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패션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
The Hyper-real Body in Fashion Magazin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7, 2012년, pp.663 - 676  

이영희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의상학과)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ideological meaning of female normative beauty reproduced by the idealizing phenomena of the hyper-real body as a process of the normalization of the body projected in fashion magazines with a focus on the body created by the increased influenc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중 뷰티기사는 내용구성에 있어 성형(plastic surgery), 스킨케어(skin care), 메이크업/헤어 트렌드(makeup/hair trend), 헬스/피트니스(health/fitness), 슬리밍/다이어트(slimming/diet), 웰빙(well-being) 등 건강과 외모를 위한 자기관리양식의 몸 프로젝트에 관한 직접적이고 지시적인 정보를 주로 제공하고, 화면구성에 있어 주로 화보라는 시각적 특징형식으로 구성되어 독자에게 의미의 전달이 쉽고 주로 간접광고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본주의 문화가 대중매체와 광고를 통해 교묘하게 은폐하고자 하는 이데올로기적 개입의 가능성을 추측하고 이전하고자 하는 몸의 특징적 의미를 추론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잡지가 훈육하는 여성의 몸에 관한 규범적 미를 고찰함에 있어, 특별히 뷰티기사의 사진 텍스트에 주목하고 이에 나타난 몸에 관한 지배적 정상화의 특성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 이러한 과정에서 기호 제작자들로 부터의 상당한 이데올로기적 조작이 은연중에 개입된다. 따라서 본 절은 패션잡지 텍스트의 이데올로기적 연계가능성에 주목하여, 패션잡지 텍스트가 독자에게 이전하고자하는 몸에 대한 다양한 상징기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기호학적 연구방법론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장은 앞서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한 실증적 연구로서, 현대 패션잡지가 훈육하는 몸에 관한 주된 정상화의 기준으로서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이 함의하고 있는 의미구조와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추론해 보고자 기호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 본 장은 현대 패션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을 고찰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현대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아정체성의 매개와 표상으로서 몸의 의미에 관해 논의하고, 이의 환경적 배경으로서 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에 주목하여 특히 여성의 몸에 대한 규범적 미의 가치와 의미를 생산하고 이전하는 매체로서 패션잡지의 특징과 영향력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의 몸에 대한 정상화의 미세권력으로서 패션잡지 텍스트의 신화적 연계가능성을 이해하고 그 이데올로기적 의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장은 현대 패션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을 고찰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현대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아정체성의 매개와 표상으로서 몸의 의미에 관해 논의하고, 이의 환경적 배경으로서 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에 주목하여 특히 여성의 몸에 대한 규범적 미의 가치와 의미를 생산하고 이전하는 매체로서 패션잡지의 특징과 영향력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의 몸에 대한 정상화의 미세권력으로서 패션잡지 텍스트의 신화적 연계가능성을 이해하고 그 이데올로기적 의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몸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와 소비의 영역을 통해 만들어지는 몸의 파편화에 관심을 가지고, 몸에 대한 정상화의 미세권력으로서 패션 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이 재생산하는 여성의 규범적 미에 주목하여, 이의 함축의미와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패션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정상화과정이 하나의 문화적 구축물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몸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와 소비의 영역을 통해 만들어지는 몸의 파편화에 관심을 가지고, 몸에 대한 정상화의 미세권력으로서 패션 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이 재생산하는 여성의 규범적 미에 주목하여, 이의 함축의미와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패션잡지에 나타난 하이퍼리얼 바디의 정상화과정이 하나의 문화적 구축물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 패션잡지가 조직화하는 몸의 의미의 재현적 기호들을 해독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몸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제한하는 주체와 제한의 방법들을 이해하고 몸이 어떻게 그 의미와 의의를 부여받게 되는지에 관한 맥락적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논의한 몸에 대한 신화적 담론의 기호학적 연구는 오늘날 정상화되고 있는 하이퍼리얼 바디의 이상화 현상을 형성하는 기호의 의미작용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문화적 가공물로서 선택된 여성의 몸에 대한 의미를 자연적이고 상식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기호와 실체의 관계를 인식하는 비판적 의식을 높임으로써, 여성의 몸에 대한 역사의식과 문화적 비판능력을 함양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잡지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나? 패션잡지의 내용은 크게 광고와 화보의 시각정보와 텍스트기사인 문자정보로 구성된다. 패션잡지의 텍스트기사는 영상의 제한적인 정보전달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정보를 부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영상이 담당할 수 없는 언어의 특수한 기능 들을 활용하여 사진이 불완전하게 넘겨주거나 혹은 넘겨주지 않는 정보들을 제시하고 이미지의 시각적 요소를 강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주름이 많은 피부에서 주름이 없는 피부로의 방향성이 나타내는 바는? 텍스트에서 크게 주목할 점은 강아지의 주름에서 다리미판의 옷 그리고 여성이 착용한 옷으로의 점진적 방향성이며, 이는 주름이 많은 피부에서 주름이 없는 피부로의 방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향성은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피부의 가변성을 나타내며, 우리가 다림질을 통하여 의복의 주름을 없애는 것처럼 피부도 하나의 의복과 같이 주름진 부분을 매끈하고 깨끗하게 펴서 다시 몸에 착용 가능한 물질적 대상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때 엎드린 강아지의 자세는 몸을 낮춘 또는 복종의 의미로, 피부의 관리상태가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계급의 차이를 명시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하고 있다.
한국판 보그지의 뷰티기사는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나? 이중 뷰티기사는 내용구성에 있어 성형(plastic surgery), 스킨케어(skin care), 메이크업/헤어 트렌드(makeup/hair trend), 헬스/피트니스(health/fitness), 슬리밍/다이어트(slimming/diet), 웰빙(well-being) 등 건강과 외모를 위한 자기관리양식의 몸 프로젝트에 관한 직접적이고 지시적인 정보를 주로 제공하고, 화면구성에 있어 주로 화보라는 시각적 특징형식으로 구성되어 독자에게 의미의 전달이 쉽고 주로 간접광고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본주의 문화가 대중매체와 광고를 통해 교묘하게 은폐하고자 하는 이데올로기적 개입의 가능성을 추측하고 이전하고자 하는 몸의 특징적 의미를 추론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잡지가 훈육하는 여성의 몸에 관한 규범적 미를 고찰함에 있어, 특별히 뷰티기사의 사진 텍스트에 주목하고 이에 나타난 몸에 관한 지배적 정상화의 특성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 number of plastic surgery and dermatology according to subject. (20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s Portal. Retrived August 15, 2010, from http://www.stat.mw.go.kr 

