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established that excessive sodium intake is related to a higher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stroke,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gastric cancer.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current sodium intake guideline by WHO is set at 2,000 mg/day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의 세부적인 비용항목을 우리나라에 대해 전적으로 새롭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현재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도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외의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를 우리나라의 사정에 맞추어 적용함으로써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의 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의 비용과 편익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거의 유일한 연구 성과인 Selmer 등(2000)이 노르웨이에서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에 수반된 비용을 추정한 분석결과를 차용하여, 두 국가의 경제 규모의 차이와 나트륨 섭취량 감소 목표의 차이를 고려한 비용을 비례적으로 추정하였다.
  • 본 연구는 2012년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주요 추진업무 중의 하나인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에 의한 질병 감소를 추정하고 이에 근거한 비용 · 편익 분석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을 낮추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는 소금섭취량 감소 정책의 성공사례로 알려진 영국의 예(WHO 2010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등에 근거하여 다음의 몇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우선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나트륨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국민들이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식품회사 및 음식업체를 대상으로 한 규제와 설득을 통하여 식품과 음식에 함유된 나트륨의 양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 75 g이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의 잠정 목표치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orean Nutrition Society 2010)에 제시된 성인의 나트륨 충분섭취량인 1.5 g의 2배에 해당되는 3 g으로 임의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에 기대되는 편익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의 비용 · 편익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나트륨 과다섭취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질병들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섭취량 감소로 인한 사회 · 경제적인 편익과 비용 추정을 국내 최초로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정적인 목표로 설정한 양의 나트륨 섭취 감소가 가져올 질병부담의 감소 및 사회 · 경제적인 편익을 추계함으로써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을 수립 · 시행하고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나트륨 섭취량 감소로 인한 외래진료비 감소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2009년 건강보험통계연보(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를 이용하여 각 질병으로 인한 외래환자의 수가 그 유병률과 같은 비율로 감소한다는 가정 하에 각 질병에 대해 나트륨 섭취량 감소에 의해 절감되는 외래진료비를 계산하였다. 외래진료비는 각 외래진료에 대한 본인부담금과 건강보험부담금을 합산하여 계산할 수 있으나, 건강보험통계연보 자료에는 각 질병에 대해 비급여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공단부담금과 법정본인부담금의 합이 제시되어 있다(Jung & Ko 2004).
  • 1배에 달한다. 따라서 나트륨 섭취량 감소의 목표치가 동일할 경우 2010년 한국에서는 1995년 노르웨이에서 소요되는 금액의 8.1배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Selmer 등(2000)의 연구에서 설정한 소금 섭취량 감소 목표치는 6 g으로 우리나라의 목표치인 4.
  • 이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 비용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에 소요되는 비용이 국민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나트륨 섭취량 감소의 정도가 커질 때 정책에 소요되는 비용이 비례해서 높아진다는 가정을 도입하였다. 1995년 노르웨이의 국내총생산과 2010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은 2009년 달러로 환산했을 때 각각 17,969,000만 달러와 145,110,800만 달러로 2010년 한국의 경제규모는 1995년 당시 노르웨이 경제규모의 약 8.
  • 그러나 이는 외래방문을 위한 시간적인 손실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결근, 조퇴, 생산성 저하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1회 외래진료로 인한 소득손실이 1일 평균 근로소득의 절반이라고 가정하고 소득손실 비용을 계산하였다.
  • 다음으로, 나트륨 섭취량 감소에 의한 사망 비용 감소의 추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 고려한 질병들로 인한 사망률 감소를 추정하였다. 사망률의 감소는 유병률 감소와 같다는 가정(case fatality는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캐나다(Joffres 등 2007), 핀란드 등(Tuomilehto 등 2001) 해외 사례에 대한 연구에서 얻은 나트륨 섭취량 1 g 감소 당 각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 감소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목표 달성 시의 사망률 감소를 계산했으며, 이것을 우리 국민의 각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에 적용하여 사망자 수의 감소를 계산했다.
  • 먼저 이 두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별 · 성별 기대소득을 계산하였다. 여기에서는 할인율과 기대소득 증가율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할인율과 기대소득 증가율은 서로 상쇄되며 기대여명까지의 기대소득은 해당 연령 이후 매년의 기대소득을 더함으로써 계산되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Jung & Ko(2004)의 연구는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등 5대 질병으로 인한 외래진료의 비용을 계산하면서 3회 외래방문으로 인한 소득손실을 1회 입원의 소득손실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이는 외래진료로 인해 1일 치 근로소득의 삼분의 일을 잃는다고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외래방문을 위한 시간적인 손실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결근, 조퇴, 생산성 저하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 직장에서 유급병가를 허용하여 개인적으로 소득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회 전체적으로는 작업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량 감소로 인한 경제적인 편익을 계산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한다. 입원진료의 경우에는 1일 입원으로 인해 1일치 근로소득의 손실을 입는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나라에서 중장기적인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을 시행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들은 나트륨 섭취량이 감소되면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지나친 나트륨 섭취로 인한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중장기적인 나트륨 섭취량 감소 정책을 시행하고 있거나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지자체, 학계 및 산업체에서 나트륨 과다섭취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유병률을 낮추기 위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 및 관련 건강증진전략을 마련하려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나트륨 과다 섭취가 혈압상승을 유발하는 원리는?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위암 등의 질병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He 등 1999; Cappuccio 등 2000; Tsugane 등 2004; Meneton 등 2005; Strazzullo 등 2009). 나트륨 과다 섭취는 혈액량을 증가시키고 나트륨 배설과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압상승을 유발한다(Blaustein & Hamlyn 1991). 실제로 소금섭취와 고혈압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다국적 연구(INTERSALT)에서 소금섭취량이 높은 그룹은 소금섭취량이 낮은 그룹에 비해 고혈압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Stamler 1991; Elliott 등 1996; Stamler 1997).
나트륨 과다섭취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유병률을 낮추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행하는 노력은?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지자체, 학계 및 산업체에서 나트륨 과다섭취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유병률을 낮추기 위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 및 관련 건강증진전략을 마련하려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나트륨 섭취량 저감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1년에 지자체 및 음식업소와 함께 나트륨 저감화 특구를 운영하였으며, 단체급식업소와 함께 저나트륨 급식주간 행사를 시행하였고, 가공식품 중 라면 등 면류와 장류의 나트륨 함량 저감화를 추진하였으며,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영양교육 콘텐츠 개발 및 대국민 캠페인 등을 통해 나트륨 섭취량 감소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BC, Joung H (2005):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Korean J Nutr 38(9): 786-792 

