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초 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7, 2012년, pp.927 - 935  

홍성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현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해인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미경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권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아도는 오이의 활용도 및 그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오이 식초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능과 같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초기당도를 $15^{\circ}Brix$가 되도록 조절하여 $25^{\circ}C$에서 알코올 발효하였을 때, 발효 6일째에 7.8%의 최대 알코올 함량을 얻었으며, 이를 다시 $30^{\circ}C$에서 12일간 초산발효 하여 산도 5.8%의 식초를 얻었다. 오이 식초의 주요 유리당glucose 및 fructose로 그 함량은 각각 3,067.26 및 395.73 mg%였고, 주요 유기산acet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그 함량은 각각 4410.5 및 841.11 mg%이었다. 오이 식초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181.45 ${\mu}g/mL$이었고, 이 중 citrulline, valine, aspartic acid, asparagine 및 ornithine이 주된 아미노산이었으며, 무기성분은 K, Ca, Mg와 같은 알칼리성 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beta}$-carotene bleaching과 같은 실험방법을 통해 오이 식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식초의 주요 항산화 활성성분인 폴리페놀의 함량은 40.14 mg/100 mL이었다. 한편, 오이 식초는 급성으로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간조직 중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높임으로써 혈장 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오이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오이 식초는 상당한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was maximized (7.8%) after 6-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t $25^{\circ}C$ by adjusting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 to $15^{\circ}Brix$, and 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단기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2단계 발효를 통해 오이 식초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고, 그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과를 조사하여 오이 식초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식초는 신맛과 특유한 방향을 가진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의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ester 등을 함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6). 식초의 성분들은 소화액의 분비촉진, 피로회복, 노화방지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져 있으며 (7,8),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9)
오이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오이(Cucumis sativus L.)는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만초로 삼국시대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며, 무기질과 비타민 C 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이뇨작용이 우수하여 신장 병, 심장병, 부종 등에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해독 작용 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1).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오 이는 생산량에 비하여 소비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어 이에 따른 과잉 오이산물의 처리가 문제시 되고 있다(2,3).
오이를 이용한 가공제품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져 오고 있는 이유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인가? )는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만초로 삼국시대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며, 무기질과 비타민 C 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이뇨작용이 우수하여 신장 병, 심장병, 부종 등에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해독 작용 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1).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오 이는 생산량에 비하여 소비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어 이에 따른 과잉 오이산물의 처리가 문제시 되고 있다(2,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이 꾸 준히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오이지(3), 오이피클(4), 오이장 아찌(5) 등과 같은 생과를 이용한 절임류나 통조림 형태에만 국한되어 있을 뿐 다양한 제품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Park KH. 2001.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cucumber vinegar.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7. 

  2. Jeong MH. 2009.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cucumber farm with emphasis on Jeonnam eastern around area. MS Thesis. Sunchon University, Sunchon, Korea. p 20-25. 

  3. Park HS, Park WS,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iji , Korea cucumber pickle. Korean J Sci Technol 36: 385-392. 

  4. Kim JE. 2001.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cucumber pickles. MS Thesi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p 1-46. 

  5. Jung ST, Lee HY, Park HJ. 1995.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J Korean Soc Food Nutr 24: 606-612. 

  6. Jeong YJ, Seo KI, Kim K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355-363. 

  7. Lee DS, Ryu IH, Lee GS, Shin YS, Joen SH. 1999. Optimization effect against lipase activity in preparation of aloe vinegar by Acetobacter sp. and inhibitor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05-110. 

  8.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9. Lee SH, Shim WM. 2000. Bioactive functions of vinegar. Food Sci Inst 9: 29-36. 

  10.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11. Kim SW, Park JH, Jun HK. 2002. Analysis of optimum condition for production of an onionic vinegar by two-step fermentations. J Life Sci 18: 1410-1414. 

  12. Kim SW, Oh EH, Jun HK. 2008. Analysis of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ic drink production using onion extract. J Life Science 18: 871-877. 

  13. Jeong YJ, Lee MH, Seo KI, Kim JN, Lee Y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462-468. 

  14. Jeong YJ, Seo KI, Lee GD, Youn KS, Kang MH, Kim KS. 1998. Monitoring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sweet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57-65. 

  15. Jeong YJ, Seo JH, Lee GD, Park NY, Choi TH. 1999.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3-358. 

  16.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HR, Kim DO, Heo HJ. 2010.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7: 526-532. 

  17.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Am J Enol Vitic 28: 49-56. 

  18.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ing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0. Yildirim A, Mavi A, Kara 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of aerobic life. Bioche Symp 61: 1-34. 

  21. Mattaus B.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J Agric Food Chem 50: 3444-3452. 

  22. Kato S, Kawase T, Alderman J, Inatomi N, Liber CS. 1990. Role of xanthine oxidase in ethanol-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Gastroenterol 98: 203-210. 

  23. Sund H, Theorell H. 1963. Alcohol dehydrogenase. In The Enzyme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Vol 7, p 25-83. 

  24. Bergmeyer HU. 1974. Alcohol dehydrogen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Vol 1, p 428-429. 

  25. Koivula T, Koivusalo M. 1975.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ar distribution. Biochem Biophys Acta 397: 9-23. 

  26.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7. Food Code. 2002.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2. 

  28. Jeong EJ. 2007.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 for fermentation of strawberry wine and its quality improvement. MS Thesis. Chon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p 20-21. 

  29. Jeong YJ. 1996. Optimization for the fermenta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hD Dissertation. Yeunganam University, Daegu, Korea. p 4-12. 

  30.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ic tast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60-65. 

  31. Seo JH, Kim YJ, Lee KS.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8: 40-44. 

  32. Park SW, Chi SH, Hong SJ. 2002. Difference in firmness, sugars and organic acids contents of cucumber fruit based on size. J Kor Soc Hor Sci 43: 553-555. 

  33. Jeong YJ, Seo KI, Kim K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355-363. 

  34. Nakancn S. 1988. Food useful for preventing alcohol intoxication containing persimmon-vinegar and optimum fruits, wi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reducing action. Japan patent 63: 562-566. 

  35. Lee SW, Kwon JH, Yoon SR, Woo SM, Jang SY, Yeo SH, Choi JH,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 of brown rice vinegar by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66-1372. 

  36. Kough K, Kim KS. 1999.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negars. Bull Nat Sci 2: 171-187. 

  37. Kim JH, Kim MH, Oh HK, Chang MJ, Kim SH. 2007. Seasonal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Korean common fruits and vegetabl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60-875. 

  38.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 18-24. 

  39. Jeong CH, K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Y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 230-237. 

  40. Lee SK, Yu MH, Lee SP, Lee I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69-275. 

  41. Lee SM, Choi YM, Kim YW, Kim DJ, Lee J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Food Eng Prog 13: 221-225. 

  42. Hong J, Wie MJ, Leem DG, Park KS, Yoon TH, No KM, Jeong JY.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s activity through the chemical assay. J Biomed Res 11: 1-8. 

  43.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44. Godone MF.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 1-18. 

  45. Park SC. 1993.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 25: 137-143. 

  46. Kim CI. 1999.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26-30. 

  47. Linder MC. 1991. Nutrition and metabolism of fats. In Nutritional biochemistry and metabolism with clinical applications. Linder MC, ed. Elsevier, New York, NY, USA. p 51-83. 

  48. Nordmann R, Ribiere C, Rouach H. 1987. Involvement of iron and iron-catalyzed free radical production in ethanol metabolism and toxicity. Enzyme 37: 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