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수 물과 에탄올 산화 탄소나노유체의 열전도도 및 점도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ies and Viscosities of the Pure Water and Ethanol Carbon Nanofluids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2 suppl.3, 2012년, pp.213 - 219  

안응진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박성식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천원기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박윤철 (제주대학교 기계공학과) ,  전용한 (상지영서대학교 소방안전과) ,  김남진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nofluids are advanced concept fluid that solid particles of nanometer size are stably dispersed in fluid likes water, ethylene glycol and others. They have higher thermal conductivities than base fluids. If using this characteristic, efficiencies of heat exchangers can be increased. Therefore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나노유체의 우수한 열적특성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많은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열 집열기의 작동유체로 적용하기 위하여, 증류수와 에탄올을 기반으로 산화 탄소나노유체를 제조하고 온도에 따른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및 점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열 에너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304×1021kcal의 에너지를 태양으로부터 받고 있으며, 이는 연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약 20,000배에 달한다.1) 이처럼 태양열 에너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에너지 자원이며,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부존량이 풍부한 무공해·무한정의 에너지원이다. 태양열 에너지는 태양열 에너지의 흡수, 저장, 열변환의 과정을 통해 건물의 냉·난방,온수 급탕, 열 발전에 이용할 수 있다.
태양열 에너지의 단점은 무엇인가? 태양열 에너지는 태양열 에너지의 흡수, 저장, 열변환의 과정을 통해 건물의 냉·난방,온수 급탕, 열 발전에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태양열 에너지는 단위 면적당 공급받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적다는 단점이 있어 태양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태양열 시스템의 집열 효율을 향상시켜야한다.
탄소나노튜브의 강한 응집력을 약화시켜 안정적으로 유체 내에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우수한 열적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Park et al.8)은 분산 방법에 따라 다르게 제조한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및 점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탄소나노튜브를 산화 처리하는 화학적 개질에 의한 분산법과 초음파를 이용한 기계적 분산법을 동시에 적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열적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1986.6. 

  2. Jung E.G., Boo J.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a Heat Pope Having Water-Ethano Mixtureas Working fluid for Evacuated Solar Coll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006, Vol. 28, No. 5, pp. 78-84 

  3. HaH. J., Kong Y. C., DoK. H., Jang S. P.,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rmal Characteristics of Heat Pipes Using Water-based MWCNT Nanofluid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011, Vol.23, No.7, pp. 528-534 

  4. Lifei Chen, Huaqing Xie, Silicon oil bas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nanofluid with optimized thermal conductivity enhancement,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2009, Vol. 352, pp. 136-140. 

  5. Min-Sheng Liu, Mark Ching-Cheng Lin, I-Te Hunang, Chi-Chuan Wang, Enhanc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with carbon nanotube for nanofluids, Heat and Mass Transfer, 2005 Vol.32, pp.1202-1210. 

  6. Wensel, Jesse,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by aggregation in heat transfer nanofluids containing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carbonnanotubes, Applied Physics Letters, 2008, Vol.92, Issue2, pp.23110-23113 

  7. M. Rafati, A.A. Hamidi, M. Shariati Niaser, Application of nanofluids in computer cooling systems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nanofluid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2012, Vol.45-46, pp.9-14. 

  8. Sung Seek Park, Eoung Jin An, Kyung Soo Lee, Youn Chul Park, Nam Jin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fluids for efficiency enhancement of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011, Vol.20, No. 3, pp. 209-215 

  9. Bently, J.P., Temperature sensor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system design, Journal of Physics E: Scientific Instruments,1984, Vol.17, pp. 430-435 

  10. Nagasaka, Y. and Nagashima, A., Absolute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lectrically conducting liquids by the transient hot-wire method, Journal of Physics E: Scientific Instruments,1981, Vol.14, pp. 1435-1440. 

  11. Lide, David R,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0/e, 2009. 

  12.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Information Center, http://www.cheric.org/research/kdb/hcprop/showcef.php?cmpid818&propTH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