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제거효과 연구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s in red pepper powder by UV irradiation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6 no.2, 2012년, pp.145 - 150  

정유정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엄미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정일형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손종성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김경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신상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오상헌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김봉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채경석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산물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춧가루에 잔류되어 검출 빈도가 높은 농약인 Endosulfan(${\alpha}$-, ${\beta}$-체) Cypermethrin, Fenitrothion, Hexaconazole, EPN을 고춧가루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뒤 365, 254 nm 파장에서 조사거리와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잔존률을 조사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한 농약의 제거효과를 알아보았다. 365 nm의 경우 조사거리 20 cm, 조사시간이 5분일 때 ${\alpha}$-Endosulfan 73.4%, ${\beta}$-Endosulfan 69.6%, Cypermethrin 60.8%, Fenitrothion 92.7%, Hexaconazole 73.8%, EPN 90.5%의 잔존률을 나타내었으며, 254 nm의 경우 조사거리 5 cm, 조사시간 36시간 일 때 ${\alpha}$-Endosulfan 74.6%, ${\beta}$-Endosulfan 64.5%, Cypermethrin 71.1%, Fenitrothion 79.1%, Hexaconazole 79.4%, EPN 64.7%의 잔존률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of six residual pesticides (${\alpha}$- and ${\beta}$-Endosulfan, Cypermethrin, Fenitrothion, Hexaconazole, EPN) in red pepper powder after ultraviolet (UV) irradiation. The residual ratio of pesticides after 365 nm ir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해성 평가,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기준 설정 시 감소율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고춧가루 제조공장에서 고춧가루 제품의 위생적 품질관리와 안전한 고춧가루의 생산을 위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의 잔류농약 제거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도 및 2011년도에 경기도지역에 판매 되고있는 고춧가루 105건을 대상으로 농약성분 218항목에 대하여 실시한 안정성 조사의 결과를 참고하여(홍 등 2011) 고춧가루에 검출빈도가 높은 엔도설판, 싸이퍼메쓰린, 헥사코나졸, 페니트로치온, 이피엔에 대해 365, 254 nm 파장의 자외선 조사 후 잔존률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a)Residual concentration was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ru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란 무엇입니까? 농약이란 농작물 재배를 위해 농경지의 토양 및 종자를 소독하거나, 작물 재배기간 중에 발생하는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저장 농산물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농약은 강우에 의한 세척,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 증발, 미생물에 의한 분해, 작물의 성장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잔류농도가 감소 될 수 있으며, 세척 및 조리, 가공 등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감소 될 수 있다(윤 등, 1989; 김 등, 1996; 이 등, 1996; 박 등, 2002; 이 등, 2003; Sharma, 2005; 권 등, 2006; 서 등,2007; Koksel, 2008).
김 등(2007)이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고춧가루의 잔류농약 종류가 다양하고 검출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국민의 중요한 조미식품의 하나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소비자결과(2004)로 세계에서 1인 당 소비량이 가장 많은 양념으로 소비되고 있는 고춧가루는 대부분 홍고추를 건조,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고 있다. 김 등(2007)은 고추가 생육 초기에 필요에 따라 우선 풋고추로 수확되고, 그 중 좋은 것을 남겨두었다가 건조용으로 수확하는 연속수확작물이어서 건고추 및 고춧가루에서 잔류되는 농약의 종류가 다양하고 검출율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춧가루 가공공정의 주요 단계는 수세, 열풍건조, 분쇄, 자외선 조사, 자석선별 등인데, 가공 공정을 통해 농약이 상당량 제거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춧가루의 잔류농약 검출 빈도가 높고, 잔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춧가루의 가공 공정이 농약을 완벽히 제거하지는 못하며 특히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는 농약의 경우 기준을 초과할 수 있다.
농약의 잔류농도는 어떠한 경우에 감소됩니까? 농약이란 농작물 재배를 위해 농경지의 토양 및 종자를 소독하거나, 작물 재배기간 중에 발생하는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저장 농산물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농약은 강우에 의한 세척,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 증발, 미생물에 의한 분해, 작물의 성장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잔류농도가 감소 될 수 있으며, 세척 및 조리, 가공 등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감소 될 수 있다(윤 등, 1989; 김 등, 1996; 이 등, 1996; 박 등, 2002; 이 등, 2003; Sharma, 2005; 권 등, 2006; 서 등,2007; Koksel, 2008). 그 중 자외선에 의해 광분해 되는 것을 이용한 농약의 제거연구가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데, 특히 이 등(2000)은 고추 중 잔류농약의 경감을 위해 감광제의 탐색을 시도한 바 있으며, 농림부 보고서(2001)에 따르면 정 등은 인위적으로 농약을 부착시킨 고추를 건조할 때 열풍건조기 내부에 자외선 등을 설치하여 농약제거 실험을 수행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ong, H. G., S. W. Shin, K. C. Kim, I. H. Jeong, K. A. Kim, S. H. Oh, S. J. Yun, C. Y. Kim, J. H. Jang, M. H. Yoon and J. B. Lee (2011)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red pepperpowder in Gyeonggi do.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4:95-102. 

  2. Kim, N. H., M. G. Lee and S. R. Lee (1996) Elimination of Phenthoate residues in washing and cooking of polish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3):490-496. 

  3. Kim, S. D., B. S. Kim, S. G. Park, M. S. Kim, T. H. Cho, C. H. Han, H. B. Jo and B. H. Choi (2007)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dried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 114-121. 

  4. Koksel, H., Uygun, U., Senoz, B (2008) Dissipa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wheat during pasta processing. Food Chemistry. 109:355-360. 

  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Korean Food Standards Codex. 

  6. Kwon, H. Y., J. B. Kim, H. D. Lee, Y. B. Ihm, K. S. Kyung, O. K. Kyung, K. D. Soon and J. H. Choi (2006)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on mini-tomato by washing at the different harvest days after pesticide spray.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0(4):306-312. 

  7. Lee, C. W. and H. S. Shin (1996)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in rice bran oil by refining process. J. Fd Hyg. Safety. 11(2):89-97. 

  8. Lee, J. K., J. W. Kwon, K. C. Ahn, J. H. Park and J. S. Lee (2000) Effect of photosensitization on the Diminution of pesticide residueson on red pepper, Korean Jou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9(2):116-121. 

  9. Lee, J. M., H. R. Lee, S. M. Nam (2003) Removal rate of residual pesticides in Perilla leaves with various w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4):586-590. 

  10.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1) Hazard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 in red pepper powder processing. 

  11. Park, J. W., L. A. Joo and J. E. Kim, Removal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uring making and fermementation of Kimchi, J. Fd Hyg. Safety. 17(2):87-93. 

  12. Seo, J. M., J. P. Kim, Y. S. Yang, M. S. Oh, J. K. Chung, H. W. Shin, S. J. Kim and E. S. Kim (2007)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hree pesticides in Perilla leaf by cultivation, storage and washing, J. Fd Hyg. Safety. 22(3): 199-208. 

  13. Sharma, J. (2005) Dissipation pesticides during bread-making. hemicial health & safety. 12(1):17-22. 

  14. Yun, S. J. (1989) The change of residual Chlorpyrifo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4):590-5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