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이용 만족도 분석 -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Satisfaction on the Usability of City Squares - Focused on Gwanghwamun Square and Geumbit Squar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111 - 123  

최윤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이정아 (메릴랜드대학교 식물과학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광장은 지역사회 모임이나 시장, 공연, 정치집회 및 기타 이벤트 등 다양한 활동이 행해지는 곳으로, 도시 내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도시광장은 광장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이용만족에 대한 고려가 미비한 채 획일적으로 계획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일반광장 중 중심대광장을 대표하는 광화문광장과 근린광장을 대표하는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방문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인과 세부 요소를 분석하여 도시광장 유형별 설계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각 광장에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요인분석, 회귀분석, 퍼지이론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도시광장 설계요소 만족요인은 어메니티, 이용성, 공간특성, 문화성, 쾌적성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광화문광장의 공간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메니티요인, 쾌적성요인, 공간특성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빛공원광장의 공간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쾌적성요인, 어메니티요인, 이용성요인, 공간특성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광장의 설계요소에 대한 만족요인별 만족순위를 퍼지이론을 통해 비교한 결과, 광화문광장은 어메니티요인 중 광장의 청결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금빛공원광장은 쾌적성요인 중 광장의 수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의 이용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소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이용객 만족을 고려한 도시광장 설계 및 계획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ity square is an important public open space for people. Being used for various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gatherings, open markets, concerts, political rallies, and other events, many types of city squares are represented in a city. Nevertheless, most city squares are planned uniformly, l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도시에 중점으로 조성되는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의 광장 이용행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도시광장 유형별로 설계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설계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도시민의 설계요소 만족순위에 따른 개선방향을 설정하여 광장의 공간이용 만족을 향상시키는 제안을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일반광장의 유형인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만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기 수행된 유사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세부적으로 비교 고찰하거나, 여러 주제광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이처럼 다양한 도시광장의 설계요소들은 광장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기능과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써 광장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 설계요소의 일반적 특징(Table 1참조)에 따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이러한 원리의 퍼지이론은 주로 순위 분석을 통한 가치 평가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음에 따라(Byun and Byun, 2001; Liu and Samal, 2002; Lee and Yun, 2004; You et al., 2005; You et al., 2006; Yoo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도시광장의 구성요소 만족도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퍼지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방문객의 이용행태를 비교분석하고 공간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소를 파악하여 도시광장의 유형별 개선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중심대광장(광화문광장)과 근린광장(금빛공원광장)을 대상으로 도시광장의 설계요소에 대한 만족도 및 공간이용 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도시광장 유형별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단일 광장에서의 이용자 행태를 조사하고 이용자의 선호도나 만족도를 평가하여, 광장 유형별 이용 실태를 분석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을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를 비교하고, 광장 설계요소에 따른 만족도 및 공간이용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중심대광장과 근린광장을 이용하는 방문객의 특성 및 만족도를 고려한 광장설계 및 관리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린광장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상업활동이 발달한 도심지에 대규모로 조성되어 불특정 다수의 시민들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중심대광장과 달리, 근린광장은 주거환경과 인접한 곳에 공원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이용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요구를 충족 하기 위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근린광장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는 소공원, 쌈지공원, 어린이공원, 커뮤니티공원, 자투리공원 등이 있으며(Kim, 1999; Li et al., 2012), 이들 공간은 생활권 밖의 중심대광장이나 대규모 공원처럼 특정 목적을 가지고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의 놀이활동, 어른들의 체력단련, 이웃과의 만남 및 소통, 가벼운 산책과 같은 일상생활 활동을 유발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Kong and Yang, 2011).
중심대광장이란 무엇을 일컫는가? 중심대광장은 업무지역, 상업지역, 교통지역, 문화공간 등 주요 도시계획시설 주변에 위치하여 만남의 장소, 축제와 이벤트의 장소, 정치적 집회의 장소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시 중심부의 오픈 스페이스를 일컫는다(Marcus and Francis, 1997). 도시 오픈 스페이스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유럽의 중심대광장과 달리 우리나라의 중심대광장은 도로의 결절점에 형성되어 교통체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통광장이나 가로와 길이 마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통로형 광장에서 발전되었다(Kim, 2001; Kim, 2009).
도시 오픈 스페이스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유럽의 중심대광장과 달리 우리나라의 중심대광장은 도로의 결절점에 형성되어 교통체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통광장이나 가로와 길이 마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통로형 광장에서 발전된 이유는? 도시 오픈 스페이스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유럽의 중심대광장과 달리 우리나라의 중심대광장은 도로의 결절점에 형성되어 교통체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통광장이나 가로와 길이 마당과 연결되며 형성되는 통로형 광장에서 발전되었다(Kim, 2001; Kim, 2009). 이는 예전부터 주로 길에서 장터나 축제행사가 열려 길이 광장의 역할을 해왔던 우리나라 도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Kim, 2009; Kim, 2003). 다시 말해, 특정 행사나 이벤트를 위하여 교통광장이나 통로형광장 주변의 길을 일시적으로 막아 형성된 광범위한 공간이 중심대광장의 역할을 대신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hn, D. S., T. S. Jeong and Y. M. Park(1998)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sking model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y at urban small green spa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9-33. 

