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역 위성 영상과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여름철 강수량 예측
Summer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Satellite Data and Numerical Weather Forecast Model Dat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7, 2012년, pp.631 - 641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조소현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상의 관측 자료와 광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수치 예보 모형 자료 및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고 자료와 강수예측치의 물리적 상관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자료 사이의 비선형 거동을 잘 나타내는 신경망 모형에 적용시켜 단시간 강수 예측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점에 대하여 현재로부터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의 선행시간을 가지는 인공위성자료(MTSAT-1R) 및 수치 예보 모형 자료(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와 실시간 전송되는 자동 기상 관측 시스템(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의 관측치를 신경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의 선행시간을 가지는 자료로 강수를 예측 할 수 있는 강수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장마와 태풍과 같이 전선형강수와 선풍형강수 등 강수 양상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6월, 7월과 8월, 9월 자료를 구분하여 신경망을 구축하였으며, 자료가용성에 기초하여 2006년에서 2008년 기간 동안에 대하여 모형을 학습하고 2009년에 대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한 결과, 단시간 강수예측에 대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다양한 광역 자료와 인공신경망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단시간 강수예측의 정량적 정도향상을 위한 여지가 많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atellite data (MTSAT-1R),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output, ground weather station dat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r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ummer rainfall forecasts.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점 강수예측 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입력자료 사용과 강수예보에 사용되는 자료들의 비선형 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 수치예보모형 출력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용자료와 강수 사이의 물리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비선형 상관관계를 잘 연계하는 장점을 가진 인공신경망 기법을 도입하여 강수예보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서울 지점에 대하여 단기 강수예측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어려움 때문에 강수예보의 정도향 상에 한계가 있나? 그러므로 강수량의 정확한 예측은 홍수재해로부터 수많은 생명을 보호하고 수자원을 관리하는데 있어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강수예보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나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는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은 해상관측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긴 예보선행시간에 대하여 지상과 해상관측자료를 활용한 강수예보의 정도향 상에는 매우 불리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광역가용자료의 활용에 대한 필요가 날로 높아가고 있다.
2010년 태풍 말라카스로 인한 강수량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태풍 및 집중 호우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태풍 말라카스는 시간당 최대 100 mm의 강수가 내려 수도권 지역에 극심한 홍수 피해를 입혔으며 이와 같이 기후변화와 동반한 지역적 기상의 변화는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어 지역적 기상 특성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비가 내리는 날은 감소하나 내리는 비의 양은 증가하고 있으며 태풍 및 집중호우와 같은 이상 강수로 인한 홍수 피해의 빈도와 강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및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의 예는?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및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Arkin (1979)은 절대온도 235K를 기준으로 하여 강수의 유무를 구분하였고, Negri et al. (1984)은 절대온도 253K를 기준으로 하여 구름의 면적에 따라 강수의 유무 및 강수의 양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Adler and Negri (1988)는 인공위성 적외영상을 이용하여 선풍형 강수와 층운형강수의 강수량을 산정하였다. Vincente et al. (1998)은 측정된 레이더 강수량과 위성에서 관측된 구름의 최고 온도사이의 비선형 관계와 회귀분석에 따라 강수량을 산정하였다. Wardah et al. (2008)은 정지궤도 기상위성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돌발홍수 예측을 위한 이송강우를 산정하였다. 국내에서는 이병일 등(2007)은 MTSAT-1R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에 가장 기본이 되는 전운량을 산출하는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고 박호순 등(2008)은 MODIS 적외자료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지역의 총가강수량을 산정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부식, 이봉기(2008). "인공신경망과 중규모기상수치예보를 이용한 강수예측확률."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B호, pp. 485-493. 

  2. 김광섭(2006). "상층기상자료와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면적 강수 예측."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717-726. 

  3. 박호순, 손병주, 정의석(2008). "MODIS 적외 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총가강수량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24권, 제4호, pp. 309-324. 

  4. 신주영, 최지안, 정참삼, 허준행(2008).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RDAPS 강수량 예측 정확도 향상."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13-1017. 

  5. 이병일, 김윤재, 정주용, 이상희, 오성남(2007). "MTSAT-1R 정지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전운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17권, 제2호, pp. 125-133. 

  6. 최지안, 이경주, 김태순, 허준행(2009). "인공신경망과 RDAPS 자료를 이용한 유입량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3-26. 

  7. 한광희, 류용준, 김태순, 허준행(2010). "상호정보량 기법을 적용한 인공신경망 입력자료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1호, pp. 81-94. 

  8. Adler, R.F., and Negri, A.J. (1988). "A satellite infrared technique to estimate tropical convective and stratiform rainfal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27, No. 1, pp. 30-51. 

  9. Arkin, P.A.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ional coverage of high cloud and rainfall accumulations during GATE over the B-scale array."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7, No. 10, pp. 1382-1387. 

  10. Chiang, Y.M., Chang, F., Jou, B.J., and Lin, P.F. (2006). "Dynamic ANN for precipitation estimation and forecasting from radar observ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34, No. 2, pp. 250-261. 

  11. Feidas, H., Kontos, T., Soulakellis, N., and Lagouvardos, K. (2007). "A GIS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precipitation forecasts of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using satellite data." Computer & Geosciences, Vol. 33, No. 8, pp. 989-1007. 

  12. Negri, A.J., Adler, R.F., and Wetzel, P.J. (1984). "Rain estimation from satellites: an examination of the Griffith-Woodley technique." Journal of Climate & Applied Meteorology, Vol. 26, No. 1, pp. 1565-1576. 

  13. Seo, D.J., and Smith, J.A. (1992). "Radar-based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31, No. 2, pp. 341-367. 

  14. Shim, K.C. (1999).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tegrated river basin flood control." Ph.D. Thesi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Spring. 

  15. Vincente, G.A., Scofield, R.A., and Menzel, W.P. (1998). "The operational GOES infrared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79, No. 9, pp. 1883-1898. 

  16. Wardah, T., Bakar, S.H.A., Bardossy, A., and Maznorizan, M. (2008). "Use of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images in convective rain estimation for flash-flood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y, Vol. 356, No. 7, pp. 283-298. 

  17. Weverberg, K.V., Nicole, P.M., and Delobbe, L. (2011). "Evaluation of moist processes during intense precipitation in km-scale NWP models using remote sensing and in-situ data: Impact of microphysics size distribution assumptions." Atmospheric Research, Vol. 99, pp. 15-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