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층의 조성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Technique by Compositional Analysis of Soil Stratum with Basement at the Mireuksaji Stone Pagod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3, 2012년, pp.237 - 253  

이정은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동식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미륵사터에 세워진 탑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국보 제11호이다. 이 석탑은 이미 부분적으로 원형을 상실한 상태로서 현재는 완전히 해체되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지반에 대한 판축기술 및 제작기법을 해석하기 위해 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에 사용된 토층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물리적, 재료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륵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지반 토양 5점을 선정하여 석탑 판축에 사용된 토층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질성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석탑의 판축에 사용된 모든 토층에서 인위적 첨가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변 지역의 토양과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륵사지 석탑의 지반은 특별한 정선과정 없이 주변 지역의 토양을 사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s constructed Baekje Period in the 7th century which is located in Iksan, Korea. This stone pagoda designated by National Treasure No. 11 is the only remaining pagoda. This pagoda has lost the original form in part and the whole stonework wase dismantled. Work for the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익산 미륵사지석탑이란? 익산 미륵사지석탑은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으며, 1962년에 국보 제11호로 지정된 석탑이다. 미륵사는 백제시대 최대의 사찰이었으며, 미륵사지 석탑은 함몰된 뒷면을 시멘트로 보강하여 불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었다.
판축이란? 판축이란 성벽이나 큰 규모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토양으로 층을 만든 후 다짐을 반복한 건축기술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판축법은 건물, 성곽 및 고분 등의 기초에 널리 사용되어왔으며, 주로 기반 하부를 파내고 점착력이 우수한 점토, 풍화토 및 잡석 등을펴 깔고 물을 부어 공극을 줄이며 다졌다.
익산 미륵사지석탑이 세워진 시기는? 미륵사는 백제시대 최대의 사찰이었으며, 미륵사지 석탑은 함몰된 뒷면을 시멘트로 보강하여 불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었다. 탑이 세워진 시기는 백제 무왕(재위 600~641)대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며, 목탑과 석탑의 양식이 절충된 시원적 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조적 불균형과 복합적인 훼손이 발생한 상태였으며, 최근까지 전체적인 안전진단과 구조보강 및 보존을 위한 해체와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ong, M.S. and Kim, Y.Y. (1969) The Korean Geology Map: Samye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32p. 

  2. Jang, S.Y., Lee, G.G., Mun, H.S. and Lee, C.H. (2009) Interpretation of material provenanc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pottery and kilns from gundong and majeon sites in the 3rd century at yeonggwa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p.101- 114. 

  3. Jo, S.N., Kim, J.Y., Lee, C.H. and Lee, S.G. (2008)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of paleo-soil in Paleolithic age from the Pangyo site, Seongnam,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of Cultural Heritage, v.7, p.121-133. 

  4. Kim, R.H., Kim, J.Y., Lee, C.H. and Kim, M.J. (2008) Quantitative analysis and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of pottery and soil from the Duteogol site in Yonggokdong, Cheonan,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of Cultural Heritage, v.7, p.105-119. 

  5.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2006) Archaeog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v.33, p.335-348. 

  6. Lee, C.H., Kim, J. and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v.52, p.31-44. 

  7. Lee, D.Y., Kim, J.Y. and Shin, S.J. (1993) Geological features and analysis of excavated pottery. The Museum Memoir, v.9, p.85-122. 

  8. Lee, M.H. and Lee, C.H. (2009) Transportation route, provenanc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Seongju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725-739. 

  9. Lee, Y.I. and Lee, S.B., (2002) Characteristics of Pyeongchang-ri paleolithic-site paleosols, Yongin-si, Gyeonggi-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8, p.471-489. 

  10.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v.65, p.1007-1032. 

  11.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continental margin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p.230-349. 

  12. Schulze, D.G., Nagel, J.L., Von Scoyoc, G.E., Henderson, T.L., Baumgardner, M.F. and Stott, D.E. (1993) Significance of organic carbon in determining soil colors. In J.M. Bigham and E.J. Ciolkosz (ed.) Soil Color. SSSA Spec, 31, SSSA, Madison, WI, p.71-90. 

  13. Seo, Y.I. (2009) A study on the earthen base construction in the mountain castle at ancient times.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p.219-241. 

  14. Shon, H.J. and Park, H.K. (2001) A study on construction system with rammed earth.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525-528. 

  15. Soil Survey Staff. (1951) Soil survey manu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p.1-503. 

  1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p. 

  17. Taylor, A.B. and Velbel, M.A. (1991) Geochemical mass balances and weathering rates in forested watersheds of the southern Blue Ridge. Effects of botanical uptake terms. Geoderma, v.51, p.29-50. 

  18.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Iksan (2001) The history of Iksan. Iksan City, v.1, p.1-932. 

  19.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1995) The investigative report of Baekje history reproduction complex and cultural heritage. p.222. 

  20. Torrent, J. and Barron., V. (1993) Laboratory measurements of soil color-Theory and practice. Soil Sci. Soc. Am., Special Publication, v11, Madison, WI, p.21-33. 

  21.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v.34, p.924-935. 

  22. Yoon, M.B. (1992) Technique of rammed earth in Mongchontoseong. Baekje Research Institut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211-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