  2. Barthes, R. (1997). Mythologies (Ewha Womans University Semiotics Institute, Trans.). Seoul: Dongmoonsun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57) 

  3. Baudrillard, J. (1975). The mirror of production. St Louis: Teleos Press. 

  4. Baudrillard, J. (1991). La socit de consommation: Ses mythes ses structures [The consumer society: Its myths its structures] (S. L. Lee, Trans.). Seoul: Moonye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70) 

  5. Baudrillard, J. (2001). Simulacres et simulation [Simulacres and simulation] (T. H. Ha,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6. Eco, U. (1985). A theory of semiotics (W. S. Seo, Trans.). Seoul: Moonji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76) 

  7. Eco, U. (2005). Apocalittici e integrati [Apocalyptic and integrated] (H. J. Jo, Trans.). Seoul: Saemulgyul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84) 

  8. Entwistle, J. (2000). The dressed body. In J. Entwistle & E. Wilson (Eds.), Body dressing (pp. 33?58). New York: Berg. 

  9. Foucault, M. (2003).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Discipline and punish: Birth of the prison] (S. G. O,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75) 

  10. Giddens, A. (1997).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late modern age (G. D. Gueon, Trans.). Seoul: Saemulgyul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11. Jeong, S. G. (1995). Theory and practice of fashion photography. Seoul: Hakmun Publishing. 

  12. Joo, H. I. (2006). Photography: Medium and sign. Yongin: Inyoung Publications. 

  13. Kim, K. Y. (1994). What is semiotics. Seoul: Minumsa. 

  14. McCraken, G. (1996). Culture and consumption (S. L. Lee, Trans.). Seoul: Moonye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15. Sim, S. Y. (1998). Body in contemporary art: Place for deconstruction and absence. Seoul: Eomunhaksa. 

  16. Son, M. Y., & Lee, S. H. (2010). Fashion Journalism in South Korea: History and trends of fashion with view to media.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17. Shilling, C. (2003). The body and social theory (I. S. Im,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18. Saussure, F. D. (2008). Cours de linguistique generale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 G. Kim, Trans.). Seoul: Jimanjigo- jeoncheonjul. (Original work published 1915) 

  19. Speed slimming. (2010, June). Vogue Korea, p. 116. 

  20. Turner, B. S. (1991).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London: Sage. 

  21. Upgraded breast. (2007, July). Vogue Korea, p. 82. 

  22. Wrinkle free. (2008, June). Vogue Korea, p. 106. 

  23. What a peeling. (2009, April). Vogue Korea, p. 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