  2. Ahn, D. S.(2002) Analyses on the cognitive effects of masking traffic noise by sounds of water.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4): 9-19. 

  3. Alaimo, K., T. M. Reischl and J. O. Allen(2010) Community gardening, neighborhood meetings, and social capital.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4): 497-514. 

  4. Arefi, M. and W. R. Meyers(2003) What is public about public space -The case of Visakhapatnam, India-. Cities 20(5): 331-339. 

  5. Brander, L. M. and M. J. Koetse(2011)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 pricing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2763-2773. 

  6. Byun, W. H. and S. H. Byun(2001) Evaluation of value attribute for tourist resource -An application of triangular fuzzy number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5(3): 27-42. 

  7. Calhoun, C.(1998) Communitywithout propinquity revisite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public sphere-. Sociological Inquiry 68(3): 373-397. 

  8. Chae, J. H., Y. G. Kim, Y. H. Kim, Y. H. Son and K. J. Zoh(2013) A study on urban open space selection attributes as an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4): 56-67. 

  9. Chidister, M.(1986) The effect of context on the use of urban plazas. Landscape Journal 5(2): 115-127. 

  10. Childs, M. C.(2006) Squares: A Public Place Design Guide for Urbanists. Albuquerqu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1. Francis, M.(1984) Community Open Spaces: Greening Neighborhoods Through Community Action and Land Conservation. Washington, D.C.: Island Press. 

  12. Francis, M.(2003) Urban Open Space: Designing for User Needs.Washington, D.C.: Island Press. 

  13.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K. Ng, A. Lange and R. J. Donovan(2005)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 169-176. 

  14. Jeong, W. J.(2013) Characteristics of boulevard-type plaza design -Focusing on Ansan Gwangduk theme plaza design, Ansan city,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 185-198. 

  15. Joardar, S. and J. Neill(1978) The subtl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of small public spaces. Landscape Architecture 68(11): 487-491. 

  16. Kim, D. H.(2001)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for satisfaction of urban public plaza with the use of urban public plaza at buildings for pedestrians' walk.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 17-22. 

  17. Kim, D. K.(1999)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small pieces of land in downtown area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2): 44-52. 

  18. Kim, J. H.(2003) Spatial characteristics shown in landscape desig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1-11. 

  19. Kim, J. S.(2005) Night use of urban parks and illumination suitability mode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0(3): 205-217. 

  20. Kim, J. Y.(2006) Seoul dynamics -Cheonggyecheon threshold plaza desig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92-106. 

  21. Kim, M. S., R. J. Lee and J. S. Lee(2013) Analysis of perception and the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on urban design attributes in urban plaza -In case of Gwanghwamun Plaz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5(1): 139-158. 

  22. Kim, M. Y. and J. M. Moon(2011) An analysis of character for community vitality in urban public space -Focus on the urban squar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6): 291-299. 

  23. Kim, S. J., J. L. Park and W. K. Sim(2010)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community spac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4): 14-27. 

  24. Kim, S. W. and Y. J. Park(1999) The present status, and guideline for improving the spatial quality of village park in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4): 31-46. 

