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Brain A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Intelligence Task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2, 2012년, pp.317 - 332  

조선희 () ,  최유용 ,  이건호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학생(n=8)과 외국어고학생(n=5)을 대상으로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을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지능점수가 상위 1% 안에 드는 높은 지능을 지닌 학생들이었다(과학고집단: RAPM 평균점수=34.0, WAIS 평균 IQ=139.6; 외국어고집단: RAPM 평균점수=33.8, WAIS 평균 IQ=147.2). 분석결과 두 집단은 지능과제 수행 시 공통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전두엽, 두정엽, 전대상피질에서 활동성을 보였다. 과학고집단은 도형 작업기억과 관련된 우측 두정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인 반면, 외국어고집단은 언어 작업기억과 관련된 좌측 전두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뇌활동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고집단은 과학고집단에 비해 혀와 입술의 운동과 관련된 좌측 중심전이랑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과제 수행 시 과학고학생은 도형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반면, 외국어고학생은 언어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동일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관여하는 주 사고체계가 영재성을 보이는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brain activity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by a science high school student group (n=8) and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 group (n=5). Both groups scored in the top 1% on intelligence tests (science high school group: RAPM mean score=34.0, WAIS mean IQ=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뇌영상 연구를 통해 과학고집단과 외국어고집단 간에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RAPM지능검사와 WAIS지능검사에서 상위 1%에 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지능을 지닌 집단이었다.
  • 영재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효과의 검증은 주로 개념이해, 학습 흥미도, 태도 등을 검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과제 수행 시 과학고집단과 외국어고집단에 공통으로 관여되는 영역이 있으며 특정 영역의 활동성이 두 집단에서 차별화되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영재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어 이들 영역의 활동성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이것은 분야별 영재성의 특성을 고려한 영재의 선발방법과 교수학습방법 개발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해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을 대상으로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과학, 언어, 예술 등 분야에 따른 영재들의 사고방식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영재성을 발휘하는 각 분야는 상징체계에 있어 차이가 있다.
  • 셋째, 영재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어서 뇌활동성을 하나의 특성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영재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효과의 검증은 주로 개념이해, 학습 흥미도, 태도 등을 검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 첫째, 영재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시 언어적 사고와 도형적 사고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학습내용들은 이를 언어로 표현을 할 수도 있고 도형으로 표현을 할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과목과 인문 과목의 지식의 전달은 각각 무엇을 통해 전달이 이루어지는가?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은 사고과정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 과학과목은 주로 수식, 기호, 도형을 통해 지식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반면, 인문과목은 주로 언어를 통해 지식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과학과목에 재능이 있는 학생은 수학개념과 도형에 대한 이해, 분류능력 등이 우수한 반면(고은성, 이경화, 2011; 김경민, 차희영, 구슬애, 2011; 양기열, 이의진, 2011), 인문과목에 재능이 있는 학생은 읽기능력, 언어적 표현능력 등이 우수하다(강승희, 조석희, 2004; Fox & Durden, 1982).
사람의 지적 능력인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은 어떤 능력을 의미하는가? 사람의 지적 능력은 크게 유동성지능(fluid intelligence)과 결정성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으로 구분이 된다(Cattell, 1971; Horn & Cattell, 1966). 유동성지능은 지식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추상적 사고능력을 의미하는 반면, 결정성지능은 유동성지능을 바탕으로 습득한 지식의 정도 혹은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추상적 사고능력을 의미한다. 유동성지능은 젊은 시절에 최대능력을 보인 후 감소하는 반면, 결정성지능은 높은 연령에서도 비교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Belsky, 1990; Kaufman, 2001).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을 평가하는 지능검사방법은 각각 무엇을 이용하는가? 유동성지능은 젊은 시절에 최대능력을 보인 후 감소하는 반면, 결정성지능은 높은 연령에서도 비교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Belsky, 1990; Kaufman, 2001). 도형을 이용한 지능검사방법들이 주로 유동성지능을 평가하는 반면, 언어를 이용한 지능검사방법들은 주로 결정성지능을 평가한다(Marshalek, Lohman, & Snow, 1983). 웩슬러 지능검사(WAIS: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능검사들은 유동성지능과 결정성 지능을 함께 측정하는 반면, 레이븐 지능검사(RAPM: Raven’s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와 카텔 지능검사(Cattell’s Culture Fair Intelligence Test)는 주로 유동성지능을 측정한다(Cattell, 1971; Raven, 1980; Wechsler,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승희, 조석희 (2004).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영재교육연구, 14(1), 91-114. 

  2. 고은성, 이경화 (2011).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 연구. 영재교육연구, 21(2), 287-307. 

  3. 김경민, 차희영, 구슬애 (2011).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09-719. 

  4. 김용진, 장남기 (2001).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두뇌순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2), 186-194. 

  5. 김재영, 최선희 (2003). 두뇌기반학습원리에 기초한 초등 과학수업의 효과: 4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2), 119-131. 

  6. 배진호, 임채성 (2004). 초등학교 과학에서 '쾌적한 환경' 단원에 대한 4MAT 학습 모형의 학습양식 유형과 두뇌 기능성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07-113. 

  7. 성현숙 (2009). 과학영재고등학생의 과학과 영어과목에서의 학습전략 사용 및 동기의 차이와 학업수행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19(1), 95-117. 

  8. 양기열, 이의진 (2011). 수학영재학생들의 유추를 통한 이차곡면의 탐구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269-286. 