  2. Blaustein MP, Hamlyn JM (1991): Pathogenesis of essential hypertension : a link between dietary salt and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18(5S): 184-195 

  3. Cappuccio FP, Kalaitzidis R, Duneclift S, Eastwood JB (2000): Unravelling the links between calcium excretion, salt intake, hypertension, kidney stones and bone metabolism. J Nephrol 13(3): 169-177 

  4. Elliott P, Stamler J, Nichols R, Dyer AR, Stamler R, Kesteloot H, Marmot M (1996): Intersalt revisited: further analyses of 24 hour sodium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Br Med J 312(7041): 1249-1253 

  5. Gaziano TA, Steyn K, Cohen DJ, Weinstein MC, Opie LH (2005):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hypertension guidelines in South Africa. Circ 112: 3569-3576 

  6. Gibson J, Stillman S, Mckenzie D, Rohorua H (2010): Natural experiment evidence on the effect of migration on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IZA Discussion Paper No. 5232 

  7. He FJ, MacGregor GA (2004): Effect of longer-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4(3): CD004937 

  8. He FJ, MacGregor GA (2008):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J Hum Hypertens 23(6): 363-384 

  9. He J, Oqden LG, Vupputuri S, Bazzano LA, Loria C, Whelton PK (1999): Dietary sodium intake and subsequen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verweight adults. J Am Med Assoc 282(21): 2027-2034 

  10.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1988): INTERSALT: an international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Results for 24 hour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Br Med J 297(6644): 319-328 

