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Categories and Levels of Creativit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2, 2012년, pp.333 - 352  

조연순 (이화여자대학교) ,  정지은 (이대부속초등학교)

초록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eativity has been suggested as a prime educational objective b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s. How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and approaches creativity affects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 창의성의 정의 및 영역, 수준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창의성을 어떤 의미로 개념화하고 이해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고 있는가를 창의성의 정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조망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대상의 선정기준을 수립하였다; ①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창의성 및 교육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② 국내의 초 ·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③ 연구대상으로 초 · 중 · 고등학생이 직접적으로 들어가 있지는 않지만, 아동이나 청소년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이 목적인 연구(예: 창의성 교육을 위한 정책지원 방향 탐색, 창의성 교육의 반성적 접근).
  • 우선 창의성 교육 연구가 창의성에 대한 개념적 기준을 세우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창의성의 정의가 서술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범주는 Rhodes(1961)가 제안한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이라는 창의성의 네 가지 줄기를 토대로 하여 팽영일(2010), 김정섭(2008), 이영만(2001)의 논문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분석 기준을 세웠으며, 정의를 한 경우에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 창의성은 무엇인가? 큰 창의성은 에디슨의 전구 발명이나 빌 게이츠의 컴퓨터 발명,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등과 같이 누구나 창의적이라고 보기에 명백하고 저명한 창의성을 의미한다. 많은 창의성 연구들은 유명한 개인 또는 창작자와 같은 매우 높은 수준을 지닌 창의적 인물들의 특성이나, 창의적인 수행을 어떻게 하면 영구히 지속시킬 수 있을까에 관하여 연구해왔다(Cho et al.
Rhodes(1961)가 범주화한 창의성의 네 가지 줄기는 무엇인가? 창의성은 한 가지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창의성이 어떤 범주에서 접근되어지는가에 관해 설명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중 대표적 연구자인 Rhodes(1961)는 64개의 창의성 정의들을 분석한 후 이들을 개인(person), 과정(process), 산출물(product), 환경(place)이라는 ‘P’로 시작하는 네 가지 줄기(strands)로범주화하였다. 이는 흔히 창의성의 4P라고 불리며,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창의성의 네 가지 줄기에 기초하여 접근되어 왔다(Kozbelt, Beghetto, & Runco, 2010).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07-79호.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정섭 (2008). 한국 창의성 연구의 동향과 쟁점. 교육심리연구, 22(2), 939-960. 

  4. 김효정 (2008). 음악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음악 수업의 개선 방안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2(1), 27-52. 

  5. 박병기, 강현숙 (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6. 성은현, 한순미, 하주현, 이정규, 류형선, 한윤영, 박병기 (2008b).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67-390. 

  7.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8. 이쌍재, 조시연 (2007). 창의성 계발을 위한 '조형요소'의 지도 방법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1, 177-200. 

  9. 이영만 (2001). 교과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접근 방안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5-26. 

  10. 이종희, 김기연 (2008).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 개발. 학교수학, 10(4), 583-601. 

  11. 이채호, 최인수 (2009). 유아 창의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30(5), 1-8. 

  12. 이화자 (2002). 창의성 연구 현황 및 향후연구방향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9, 81-104. 

  13. 이희주 (2007). 초등학생을 위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 139-161. 

  14. 임선하 (2007). 창의성 교육: 반성적 접근. 창조교육논총, 9, 55-86. 

  15.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6. 천정미, 박영근 (2002). John Dewey의 지성 개념과 창의성 교육. 교육철학, 20, 189-204. 

  17. 최은영, 김정원 (2008).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관련 연구 분석. 육아지원연구, 3(2), 51-74. 

  18.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서울: 쌤앤파커스. 

  19. 팽영일 (2010). 창의성의 개념적 기준 비교. 비교교육연구, 20(4), 277-298. 

  20. 하주현 (2007). 창의적 인물의 특성. 창의력교육연구, 7(2), 51-68. 

  21. 홍소영, 이종승 (2009). 유아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359-381. 

  22. 황정숙 (2007).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7(2), 19-35. 

  23.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357-376. 

  24. Baldwin, A. Y. (2010). Creativity: A look outside the box in classrooms.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 73-8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Barab, S. A., & Plucker, J. (2002). Smart people or smart contexts? Talent development in an age of situated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inking. Educational Psychologist, 37, 165-182. 

  26. Beghetto, R. A., & Kaufman, J. C. (2007).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of for "mini-c"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 73-79. 

  27. Besemer, S. P. (1998).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 - three novel chair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 333-346. 

  28. Cho, Y., Chung, H. Y., Choi, K., Suh, Y., & Seo, C. (2011). The Creativity of Korean Leaders and its Implications for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5(4), 235-257. 

  29. Craft, A. (2008). Tensions in creativity and Education. In G. Claxton, A. Craft & H. Gardner (Eds.), Creativity, wisdom, and trusteeship: Exploring the role of education (pp. 16-34).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0. Cropley, A. J. (1992). More ways than one: Fostering creativity. Norwood, NJ: Ablex. 

  31.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3-33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Dababneha, K., Ihmeideha, F. M., & Al-Omarib, A. A. (2010). Promoting kindergarten children's creativity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Jorda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9), 1165-1184. 

  33. Dewey, J. (1910). How we think. Boston, MA: Health. 

  34. Fairweather, B., & Cramon, B. (2010). Infus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into the curriculum together.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 113-14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36. Hayes, J. R. (1989).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J. A. Glover, R. R. Roning & C. R.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pp. 202-219). New York: Plenum. 

  37. Kaufman, J. C., & Baer, J. (Eds.). (2006). Creativity and reason in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39. Kozbelt, A., Beghetto, R. A., & Runco, M. A. (2010). Theories of Creativity.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pp. 20-4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Lubart, T. (2010).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Creativity.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pp. 265-27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Necka, E. (2001). Psychology of creativity. Gdansk: GWP. 

  42. Plucker, J. A., & Makel, M. C. (2010). Assessment of Creativity.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pp. 48-73).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Plucker, J. A., Beghetto, R. A., & Dow, G.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44. Reis, S. M., & Renzulli, J. S. (1991). The assessment of creative products in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5, 128-134. 

  45. Rhodes, M. (1961). An analysis of creativity. The Phi Delta Kappan, 42(7), 305-310. 

  46. Richards, R. (1990). Everyday creativity, eminent creativity, and health: "Afterview" for CRJ issues on creativity and healt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 300-326. 

  47. Rubenson, D. L., & Runco, M. A. (1995). The psychoeconomic view of creative work in groups and organization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4, 232-241. 

  48. Runco, M. A. (2004). Everyone has creative potential.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21-30). Washington, DC: APA. 

  49. Runco, M. A. (2010). Educational based on parsimonious theory of creativity.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 235-25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Sawyer, R. K. (2003). Emergence in creativity and development. In K. R. Sawyer (Ed.), Creativity and development (pp. 91-138). UK: Oxford university press. 

  51. Simonton, D. K. (1991). Emergence and realization of genius: The lives and works of 120 classical compos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829-804. 

  52. Sternberg, R. J. (2010). Teaching for creativity.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 394-41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2). Buy low and sell high: An investment approach to creativ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 1-5. 

  54.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pects and paradigm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 APA. 

  56. Taylor, I. A. (1975). An emerging view of creative actions.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pp. 297-325). Chicago: Aldine. 

  57.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 on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58. Urban, K. K. (1990). Recent tren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in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1, 99-113. 

  59.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60.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Hobokin, NJ: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