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rboxymethylcellulose(CMC) 용액과 인공 타액의 점도와 습윤성
Viscosity and Wettability of Carboxymethylcellulose(CMC) solutions and Artificial Saliva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2 no.4 = no.69, 2007년, pp.365 - 373  

박문수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 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김영준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 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는 구강 연조직과 경조직의 손상은 구강건조증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타액선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구강건조증 환자의 경우 인공타액은 유일한 처치법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인공타액은 환자들의 기대치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CMC 용액과 인공타액의 점도와 습윤성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이상적인 인공타액의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CMC를 타액모방완충용액(simulated salivary buffer, SSB)과 증류수에 용해시켜 동물 mucin 용액을 완성한 후, 이를 인체 전타액, 인체 개별 타액선 타액, 그리고 CMC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타액인 Salivart 및 Moi-Stir와 비교 분석하였다. 점도는 cone-and-plate digital viscometer로 검체 당 6개의 전단율에서 측정하였고, 습윤성은 아크릴릭 레진과 Co-Cr alloy 표면 위에서의 접촉각 측정을 통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MC 용액의 점도는 CMC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0.5% CMC 용액의 점도는 비자극성 전타액의 점도와 유사하였다. 반면에 CMC 용액의 접촉각은 점도와는 반대로 CMC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감소하였다. 2. 인체 타액의 점도는 전단율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non-Newtonian fluid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전단율에서의 평균 점도는 자극성 이하선 타액, 자극성 전타액, 비자극성 전타액, 자극성 악하선-설하선 타액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3. 인체 타액의 접촉각은 점도와는 반대로 자극성 이하선 타액, 자극성 전타액, 비자극성 전타액, 자극성 악하선-설하선 타액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타액모방완충용액에 용해시킨 CMC를 가열하여 변성시킨 경우 점도가 감소하였다 (P < 0.01, 전단율 $90s^{-1}$). 5. 인체 타액의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인체 타액의 Co-Cr alloy 표면에서의 접촉각보다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6. 인체 타액의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CMC 용액의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의 접촉각보다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이번 연구에서 CMC 용액의 유동학적 성질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MC는 향후 효과적인 인공타액의 개발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truction of oral soft and hard tissues and resulting problems seriously affect the life quality of xerostomic patients. Although artificial saliva is the only regimen for xerostomic patients with totally abolished salivary glands, currently available artificial salivas give restricted satisf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e investigated the viscosity and film-forming property of solutions of CMC, human saliva, and commercially-available CMC-based saliva substitutes. This study furthers our understanding of CMC’s role in saliva substitutes and may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aliva substitutes.
  • This study provided an objective observ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MC solutions in terms of their rheological properties. In the future, recombinant technologies will be used to replenish native macromolecules in artificial salivas and eventually the cloning of salivary gland will be possible.

가설 설정

  • 1. The viscosity of CMC solutions was proportional to CMC cncentration, with 0.5% CMC solution displaying similar viscosity to unimulated whole saliva. Whereas a decrease in contact angle was found with increasing CMC concentr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andel ID. The role of saliva in maintaining oral homeostasis. J Am Dent Assoc 1989;119(2):298-304 

  2. Mandel ID. The functions of saliva. J Dent Res 1987;66(Spec Iss):436-441 

  3. Levine MJ. Development of artificial salivas. Crit Rev Oral Biol Med 1993;4(3/4):279-286 

  4. Schenkels LCPM, Veerman ECI, Nieuw Amerongen AV. Biochemical composition of human saliva in relation to other mucosal fluids. Crit Rev Oral Biol Med 1995;6(2):161-175 

  5. Sreebny LM, Valdini A. Xerostomia part I: relationship to other oral symptoms and salivary gland performanc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8;66(4):451-458 

  6. Porter SR, Scully C, Hegarty AM. An update of the etiology and management of xerostomi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4;97(1): 28-46 

  7. Levine MJ, Aguirre A, Hatton MN, Tabak LA. Artificial saliva: Present and future. J Dent Res 1987;66(Spec Iss):693-698 

  8. Fox PC. Systemic therapy of salivary gland hypofunction. J Dent Res 1987;66(Spec Iss): 689-692 

  9. Fox PC. Salivary enhancement therapies. Caries Res 2004;38(3):241-246 

  10. Vissink A, Waterman HA's-Gravenmade EJ, Panders AK, Vermey A. Rheological properties of saliva substitutes containing mucin, carboxymethylcellulose or polyethylenoxide. J Oral Pathol 1984;13(1): 22-28 