  11. Joffres MR, Campbell NR, Manns B, Tu K (2007): Estimate of the benefits of a population-based reduction in dietary sodium additives on hypertension and its related health care costs in Canada. Can J Cardiol 23(6): 437-443 

  12. Jung YH, Ko SJ (2004): Estimating socioeconomic cost of five major diseases. Korean J Public Finance 18(2): 77-104 

  13. Jung YH, Ko SJ (2006): The socioeconomic cost of disease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39(6): 499-504 

  14.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0): 2009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urvey.keis.or.kr [cited 2011 May 20] 

  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Sodium reduction initiative - promoters' meeting. Press Release 26/12/2011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Cost-benefit analysis of sodium intake reduction policy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WHO for establishing sodium intake guidelines 

  17.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Hanareum, Seoul, pp.367-381 

  18. Lee C (2011): In-utero exposure to the Korean war and its long-term effects on health and economic outcomes. 2012 ASSA Meetings 

  19. Meneton P, Jeunemaitre X, de Wardener HE, MacGregor GA (2005): Links between dietary salt intake, renal salt handling,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Physiol Rev 85(2): 679-715 

  2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Report on 2009 Wage Structure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 [cited 2011 May 20]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Korea Health Statistics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1) 2007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9): Korea Health Statistics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2008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09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Health Interview Survey 

  26. Murray CJL, Lauer JA, Hutubessy RCW, Niessen L, Tomijima N, Rodgers A, Lawes CMM, Evans DB (2003): Effectiveness and costs of interventions to lower systolic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a global and regional analysis on reduction of cardiovascular-disease risk. Lancet 361(9359): 717-725 

  27.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200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Available from http://www.nhic.or.kr [cited 2011 March 10] 

  28.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200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Available from http://www.nhic.or.kr [cited 2011 February 10] 

  29.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0): 2009 Survey on medical expenditure of patients insu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Available from http://www.nhic.or.kr [cited 2011 March 10] 

  30. Rhee M-Y, Yang SJ, Oh SW, Park Y, Kim C-i, Park H-K, Park SW, Park C-Y (2011): Novel genetic variations associated with salt sensitivity in the Korean population. Hypertens Res 34(5): 606-611 

  31. Rosen S (1986): The theory of equalizing differences. in orley ashenfelter and richard layard (eds.)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ume 1, New York NY: North-Holland, pp. 641- 692s 

  32. Selmer RM, Kristiansen IS, Haglerod A, Graff-Iversen S, Larsen HK, Meyer HE, Bønaa KH, Thelle DS (2000): Cost and health consequences of reducing population intake of salt.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4(9): 697-702 

  33. Stamler J (1997): The INTERSALT Study: background, methods, findings, and implications. Am J Clin Nutr 65(2S): 626-642 

  34. Stamler R (1991): Implications of the INTERSALT study. Hypertension 17(S1): 116-120 

  35. Statistics Korea (2010): 200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osis.go.kr [cited 2011 May 15] 

  36. Statistics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1 February 16] 

  37. Strazzullo P, D'Elia L, Kandala N-B, Cappuccio F (2009):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laysis of prospective studies. Br Med J 339: b4567 

  38. Tsugane S, Sasazuki S, Kobayashi M, Sasaki S (2004): Salt and salted food intake and subsequent risk of gastric cancer among middle-aged Japanese men and women. Br J Cancer 90(1): 128-134 

  39. Tuomilehto J, Jousilahti P, Rastenyte D, Moltchanov V, Tanskanen A, Pietinen P, Nissinen A (2001):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Finland: a prospective study. Lancet 357(9259): 848-851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16) 

  4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a): Creating an enabling environment for population-based salt reduction strategies. Report of a joint technical meeting held by WHO and the Food Standards Agency, United Kingdom, July 2010 

  4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b):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Version:2010.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browse/2010/en [cited 2011 March 10] 

  4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Call for public comments on the scoping of sodium and potassium recommendations.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utrition/events/NUGAG_dietandhealth_ subgroup_ call_public_comment_scope_of_Na_K.pdf [cited 2011 February 10] 

  4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Call for public comments - Draft WHO Guidelines sodium and potassium. Available from http:// www.who.int/nutrition [cited 2012 February 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