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전단대 : 영남육괴와 옥천변성대의 지구조적 경계?
Gwangju Shear Zone : Is it the Tectonic Boundary between the Yeongnam Massif and Okcheon Metamorphic Belt?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1, 2014년, pp.17 - 30  

하영지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김정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지질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선 한반도 남서부에 북북동-남남서 주향으로 발달된 호남전단대의 지류 중의 하나인 광주 전단대 주변에 전단대를 따라 분포된 변성퇴적암층에 대해 고분해능이온마이크로프로브를 이용하여 쇄설성 저어콘의 우라늄-납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광주전단대를 경계로 각각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영광지역과 장성지역의 변성퇴적암층들은 저어콘 연대분포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영광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 고원생대(약 1,860 Ma), 신원생대(약 960Ma) 및 고생대(약 3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는데 반해, 장성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와 고원생대(약 1,8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고 보다 젊은 연대는 산출되지 않는다. 두 지역의 대조적인 연대분포 특성은 서쪽의 영광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옥천변성대 변성퇴적암층에, 동쪽의 장성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영남육괴의 퇴적암층에 각각 대비됨을 지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광주전단대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의 지구조적 경계일 가능성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HRIMP U-Pb age dating of detrital zircons from age-unknown meta-sedimentary formations distributed around the NNE-SSW trending Gwangju Shear Zone, a branch of Honam Shear Zon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eta-sedimentary formations from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일차이온빔의 세기는 4-6 nA, 직경은 약 25 µm로 조절하였다. U 농도는 SL13을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U/Pb 연대보정을 위해 3점의 미지시료 분석마다 저어콘 표준물질 FC-1을 한번씩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의 초기 납 보정은 204Pb를 이용하였고, 1.
  • 광주전단대 서쪽의 영광지역에 전주전단대를 따라 분포하는 시대미상 편암류 내에 협재된 두 지점의 노두(2012JS-02 = N35o 14'16.2", E126o 36'29.9", 2012JS04 = N35o 12'09.0", E126o 34'30.5")의 규암층에서 채취한 두 개의 시료(2012JS-02와 2012JS-04)와 광주전단대를 따라 장성지역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중 하부의 규암층의 두 지점의 노두(2012JS-09 = N35o 21'36.3", E126o51'37.2", 2012JS-10 = N35o 21'28.0", E126o 51'36.3")에서 채취한 세 개의 시료(2012JS-09-1과 -2, 2012JS10)에서 저어콘을 분리하여 SHRIMP U-Pb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 선별된 저어콘을 세척 하여 SL13과 FC1 저어콘 스탠다드와 함께 에폭시 몰드에 심어 원반형 마운트를 만들었고, 대략 입자의 반이 드러날 때까지 사포에 갈아내고, 다이아몬드 연마제(6, 3, 1 µm)를 이용하여 표면을 광택, 연마하였다. 금으로 마운트를 코팅한 후 고분해능이온마이크로프로브(SHRIMP) 분석 전에 음극광(CL) 장치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SEM)에서 후방산란(BSE) 이미지와 음극광 이미지를 얻어 결정형태와 내부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 점들을 선정하였다. 후방산란 이미지와 음극광 이미지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연구부의 JEOL 모델 6610LV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얻었다.
  • 최외곽부에는 변성기원으로 추정되는 음극선발광이 어둡게 나타나는 외연부가 관찰되기도 하나 분석하기에는 너비가 넓지 않아 분석은 하지 못하였다. 불순물과 크랙이 많아 비교적 깨끗한 입자들을 골라서 분석하였다.
  • 선별된 저어콘을 세척 하여 SL13과 FC1 저어콘 스탠다드와 함께 에폭시 몰드에 심어 원반형 마운트를 만들었고, 대략 입자의 반이 드러날 때까지 사포에 갈아내고, 다이아몬드 연마제(6, 3, 1 µm)를 이용하여 표면을 광택, 연마하였다.
  • 3e). 역시 후방산란영상과 음극선발광영상을 비교하여 가능한 깨끗한 입자들을 골라서 분석하였다.
  • , 1986; Hong and Yun, 1986) 영남육괴와 옥천대의 구조적 경계가 어디인지는 아직까지 모호하며, 순창전단대 보다는 전주 또는 광주전단대일 가능성이 높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영광-장성 지역으로 연장 발달된 광주전단대와 전주전 단대 부근에 분포된 시대미상 변성퇴적암층 중 규암층들을 대상으로, 이들에서 분리한 저어콘들의 연대를 측정,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있는 SHRIMPⅡe/MC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동위원소 분석을 위한 일차 이온빔은 산소음이온(O2−)을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분석된 자료의 초기 납 보정은 204Pb를 이용하였고, 1.0 Ga 보다 젊은 분석치들을 위해 207Pb로 보정하였으며, 각 분석지점의 오차는 1σ이다.
  • 연구지역은 광주전단대와 전주전단대를 영광전단대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1대 5만 지질도 고창도폭(Lee and Lee, 2001), 신흥도폭(Kim et al., 1982), 영광도폭(Choi et al., 1986), 송정도폭(Hong and Yun, 1986)의 일부가 포함되는 곳이다(Fig. 2).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광주단층이 연구지역의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있으며, 이 단층 주변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광주전단대가 발달하였다.
  • 영광지역 규암 시료에서 분리된 저어콘들에서는 총 29개의 분석점들을 분석하였다(Table 1). 1개를 제외한 분석치들은 Th/U 비가 0.
  • 장성지역에 분포하는 규암층의 시료에서는 총 63개의 분석점들을 분석하였다(Table 2). 62개의 분석치들은 Tera-Wasserburg 일치곡선그림에서(Fig.

