northern Sweden. Jour. Struc. Geol., 11, 689-703. 

  59. Suzuki, K., Dunkley, D., Adachi, M. and Chwae, U., 2006, Discovery of a c. 370 Ma granitic gneiss clast from the Hwanggangri pebble-bearing phyllite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Gondwana Research, 9, 85-94. 

  60. Turek, A. and Kim, J.B., 1995, U-Pb zircon age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243-258. 

  61. Yanai, S., Park, B.S. and Otoh, S., 1985, The Honam shear zone (S. Korea):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Scientific Papers of the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of Tokyo, 35, 181-210. 

  62. Yin, A. and Nie, S.,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eastern Asia. Tectonics, 12, 801-813. 

  63. 勝部亞矢, 早坂康隆, 坂口綾, 高橋嘉夫, 姜志勳, 2011, 韓國Ogcheon帶中.古生層の屑性ジルコン年代. 日本地質學會第118年學術大會.日本?物科學會2011年年會合同學術大會講演要旨集,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