  25. Kim, S. Y.(2009) Open space and urban plaza design for public space in city environment -Design analysis of Cheonggyecheon, Seoul arts center, Omotesando hills, Roppongi fills and Yerba Buena center-.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2(-): 47-58. 

  26. Kim, S. Y.(2012) Urban public space design element in multi-complex building plaza and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5(3): 104-117. 

  27. Kim, Y. G., J. S. Sung, S. M. Cho and K. M. Lee(2003) Community participatory small park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78-89. 

  28. Kong, Y. K. and H. S. Yang(2011) The creative regeneration and daily life on urban park -The case of JeonpoDolsan park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7(5): 582-599. 

  29. Kostof, S.(2005) The City Assembled: The Elements of Urban Form Through History(Reprint edition). London: Thames & Hudson. 

  30. Lee, H. C., and M. K. Ha(2008) A study on the publicity of plaza in underground passage shopping cent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24(4): 107-115. 

  31. Lee, J. A., H. S. Lee, Y. E. Choi, and J. Chon(2012)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the city squares in Seoul -Focused on grand public p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3): 42-50. 

  32. Lee, J. H., Y. H. Lee and Y. D. Jeong(2013) A study on spacial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ree urban squares in downtown, Seoul -Focus on the periphery of Gwanghwamun, Cheonggye, and City Hall Square-. Urban Information Service 14(6): 67-80. 

  33. Lee, S. G., J. S. Jang, S. G. Jung and J. H. You(2009)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 1-10. 

  34. Lee, S. H. and D. K. Yun(2004) Using triangle fuzzy number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evaluate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2(3): 182-197. 

  35. Lee, S. M.(2009) A study on the sensible design features of city squares.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12: 45-54. 

  36. Li, Z., Y. S. Lee and Y. S. Kim(2012) Small parks planning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by using digital too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2(6): 3-10. 

  37. Liu, M. and A. Samal(2002) A fuzzy clustering approach to delineate agroecozones. Ecological Modelling 149(3): 215-228. 

  38. Marcus, C. C. and C. Francis(1997) People Places: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2nd Edi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9. Maruani, T. and I. Amit-Cohen(2007) Open space planning models -A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1(1-2): 1-13. 

  40. Min, S. C(1991) Plaza Design Methodology. Seoul: Korean architects. 

  41. Park, C. J.(2004) A fuzzy model for the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busines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4(2): 61-83. 

  42. Pasaogullari, N. and N. Doratli(2004) Measuring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public spaces in Famagusta. Cities 21(3): 225-232. 

  43. Roh, C. C.(2005) A value evaluation of cultural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activation of inbound -Application to fuzzy number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9(1): 55-73. 

  44. Shim, E. J.(2010) A study on users' spatial images and perceptions of Gwanghwamun plaz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3): 275-285. 

  45. Shin, H. D.(2012) A design study on Seoul CheongGye Plaz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3): 12-21. 

  46. Shin, H. D. and K. J. Zoh(2013)A study of the planning process, design idea and implementation of the Gwanghwamun plaz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4): 24-41. 

  47. Sung, D. K. and S. H. Kim(2005) Astudy on user's image and satisfaction for the Seoul square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public and cultural square-. Seoul Studies 6(4): 191-214. 

  48. Takano, T., K. Nakamura and M. Watanabe(2002)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The importance of walkable green spac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6(12): 913-918. 

  49. Thompson, C. W.(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2): 59-72. 

  50. Yi, Y. K.(1994) Public place preference -Design guidelines and a case study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 13-27. 

  51. Yoo, S., H. Jung, W. Park and G. Yeo(2011) An analysis of selection factors for capital region ports of call using the fuzzy theory. Korea Port Economics Review 27(2): 39-57. 

  52. You, J. H., S. G. Jung, K. H. Park and K. T. Kim(2006) Rank decision on regional environment assessment indicators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Focused on eco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5(6): 395-406. 

  53. You, J. H., S. G. Jung, K. T. Kim and J. H. Oh(2005) Ranking decision on assessment indicator of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area using fuzzy theory -Focused on site selection for the national tru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4): 97-107. 

  54. Zadeh, L. A.(1973)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es. Systems, Man and Cybernetics, IEEE Transactions on (1): 28-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