이론/모형

  • 0 Ga 보다 젊은 분석치들을 위해 207Pb로 보정하였으며, 각 분석지점의 오차는 1σ이다. SHRIMP 연대측정 자료의 보정 및 연대계산은 SQUID version 2.5 및 Isoplot/Ex v. 3.6을 이용하였다(Ludwig, 2008, 2009). 연대측정 결과는 95%(2σ)의 신뢰성으로 보고하며, SHRIMP 기기를 이용한 자세한 연대측정법은 Ireland and Williams (2003)및 Williams et al.
  • 금으로 마운트를 코팅한 후 고분해능이온마이크로프로브(SHRIMP) 분석 전에 음극광(CL) 장치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SEM)에서 후방산란(BSE) 이미지와 음극광 이미지를 얻어 결정형태와 내부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 점들을 선정하였다. 후방산란 이미지와 음극광 이미지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연구부의 JEOL 모델 6610LV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남전단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85; Cluzel et al., 1991)로 불리는데, 호남전단대는 100 km 이상의 폭에 지역에 따라 시기가 다른 여러 전단대들로 구성이 되어있어 순창 전단대, 전주전단대, 광주전단대, 영광전단대 등으로 구분하여 명명이 되었다(Cheong, 1998). 이들 전단대 중 전주-순창-해남을 잇는 순창전단대(Kim and Kee, 1991; Kee and Kim, 1992; Lee, 1992; Kim and Kee, 1994)가 가장 규모가 크고 연장선이 긴 주 전단대로 동쪽의 영남육괴와 서쪽의 옥천대 사이의 주경계로 간주되고 있으며, 트라이아스기에 있었던 북중국과 남중국 지괴의 충돌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하는 지구조 모델들이 제시되었다(Yin and Nie, 1993; Chough et al.
광주전단대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의 지구조적 경계일 가능성을 암시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선 한반도 남서부에 북북동-남남서 주향으로 발달된 호남전단대의 지류 중의 하나인 광주 전단대 주변에 전단대를 따라 분포된 변성퇴적암층에 대해 고분해능이온마이크로프로브를 이용하여 쇄설성 저어콘의 우라늄-납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광주전단대를 경계로 각각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영광지역과 장성지역의 변성퇴적암층들은 저어콘 연대분포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영광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 고원생대(약 1,860 Ma), 신원생대(약 960Ma) 및 고생대(약 3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는데 반해, 장성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와 고원생대(약 1,8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고 보다 젊은 연대는 산출되지 않는다. 두 지역의 대조적인 연대분포 특성은 서쪽의 영광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옥천변성대 변성퇴적암층에, 동쪽의 장성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영남육괴의 퇴적암층에 각각 대비됨을 지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광주전단대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의 지구조적 경계일 가능성을 암시한다.
한반도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한반도는 지체구조적으로 주로 선캠브리아기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낭림, 경기 및 영남의 3개의 육괴와 이들을 경계 짓는 임진강대와 옥천대 두 변동대로 구성되어 있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Chang, T.W., 1985, Sequential Development of the Microstructures of Granite Mylonite in the Vicinity of Yongguang- up, Chollanam-do. Jour. Geol. Soc. Korea, 21, 133-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g, T.W., 1994, On Microstructures of Quartz Mylonites in Kwangju Shear Zone, Jour. Geol. Soc. Korea, 30, 140- 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ang, T.W. and Hwang, S.K., 1984, Geological Report of the Gaeumdo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57p. 