  11. Vissink A, De Jong HP, Busscher HJ, Arends J's-Gravenmade EJ. Wetting properties of human saliva and saliva substitutes. J Dent Res 1986;65(9):1121-1124 

  12. Hatton MN, Levine MJ, Margarone JE, Aguirre A. Lubrication and viscosity features of human saliva and commercially available saliva substitutes. J Oral Maxillofac Surg 1987;45(6):496-499 

  13. Olsson H, Axell T. Objective and subjective efficacy of saliva substitutes containing mucin and carboxymethylcellulose. Scand J Dent Res 1991;99(4):316-319 

  14. Vissink A, 's-Gravenmade EJ, Panders AK et al. A clinical comparison between commercially available mucin- and CMC-containing saliva substitutes. Int J Oral Surg 1983;12(4):232-238 

  15. Duxbury AJ, Thakker NS, Wastell DG. A double-blind cross-over trial of a mucin-containing artificial saliva. Br Dent J 1989;166(4):115-120 

  16. Blixt-Johansen G, Ek AC, Ganowiak W et al. Improvement of oral mucosa with mucin containing artificial saliva in geriatric 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 1992;14(2): 193-201 

  17. Block PL, Brottman S. A method of submaxillary saliva collection without cannulization. N Y State Dent J 1962;28:116-118 

  18. Bennick A, Cannon M. Quantitative study of the interaction of salivary acidic proline-rich proteins with hydroxyapatite. Caries Res 1978;12(3):159-169 

  19. Klestov AC, Latt D, Schiller G et al. Treatment of xerostomia: a double-blind trial in 108 patients with Sjgren's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1;51(6):594-599 

  20. Bjrnstrm M, Axll T, Birkhed D. Comparison between saliva stimulants and saliva substitutes in patients with symptoms related to dry mouth. Swed Dent J 1990;14(4):153-161 

  21. Fox PC, van der Ven PF, Sonies BC, Weiffenbach JM, Baum BJ. Xerostomia: evaluation of a symptom with increasing significance. J Am Dent Assoc 1985;110(4): 519-525 

  22. Fox PC, Busch KA, Baum BJ. Subjective reports of xerostomia and objective measures of salivary gland performance. J Am Dent Assoc 1987;115(4):581-584 

  23. Waterman HA, Blom C, Holterman HJ, 's-Gravenmade EJ, Mellena J. Rheological properties of human saliva. Arch Oral Biol 1988;33(8):589-596 

  24. Balmer RT, Hirsch SR. The non-Newtonian behaviour of human saliva. AIChE symposium series on biorheology 1978;74:125-129 

  25. Glantz P, Friberg S. Time-dependent rheological behaviour of saliva. Odontol Revy 1970;21(3):279-285 

  26. Christersson CE, Lindh L, Arnebrant T. Film-forming properties and viscosities of saliva substitutes and human whole saliva. Eur J Oral Sci 2000;108(5): 418-425 

  27. Sipahi C, Anil N, Bayramli E. The effect of salivary pellicle on the surface free energy and wettability of differerent denture base materials. J Dent 2001;29(3):197-204 

  28. Monsenego P, Baszkin A, Costa ML, Lejoyeux J. Complete denture retention. Part II: Wettability test studies on various acrylic resin denture base materials. J Prosthet Dent 1989;62(3):308-312 

  29. Tabak LA, Levine MJ, Mandel ID, Ellison SA. Role of salivary mucins in the protection of the oral cavity. J Oral Pathol 1982;11(1):1-17 

  30. Mellema J, Holterman HJ, Waterman HA, Blom C, 's-Gravenmade EJ. Rheological aspects of mucin-containing solutions and saliva substitutes. Biorheology 1992;29(2/3):231-249 

  31. Van der Reijden WA, Veerman ECI, Nieuw Amerongen AV.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olysaccharides with potential use in saliva substitutes. Biorheology 1994;31(6): 631-642 

  32. Schenkels LCPM, Gururaja TL, Levine MJ. Salivary mucins: Their role in oral mucosal barrier function and drug delivery. In: Rathbone MJ(Ed). Oral Mucosal Drug Delivery. New York, 1996, Marcel Dekker, Inc., pp.191-220 

  33. Litt M, Khan MA, Shih CK, Wolf DP. The role of sialic acid in determining rheological and transport properties of mucus secretions. Biorheology 1977;14 (2/3):127-132 

  34. Veerman ECI, Valentijn-Benz M, Nieuw Amerogen AV. Viscosity of human salivary mucins: effect of pH and ionic strength and role of sialic acid. J Biol Buccale 1989;17(4):297-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