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0, 2016년, pp.1508 - 1512  

유양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이현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정창식 ((주)뉴트리플랜) ,  이민재 ((주)뉴트리플랜)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 of a mixture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Nelumbo nucifera G. (leaf), and Camellia sinensis (seed) (MIX) on acute ethanol-induced hangover in Sprague-Dawley rats. Plasma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in MIX-treated ra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성초 열수 추출물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MIX)을 대상으로 in vivo에서 급성 에탄올 투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평가하고,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기질로 하는 간 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을 평가하여 급성 알코올 섭취에 따른 생화학적 숙취해소 활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하여 MIX의 직접적인 ADH 및 ALDH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S9 rat liver fraction 효소원을 활용한 assay로 평가하였다.
  •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성초란 무엇인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Saururaceae)의 다년생 식물로 해열, 해독, 조직 재생 촉진 등의 작용이 알려져 있고, 어성초 분획물이 사염화탄소 유도 간독성에 보호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7). 연(Nelumbo nucifera Gaertn.
숙취로 인한 증상의 원인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숙취는 신체적, 정신적 현상으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함, 두통, 근육통 등이 알려져 있다(4). 이들 증상의 원인은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산물의 독성, 점막 손상으로 인한 흡수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활성 산소 생성 촉진에 의한 간 조직의 손상, 대사산물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 상승 등으로 알려져 있고, 유전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숙취의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급성 과량의 알코올 섭취는 숙취를 야기할 수 있다. 숙취는 신체적, 정신적 현상으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함, 두통, 근육통 등이 알려져 있다(4). 이들 증상의 원인은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산물의 독성, 점막 손상으로 인한 흡수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활성 산소 생성 촉진에 의한 간 조직의 손상, 대사산물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 상승 등으로 알려져 있고, 유전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263 1999 

  2.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7 2011 10.3746/jkfn.2011.40.8.1107 

  3. Alcohol Health Res World 22 54 1998 

  4. Ann Intern Med 132 897 2000 10.7326/0003-4819-132-11-200006060-00008 

  5. Ann Ist Super Sanita 42 8 2006 

  6. Indian J Pharm Sci 76 267 2014 

  7. Food Chem 120 873 2010 10.1016/j.foodchem.2009.11.020 

  8.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30 88 2016 10.15188/kjopp.2016.04.30.2.88 

  9.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470 2015 10.3746/jkfn.2015.44.10.1470 

  10. Korean J Oriental Physiol & Pathology 16 905 2002 

  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93 2011 10.3746/jkfn.2011.40.3.393 

  12. Klin Wochenschr 29 615 1951 10.1007/BF01485653 

  13. J Life Sci 20 225 2010 10.5352/JLS.2010.20.2.225 

  14. Nat Prod Sci 21 98 2015 

  15.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4 2009 10.3746/jkfn.2009.38.2.154 

  16. N Engl J Med 288 356 1973 10.1056/NEJM197302152880710 

  17.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26 1999 

  18. Free Radic Biol Med 12 219 1992 10.1016/0891-5849(92)90030-K 

  19. Clin Chim Acta 257 59 1997 10.1016/S0009-8981(96)06434-0 

  20. Biochem Pharmcol 30 2273 1981 10.1016/0006-2952(81)90098-8 

  2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79 2001 

  22. J Life Sci 22 1420 2012 10.5352/JLS.2012.22.10.1420 

  23.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 2004 

  24.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16 2014 10.9721/KJFST.2014.46.5.6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