  9. 유승식 (2001). 실전응용을 중심으로 한 기능 자기공명영상 실험. 서울: 도서출판 의학문화사. 

  10. 이일선, 이준기, 권용주 (2010). 두뇌맞춤 지수 기여도 산출식의 개발 및 적용: 7학년 과학 '세포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4), 531-546. 

  11. 조선희, 이건호, 김희백 (2007).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123-143. 

  12. 최선영, 장남기 (2003). 초등학생의 창의력, 학업성취도 및 과학관련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전뇌순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4), 282-291. 

  13. Belsky, J. K. (1990). The psychology of aging: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s. Pacific Grove: Brooks Cole Publishing Company. 

  14. Braver, T. S., Cohen, J. D., Nystrom, L. E., Jonides, J., Smith, E. E., & Noll, D.C. (1997). A parametric study of prefrontal cortex involvement in human working memory. NeuroImage, 5, 49-62. 

  15. Cabeza, R., & Nyberg, L. (2000). Imaging cognition II: An empirical review of 275 PET and fMRI studies. J. Cogn. Neurosci., 12, 1-47. 

  16. Carpenter, P. A., Just, M. A., & Shell, P. (1990). What one intelligence test measures: A theoretical account of the processing in the Raven Progressive Matrices Test. Psychol. Rev., 97, 404-431. 

  17. Cattell, R. B. (1971). Abilities: Their structure, growth, and action. Boston: Houghton Mifflin. 

  18. Choi, Y.Y., Shamosh, N.A., Cho, S.H., DeYoung, C.G., Lee, M.J., Lee, J.M., Kim, S.I., Cho, Z.H., Kim, K., Gray, J.R., & Lee, K.H. (2008). Multiple bases of human intelligence revealed by cortical thickness and neural activation. Journal of Neuroscience, 28(41), 10323-10329. 

  19. Cohen, J. D., Perlstein, W. M., Braver, T. S., Nystrom, L. E., Noll, D. C., Jonides, J., & Smith, E. E. (1997). Temporal dynamics of brain activation during a working memory task. Nature, 386, 604-608. 

  20. Fox, L. H., & Durden, W. G. (1982). Educating verbally gifted youth. Fastback 176.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21. Friston, K. J., Ashburner, J., Frith, C. D., Poline, J. B., Heather, J. D., & Frackowiak, R. S. J. (1995). Spatial registration and normalization of images. Hum. Brain Mapp., 2, 165-189. 

  22. Gray, J. R., Chabris, C. F., & Braver, T. S. (2003). Neural mechanisms of general fluid intelligence. Nat. Neurosci., 6, 316-322. 

  23. Gazzaniga, M. S., Ivry, R. B., & Mangun, G. R. (2002). Cognitive neuroscience. New York: Norton. 

  24. Haier, R. J., Siegel, B. V., Nuechterlein, K. H., Hazlett, E., Wu, J., Paek, J., Browning, H., & Buchsbaum, M. S. (1988). Cortical glucose metabolic rate correlates of abstract reasoning and attention studi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telligence, 12, 199-217. 

  25. Horn, J. L., & Cattell, R. B. (1966). Refinement and test of the theory of fluid and crystallized general intelligenc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7(5), 253-270. 

  26. Houde, O., & Tzourio-Mazoyer, N. (2003). Neural foundations of logical and mathematical cognition. Nat. Rev. Neurosci., 4, 507-514. 

  27. Kaufman, A. S. (2001). WAIS-III IQs, Horn's theory, and generational changes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Intelligence, 29, 131-167. 

  28. Kroger, J. K., Sabb, F. W., Fales, C. L., Bookheimer, S. Y., Cohen, M. S., & Holyoak, K. J. (2002). Recruitment of anterior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human reasoning: A parametric study of relational complexity. Cereb. Cortex, 12, 477-485. 

  29. Marshalek, B., Lohman, D. F., & Snow, R. E. (1983). The complexity continuum in the radex and hierarchical models of intelligence. Intelligence, 7, 107-127. 

  30. Ogawa, S., Lee, T. M., Kay, A. R., & Tank, D. W. (1990).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contrast dependent on blood oxygenation. Proc. Natl. Acad. Sci. USA, 87, 9868-9872. 

  31. Pessoa, L., Guitierrez, E., Bandettini, P. A., & Ugerleider, G. L. (2002). Neural correlates of visual working memory: fMRI amplitude predicts task performance. Neuron, 35, 975-987. 

  32. Prabhakaran, V., Smith, J. A. L., Desmond, J. E., Glover, G. H., & Gabrieli, J. D. E. (1997). Neural substrates of fluid reasoning: An fMRI study of neocortical activation during performance of the Raven's Progressive Matrices Test. Cognitive Psychol., 33, 43-63. 

  33. Raven, J. C. (1980).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set II. U.K.: Raven Ltd. 

  34. Smith, E. E., & Jonides, J. (1998). Neuroimaging analyses of working memory. Proc. Natl. Acad. Sci. USA, 95, 12061-12068. 

  35. Snow, R. E. (1989). Toward assessment of cognitive and conative structures in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 8-14. 

  36. Todd, J. J., & Marois, R. (2004). Capacity limit of visual short-term memory in human posterior parietal cortex. Nature, 428, 751-754. 

  37. Wechsler, D. (1981). WAIS-R manual;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Revised. New York: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38. Witelson, S. F., Kigar, D. L., & Harvey, T. (1999). The exceptional brain of Albert Einstein. Lancet, 353, 2149-2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