  4. Cheong C.H. (ed.), 1998, Geology of Korea. Sigma Press, Seoul, 802p (in Korean). 

  5. Cheong, C.S., Kee, W.S., Jeong, Y.J. and Jeong, G.Y., 2006, Multiple deformations along the Honam shear zone in southwestern Korea constrained by Rb-Sr dating of synkinematic fabrics: Implications for the Mesozoic tectonic evolution of northeastern Asia. Lithos, 87, 289-299. 

  6. Cho, D.L., Kee, W.S. and Suzuki, K., 2007, CHIME Monazite Ages of Jurassic Foliated Granites in the Vicinity of the Gangjin Area,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ol. 16, 3, 101-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 H.J., Park K.H. and Yi, K., 2013a, SHRIMP U-Pb Ages of the Namwon and Sunchang Granites, Jour. Petrol. Soc. Korea, 22, 197-2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 K.H., Takagi, H. and Suzuki K., 1999, CHIME monazite age of granitic rocks in the Sunchang shear zone, Korea: timing of dextral ductile shear. Geosciences Journal, 3, 1-15. 

  9. Cho. K., Park K.H., Kim, M.J. and Park Y.J., 2011, SHRIMP U-Pb Age of Quartzite Formations from SW Ogcheon Metamorphic Belt.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1 (In Korean). 

  10. Cho, M., Cheong, W., Ernst, W.G., Yi, K. and Kim, J., 2013b,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central Ogcheon fold-thrust belt, Korea: Evidence for tectonic assembly of Paleozoic sedimentary protolith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3, 234-249. 

  11. Choi, S.O. and Ko, J.B., 1971,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Muan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7p. 

  12. Choi, W.C., Hwang, S.K. and Kim, Y.B.,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Yonggwa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8p. 

  13.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52, 175-235. 

  14. Cluzel, D., Jolivet, L. and Cadet, J.P., 1991.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Tectonics 10, 1130-1151. 

  15. Hong, S.H. and Yun U.,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Songj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46p. 

  16. Horie, K., Tsutsumi, Y., Kim, H., Cho, M., Hidaka, H., Terada, K., 2009. A U-.Pb geochronological study of migmatitic gneiss in the Busan gneiss complex, Gyeonggi massif,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05-215. 

  17. Hwang, J.H., Jin, M.S., Jun, M.S., Cho, J.D., Lee, S., Koo, S.B., Choi, P.Y., Lee, Y.S., Kim, B.C., Kim, J.W. Kee, W.S., Kang, P.J., Song, K.Y., Kim, J.H., Lee, S.R. and Chang, T.W., 2001, Tectonic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18. Ihm, M.H. and Chang, T.W., 1990, Microstructures and Strain Analysis of Sheared Quartzites in the Vicinity of Changsong, Chollanamdo, Korea. Jour. Geol. Soc. Korea, 26, 541-5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Ireland, T.R. and Williams, I.S., 2003, Considerations in zircon geochronology by SIMS. In: Hanchar, J.M. and Hoskin, P.W.O. (eds.), Zircon: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53, 215-241. 

  20. Jeon. K.S., Chang, T.W. and Lee,B.J., 1991; On the Properties and Intersection Feature of the Ductile Shear Zone (Chonju shear zone) near Yongkwang-Eub.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4, 435-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Jeong, Y.J., Cheong, C.S., Park, C.Y. and Shin, I.H., 2008, Geochemistry, isotope properties and U-Pb sphene age of the Jeongeup foliated granite,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539-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ang, J.-H., 2010, The crenulation of Ogcheon metasedimentary rocks near the Ogcheon granite and the Honam shearing, Korea. Jour. Petrol. Soc. Korea, 19, 157-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ee, W.S., Kim, B.C., Hwang, J.H., Cho, D.L., Choi, P.Y. ang Song, K.Y., 2005, Mesozoic Structural Evolution of the Gwangju Shear Zone in the Muan Area, Korea. KIGAM Bulletin, 9, 3-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ee, W.S. and Kim, J.H., 1992, Shear Criteria in Mylonites from the Soonchang Shear Zone, the Hwasun Coalfield, Korea. Jour. Geol. Soc. Korea, 28, 426-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im, B.K. and Park, B.K., 1966,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Dongbok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47p. 

