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내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에 대한 유산균 및 금은화의 효과
In Vitro Profiling of Bacterial Influence and Herbal Applications of Lonicerae Flos on the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7, 2012년, pp.881 - 887  

이신지 (동국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 ,  이명종 (동국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 ,  정지은 (동국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산균과 금은화, 발효 금은화는 장누수 증후군과 연관된 장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 감소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시킨 금은화를 증가된 장 투과성 및 장내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장누수 증후군과 관련된 일련의 증상들을 치료하고 면역관련 질환 및 만성 염증성 질환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fluence of bacteria and herbal applications of Lonicerae Flos on the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 HCT-116 human intestinal cell was used as an in vivo model of "leaky gut". Dextran sodium sulphate (DSS) was used to induce an increase in the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장 상피세포에서 DSS로 장점막 투과성 증가를 유발시킨 HCT-116 cell의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장점막을 보호하는 probiotics의 효과가 장누수 증후군을 비롯한 전신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치료로 응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장 투과성에 대하여 항염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금은화와 발효 금은화의 효과를 살펴보고 유해균과 세포가 접촉되었을 때 장 투과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장관 투과성 증가상태(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는 이전부터 보완대체의학에서 세운 가설로 알려졌으나 최근 내재면역(innate immunity)분야의 성장발달에 힘입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증가된 장관 투과성과 여러 질병과의 관계가 증명되고 있다(2). 본 연구는 사람 대장암 세포인 HCT-116 cell을 dextran sodium sulphate(DSS)로 장점막 손상을 유발시킨 후 다양한 조건에서의 장점막 투과성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장 상피세포에서 DSS로 장점막 투과성 증가를 유발시킨 HCT-116 cell의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장점막을 보호하는 probiotics의 효과가 장누수 증후군을 비롯한 전신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치료로 응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장 투과성에 대하여 항염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금은화와 발효 금은화의 효과를 살펴보고 유해균과 세포가 접촉되었을 때 장 투과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장벽의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장 점막을 보호하여 장누수 증후군을 비롯한 전신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치료로 응용될 수 있는 probiotics와 금은화 및 발효 금은화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은화란?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덩굴(능박나무, Lonicera japonica Thumb)의 개화된 꽃을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적으로 해독 및 해열, 청혈 등의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luteolin, inositol, inesite, tannin,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금은화는 급성 위염, 급만성 장염 및 과민성 장질환의 치료 처방인 보장건비탕에 포함된 약재이며 정장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실험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10).
금은화에 함유된 물질은?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덩굴(능박나무, Lonicera japonica Thumb)의 개화된 꽃을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적으로 해독 및 해열, 청혈 등의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luteolin, inositol, inesite, tannin,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금은화는 급성 위염, 급만성 장염 및 과민성 장질환의 치료 처방인 보장건비탕에 포함된 약재이며 정장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실험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10).
새는 장 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총괄하여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때 장벽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혈액 내 고분자 물질이 장관 내 관강으로 누수되거나 관강 내의 고분자 물질이 직접 혈액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초래되는데 이를 “새는 장” 즉 “leaky gut”의 상태라고 말한다(2). 이때 나타나는 증상을 총괄하여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LGS)이라고 하며 노화, 알레르기, 다발성 외상,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대장질환, 만성피로 증후군, 과민성 증후군 등의 다양한 임상적 상태로 나타난다(3). 또한 장 점막 투과성의 증가나 장 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 등이 장 점막 내로 유입되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내독소가 혈류로 유입되어 장내세균전위(bacterial translocation), 장관내독소혈증(intestinal endotoxemia) 등을 야기하여 각종 염증반응 및 면역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an MJ, Lee S, Lim JK, Lee HM, Han MS, Kim WJ, Park IH, Son SC. 2008. Assessment of intestinal permeability using polyethylene glycol in liver cirrhosis with ascites. Chonnam Med J 44: 87-92. 

  2. Jeon WK. 2010. Complement and integrative approach in gut health and immunologic disease. Hanyang Med Rev 30: 109-114. 

  3. Liu Z, Li N, Neu J. 2005. Tight junction, leaky intestines and pediatric diseases. Acta Pediatr 94: 386-393. 

  4. Silverman MH, Ostro MJ. 1999. Bacterial endotoxin in human disease. XOMA (US) LLC, Berkeley, CA, USA. 

  5. Elson C, Sartor R, Tennyson G, Riddell R. 1995. Experimental model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Gastroenterology 109: 1344-1367. 

  6. Kiitajima S, Takuma S, Morimoto M. 1999. Changes in colonic mucosal permeability in mouse colitis induced with dexran sodium sulphhate. Exp Anim 48: 137-43. 

  7. Resta-Lenert S, Barett KE. 2006. Probiotics and commensals reverse TNF-alpha and IFN-gamma-induced dysfunction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Gastroenterology 130: 731-746. 

  8. Park YK. 2007. Effect of Lactobacillus GG on impaired intestinal barrier function.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9. Ukena S, Singh A, Dringenberg U, Engelhardt R, Seider U, Hansen W, Bleich A, Bruder D, Franzke A, Rogler G, Suerbaum S, Buer J, Gunzer F, Westendorf A. 2007. Probiotic Escherichia coli Nissle 1917 inhibits leaky gut by enhancing mucosal integrity. PLoS ONE 2: e1308. DOI: 10.1371/journal.pone.0001308 

  10. Ro WS, Ryu BH, Kim JS, Yoon SH. 2006.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cathartic effects of Dolichoris Semen, Terminaliae Fructus and Bojanggunbi-tang. Korean J Orient Int Med 27: 356-370. 

  11. Bae JH, Kim MS, Kang E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42-647. 

  12. Shin JY. 198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on on maturity of Lonicera Flos extract. Taehan Hanui Hakhoechi 4: 32-38. 

  13. Jeong HG. 2001.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Bioindustry News 14: 39-48. 

  14. Hidalgo L, Raub T, Borchardt R. 1989.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Caco-2) as a model system for intestinal epithelial permeability. Gatroenterology 96: 736-749. 

  15. Moon G, Myung SJ, Jeong JY, Yang SK, Cho YK, Lee SM, Chang HS, Byeon JS, Lee YJ, Lee JH, Hong WS, Kim JH, Min YI, Kim JS. 2004. Prophylactic effect of Lactobacillus GG in animal colitis and its effect on cytokine secretion and mucin gene expressions. Korean J Gastroenterol 43: 234-245. 

  16. Donohue DC, Salminen S. 1996. Safety of probiotic bacteria. Asia Pac J Clin Nutr 5: 25-28. 

  17. Montalto M, Maggiano N, Ricci R, Curigliano V, Santoro L, Di Nicuolo F, Vecchio FM, Gasbarrini A, Gasbarrini G. 2004. Lactobacillus acidophilus protects tight junctions from aspirin damage in HT-29 cells. Digestion 69: 225-228. 

  18. Mangell P, Nejdfors P, Wang M, Ahrne S, Westrom B, Thorlacius H, Jeppson B. 2002.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inhibits Escherichia coli-induced intestinal permeability. Dig Dis Sci 47: 511-516. 

  19. Anderson R, Cookson A, McNabb W, Kelly W, Roy N. 2010. Lactobacillus plantarum DSM 2648 is a potential probiotic that enhances intestinal barrier function. FEMS Microbiol Lett 209: 184-1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