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소재 도시광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중심 대 광장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the City Squares in Seoul - Focused on Grand Public Plac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3, 2012년, pp.42 - 50  

이정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형숙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최윤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광장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도시광장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민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여가 문화 활동, 오픈 마켓, 정치적 집회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최근 우리나라에 공공 오픈 스페이스로 조성된 도시광장은 도시민들의 요구에 의한 중심 대 광장 유형의 광장으로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특징을 갖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중심 대 광장의 유형으로 보여지는 광화문 광장, 서울 광장, 청계 광장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공간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각의 광장에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 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도시광장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구성요소, 이용성, 쾌적성/안전성, 공간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대상지가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광장의 이용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가 조성되어 있는 광화문 광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광장의 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광장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만족사항을 반영하여,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도시광장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y squares are public open spac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s daily lives. Most square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y are usually used for community gatherings and they are suitable for open markets, music concerts, political rallies, and other events. City squar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공간 이용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도시광장의 개선 방안 및 발전 방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지는 광장조성 사업을 통해 조성된 서울 소재 도시광장인 광화문 광장, 서울 광장, 청계광장으로 선정하였다.
  • 선정된 연구 대상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시 광장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고, 도시광장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서울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는 도시민의 적극적 활동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심 대 광장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중심 대 광장을 대상으로 도시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공간 이용 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도시 광장의 개선방안 및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광장이란? 도시광장은 대표적인 오픈 스페이스(PublicOpenSpace)중 하나로 도시의 주요부에 위치하여 도시 문화 생활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성동규와 김성희,2005).성별,연령,인종,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모든 시민들은 도시광장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만남의 장소,축제와 이벤트의 장소,정치적 집회의 장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Francis,1989; 김대현,2001;성동규와 김성희,2005;GrahnandStigsdotter, 2010).
도시광장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도시광장은 대표적인 오픈 스페이스(PublicOpenSpace)중 하나로 도시의 주요부에 위치하여 도시 문화 생활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성동규와 김성희,2005).성별,연령,인종,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모든 시민들은 도시광장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만남의 장소,축제와 이벤트의 장소,정치적 집회의 장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Francis,1989; 김대현,2001;성동규와 김성희,2005;GrahnandStigsdotter, 2010).이와 같은 도시광장은 사회적․문화적 활동을 유발하는 적극적인 장소의 역할을 함으로써 도시민의 커뮤니티 장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 소재 중심 대광장을 대상으로 도시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공간 이용 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첫째,도시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결과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요소,이용성,쾌적성/안전성,그리고 공간특성 요인으로 만족 요인을 분류하였다.요인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심 대 광장의 유형인 조사 대상지는 광장의 접근성이나 보행성 등이 높아 이용성을 향상시켜 도시광장이 도시오픈스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구성요소 요인에 대한 낮은 만족도는 휴게시설과 조형물,수경시설 등의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특히,구성요소 요인에서 광화문 광장이 서울 광장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이용자는 도시광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광장의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광장에 대한 느낌이나 환경에 대한 만족도에서 광화문 광장과 청계 광장이 서울 광장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시설,조형물,휴게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공간 구성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광장에서 이용자는 더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도시광장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이용 만족도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구성요소,이용성,안전성,공간특성요인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이용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특히,이용성 요인이 공간 이용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를 통해 도시광장은 도시오픈스페이스로써 도시민들의 생활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성되는 것이 중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건설교통부(2004)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 

  2. 김대현(2001) 도시광장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건물 전면 통로형 광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3(1) : 17-22. 

  3. 김석태(1985) 서울 도심미관광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영 (2009)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디자인 : 청계천, 예술의 전당, 쌈지길, 오모테산도 힐스, 롯본기 힐스, 예르바 부에나 센터 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2 : 47-58. 

  5. 김정윤(2006) 서울 다이나믹스 : 청계천 시점부 광장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1) : 92-106 

  6. 김현경, 김학신(2005)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이 시민 만족도와 구전의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4) : 553-564. 

  7. 남호현, 민상충(2008) 중세광장의 공간결정요소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4) : 83-95. 

  8. 성동규, 김성희(2005) 서울 광장 이용에 대한 시민 만족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시민광장과 문화광장으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 도시연구 6(4) : 191-215 

  9. 이민우, 안세헌, 조경진(2003)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1(3) : 34-45. 

  10. 이영경(1994) 광장설계지침과 진화이론을 이용한 광장선호분석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3) : 13-27. 

  11. 임혜진, 유승훈, 곽승준(2005) 서울광장 조성에 대한 서울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서울도시연구 6(2) : 39-55. 

  12. 장태현(1996) 현대도시광장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 164-188. 

  13. 정승희, 김현중(2009) 도시 공간 오픈 스페이스의 영역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 507-519. 

  14. 조혜경, 이영근(1996) 도시광장의 특성 연구 :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논총 8 : 309-327. 

  15. Arefi, M. and W. Meyers(2003) What is public about public space : The case of Visakhaptnam, India. Cities 5 : 331-339. 

  16. Brander, L. M. and M. J. Koetse(2011)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pricing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 2763-2773. 

  17. Burgess, J. , C. M. Harrison and M. Limb(1988) People, parksand urbangreen : a study of popular meaning and values for opens spaces inthecity. Urban Studies 25 : 455-473. 

  18. Chidister, M. (1986) The effect of the context on the use of urban plaza. Landscape Journal 5(2) : 115-127. 

  19. Francis, M. (1989) Control as a dimension of public-spacequality, In Irwin Altmanand Ervin H. Zube. Eds. Public Places ad Spaces. New York and London. Plenum Press. pp. 147-172. 

  20. Grahn, P. and U. K. Stigsdotter(2010)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ensory dimensions of urban green space and stress restor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4(3-4) : 264-275. 

  21. Lee, Y. K. , D. W. Lee and C. K. Lee (2003) The impact of perceived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 the caseof Suanbo Spafestiv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7(1) : 85-104. 

  22. Marcus, C. C. and C. Francis(1997) Peopleplaces :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s. New York : John Wiley & Sons. 

  23. Maruani, T. and I. Amit-Cohen(2007) Open space planning models : A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Landscapeand Urban Planning 81 : 1-3. 

  24. Pasaogullari, N. and N. Doratli(2004) Measuring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publics pacesin Famagusta. Cities 21(3) : 225-232. 

  25. Sirakaya, E. , J. Petrick and H. Choi(2004) The role of mood on tourism product evalu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3) : 517-539. 

  26. http://plaza.seoul.go.kr 

  27. http://square.sisul.or.kr 

  28. http://www.cheonggyecheon.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