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2, 2012년, pp.411 - 42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상담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학교 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상담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담 실태에 대한 학년별,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재학생들의 연간 상담빈도는 1~3회라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 상담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이라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상담동기에 있어서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학년의 경우, 학생들의 자발적 판단에 의한 상담이 높은 반면,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생 자신보다는 교사의 요청에 의한 상담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들의 주요 상담 내용에 있어서는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1학년의 경우 학업성적에 대한 상담이 가장 많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업성적에 대한 상담보다는 진로문제에 관한 상담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지각하는 상담 후 문제 해결 정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희망 상담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진로와 관련한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성별에 따른 학교상담 만족도에서는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서는 남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학교상담 만족도에서는 상담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1학년이 2, 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상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영재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높이고, 상담 교사와의 신뢰적 관계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아가 과학영재학생들이 흥미와 적성에 맞게 진로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여학생들이 이공계 분야의 진로 탐색과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상담 서비스가 필요하다.
The realistic counseling services of the science gifted high schools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s,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ing were administered to 311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적, 교육적, 국가적 차원에서 과학분야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지정 · 운영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 21세기는 지식기반 사회로 지식과 창의력이 새로운 가치 창출과 국가 경쟁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이다. 더욱이, 국제 사회에서 한 국가의 경쟁력은 첨단 과학기술을 혁신적으로 창출하는 창의적 과학 기술 인재의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적, 교육적, 국가적 차원에서 과학분야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지정 · 운영하고 있다. | |
과학영재들에게 있어 성공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 최근의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과학영재들의 경우 사회 · 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와의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며, 자아존중감이나 스트레스 처리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류은주, 김정은, 백성혜, 2011; 최미향, 전영석, 2010). 자아존중감이나 의사소통, 또래와의 부적응 등은 과학영재들에게 있어 성공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최근 영재들의 인지적 특성과 더불어 심리 · 정서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볼 수 있다(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 |
청소년기에는 어떤 문제와 직면하게 되는가? |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 고등학생들은 신체와 정신적 · 심리적 측면의 비동시적 성장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기 쉬우며, 부모나 교사의 간섭과 규제에서 벗어나 대인관계에 관심을 가져 동성친구뿐만 아니라 이성교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자신의 미래와 진로, 직업을 준비하는 시기로 어느 시기보다 많은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Papalia & Olds, 1992). 특히,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중요한 청소년기에 또래 영재들과 함께 기숙사 생활을 하며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으며, 더 많은 경쟁과 성취를 부모, 학교, 사회로부터 요구받고 있다. |
고혜경 (2006). 중.고등학교 학교상담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익산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김건관 (2002). 교사기대 형성과 변화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4(2), 99-121.
김태명 (2004). 대구.경북지역 고등학교의 상담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노향옥 (2004).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교 상담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민들레 (2008). 고등학교의 상담실태와 상담요구분석에 관한 연구-인천지역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교.
서병주 (2006).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학교 상담의 실태 및 인식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신현숙, 김인아, 류정희 (2004). 중.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 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 53-77.
연문희, 강진령 (2006). 학교상담: 21세기의 학생생활지도. 파주: 양서원.
유형근 (2009). 미성취 영재의 상담요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2(1), 113-139.
윤여홍 (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 53-71.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일반, 19(1), 79-101.
이광형, 정현철, 이영주, 채유정, 김환남 (2011). KSA 학생지도 실태 및 인식조사.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1999). 상담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정경아, 최윤정, 윤초희, 이미순 (2006). 영재교육 성별 실태 및 영재 여학생 육성방안.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정순이 (2010). 영재상담모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정현철, 김환남, 이영주, 채유정, 이범진 (2011). 영재학교 현황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RR2011-15).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한미경 (2003). 부산광역시 고등학교의 학교상담실태와 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Bireley, M., & Genshaft, J. (1991). Adolescence and giftedness: A look at the issues. In M. Bireley & J. Genshaft (Eds.), Understanding the gifted adolescent: Educational, developmental, and multicultural issues (pp. 95-12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Burks, B. S., Jensen, D. W., & Terman, L. M. (1930).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3. The promise of youth: Follow-up studie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Colangelo, N. (2003). Counseling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373-387). Boston: Allyn & Bacon.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New York: Pearson.
Delisle, J. R (1992). Guid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youth. New York: Longman.
Doyle, R. E. (1992). Essential skills and strategies in the helping proces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Fagan, T. K., & Wise, P. S. (2000). School Psych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2nd ed.). Bethesda, MD: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Gallagher, J. J. (1990). Editorial: The public and professional perception of the emotional status of gifted childre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 202-211.
Gallagher, J. J. (1991). Educational reform, values, and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5, 12-19.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IQ 180: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ooks.
Janis, I. L. (199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adherence to stressful decis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43-160.
Kelly, K. R. (1994). Career planning and counseling for highly able students. In J. B. Hansen and S. M. Hoover (Eds.), Talent development theories and practice (pp. 281-296). Dubuque, IA: Kendall/Hunt Publishing.
Landrum, M. S. (1987).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 guidance/counseling progra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Roeper Review, 10, 103-107.
Leung, S. A. (1998).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choice congruence of gifted and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1(3), 325-335.
Mahoney, A. (2006). Effective counseling qualities, Gifted Education Communicator, 37(1), 41.
Meckstroth, E. (2006). Nurturing social relationships. Gifted Education Communicator, 37(1), 18-23.
Miller, J. V. (1981). Overview of career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430-436.
Neihart, M. (2002) Gifted children and depression. In M. Neihart, S. M. Reis, N. M. Robinson, & S. M. Moon (Ed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pp. 93-102).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Neihart, M. (2006). Dimensions of underachievement, difficult contexts, and perceptions of self: Achievement/affiliation conflicts in gifted adolescents. Roeper Review, 28(4), 196-202.
Papalia , D. E., & Olds, S. W. (1992). Human development (5th ed.). New York: McGraw-Hill, Inc.
Perrone, P. (2007). Gifted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Boston: Allyn & Bacon.
Perrone, P. A., & Van Den Heuvel, D. H. (1981). Career development of the gifted: Horizons unlimi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299-304.
Ritchie, M. H. (1986). Counseling the involuntary cli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4, 245-251.
Post-Krammer, P., & Perrone, P. (1983). Career perception of talented individuals: A follow-up study.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1, 203-211.
Robinson, N. M. (2006). Counseling issues for gifted students. Gifted Education Communicator, 37(1), 9-10.
Silverman, L. K. (1983). Issues in affective development of the gifted. In J. Van Tassel-Baska (Ed.), A practical guide to counseling the gifted in a school setting (pp. 2-10).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Co: Love.
Silverman, L. K. (1997). Family counseling with the gifted. I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382-397). Boston: Allyn & Bacon.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Terman, L. M., & Oden, M. H. (1947).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Terman, L. M., &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5.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 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VanTassel-Baska, J. (1998).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alented learners. In J. VanTassel-Baska (Ed.),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 talented learners (pp. 489-510). Denver, CO: Love Publishing.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n,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
Webb, J. T., Mckstroth, E. A., & Tolan, S. S. (2005). Guiding the gifted child. Scottsdale. AZ: Great Potential Press.
Yoo, J. E., & Moon, S. M. (2006). Counseling needs of gifted students: An analysis of intake forms at a university based counseling center. Gifted Child Quarterly, 50(1), 52-61.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