  26.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30, 323-338. 

  27.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 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68, 204-218. 

  28. Kim J.H. and Kee, W.S., 1991, Tectonic Significances of the Soonchang Shear Zone, the Hwasun Coalfield, Korea. Jour. Geol. Soc. Korea, 27, 642-6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Kim, J.H. and Kee, W.S., 1994,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nchang Shear Zone, Korea. J. SE Asian Earth Sci., 9, 417-428. 

  30. Kim, J.H., Hong, S.H. and Hwang, S.K.,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inheu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58p. 

  31. Kim, N., Cheong, C.S., Park, K.H., Kim, J., Song, Y.S. and 2012. Crustal evolution of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revealed by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Gondwana Research 21, 865-875. 

  32. Kim, N., Cheong, C.S., Yi, K., Song, Y.S., Park, K.H., Kim, J., Geng, J. and Li, H., 2014, Zircon U-Pb geochronological and Hf isotopic constraints on the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Precambrian Research, 242, 1-21. 

  33. Kim, N., Song, Y.S., Park, K.H. and Lee, H.S., 2009a.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Granite Gneisses from the Pyeonghae Area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baeksan Massif).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 3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Kim S.W., Kwon S.H. and Ryu, I.C., 2009b, Geochronological constraints on multiple deformations of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Gondwana Research, 16, 82-89. 

  35. Kwon, S.T. and Lee, J.H., 1997, A note on the age of the Honam Shear Zon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3, 183-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Lee B.J., 1992, Deformation related to Dextral Ductile Strike-Slip Movement at the Northern Part of Hwasun Coal Field. Jour. Geol. Soc. Korea, 28, 40-51. 

  37. Lee, B.J., Kim, D.H. and Jeon, K.S., 1990,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ctile Shear Zone around Youngkwang-up in the SW part of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26, 304-3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Lee, B.J. and Lee, S.R., 2001, Geological Report of the Gocha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3p. 

  39. Lee, H.S., Park, K.H., Song, Y.S., Kim, N.H. and Orihashi, Y., 2010a.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Hongjesa Granite in the Northeast Yeongnam Massif.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03-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Lee, K., Kwon, B.D., Baag, C.E. and Chang, T.W., 1988,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4. Seismicity of the Okcheon Zone, 24, 464-488. 

  41. Lee. Y.I., Choi, T. and Orihashi, Y., 2011, LA-ICP-MS Zircon U-Pb Ages of the Precambrian Yuli Group.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81-87 (In Korean). 

  42. Lee. Y.I., Lim, H.S., Choi, T. and Orihashi, Y., 2010b,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late Paleozoic Sadong Formation in the Pyeongchang coalfield, Gangweon-do Province, Korea: implications for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73-81. 

  43. Ludwig, 2008, K.R.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4, Berkeley, CA. 77p. 

  44. Ludwig, 2009, K.R.. SQUID 2: A User's manua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o. 2, Berkeley, CA. 100p. 

  45. Na, C.K., Lee, I.S., and Chung, J.I., 1997, Petrogenetic study of the foliated granotoids in the Chonju and the Sunchang area (II) - in the light of Sr and Nd isotopic properties. Econ. Environ. Geol., 30, 249-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Paik, K.H., Yoon, K.S., Kim, E.H. and Freeland, M.H., 1979,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Jour. Geol. Soc. Korea, 15, 201-209. 

  47. Park K.H., Lee T.H., Yi K., 2011,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h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Jour. Geol. Soc. Korea, 47, 423-431. 

  48. Park, H.I., 1966,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unch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43p. 

  49. Park Y.J., 2013, SHRIMP U-Pb age distribution of the detrital zircons from the sedimentary and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50.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51. Son, C.M. and Kim, S.J., 1966,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Changpyeo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50p. 

  52. Song, Y.S., Park, K.H., Seo, J., Jo, H.J. and Yi, K., 2011, SHRIMP zircon ages of the basement gneiss complex in the Pyeongchang-Wonju area, Gyeonggi massif, Korea. Jou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 99-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3. Williams, I.S., Cho, D.L. and Kim, S.W., 2009.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riassic pluton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Constraints on Triassic post-collisional magmatism. Lithos 107, 239-256. 

  54. Yanai, S., Park, B.S. and Otoh, S., 1985,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Scientific Papers of College of the Arts and Sciences of the University of Tokyo, 35, 181-210. 

  55. Yin, A. and Nie. S.,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eastern Asia. Tectonics, 12, 801-8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