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
Art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2, 2014년, pp.191 - 200  

예민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resents "an artialization of fashion" that may be regarded similar to art with a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In the $20^{th}$ century, fashion began to share a similar language with art and became a central part in popularizing art. Fashion and art were drawn to each o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관한 사적 고찰 및 여러 분야의 이론가들의 담론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최근 예술화된 패션의 맥락적 관점을 이해하고, 이를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패션과 예술의 관계의 사적고찰과 담론을 참고로 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와 같이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관한 담론은 다음 [Table 1]와 같이 세 가지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이 예술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보다 럭셔리 패션브랜드들이 예술을 통해 얻게 되는 효과와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므로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서 비즈니스적인 상호협조를 밝힌 세 번째 입장에 중점을 두겠다.
  • 본 연구는 패션이 예술인지 아닌지 혹은 그러한 관계의 변화가 도덕적인지 아닌지를 논하기보다는 패션과 예술의 본질적 차이를 이해하고, 동시에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럭셔리 패션브랜드가 예술을 통해 얻게 되는 이미지와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되고, 이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패션과 예술의 관계는 주로 예술가들의 초상화, 19세기의 오뛰쿠튀르, 20세기 아방가르드 예술가들 그리고 팝 아트 이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Geczy & Karaminas, 2013).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패션과 예술의 역사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런 관계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이론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담론을 정리하겠다. 이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예술 전략 사례들을 맥락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들이 내포하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 III장에서 럭셔리 패션브랜드들이 패션전시, 패션건축물, 패션쇼 퍼포먼스, 예술가와의 콜라보레이션, 문화예술재단을 통해 예술의 영역과 연관시키려는 전략을 구사해왔음을 살펴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들이 그러한 예술 전략을 통해 얻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와 그것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럭셔리 패션브랜드에서의 예술의 기능과 예술 전략의 궁극적인 목적을 분석하는 것이다.
  • 이미 1899년 유한계급론에서 베블렌(Tholstein Veblen)이 지적한 것처럼, 패션의 부정적 특성은 1900년대의 사치스런 의상뿐 아니라 20세기 브랜드 로고로 장식한 ‘날 좀 보세요’의 과시적 의상에도 적용되었다(Mendes, 1999/2003). 이에 럭셔리 패션브랜드는 부정적 인식의 개선을 위한 이미지 변신과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장확대가 필요하였고, 그 수단으로써 예술적 아이덴티티를 얻고자 하였다.
  • 패션과 예술의 관계는 일시적인 현상이나 유행 같은 최신 경향의 문제가 아닌 지속된 현상으로써 맥락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과 예술의 역사적 관계와 이론가들의 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예술 전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은 패션전시, 패션건축물, 패션쇼 퍼포먼스, 예술가와의 콜라보레이션, 문화예술 재단의 유형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사례들은 단순한 패션의 미적 현상이라기보다는 부정적 이미지 개선, 홍보마케팅, 신뢰성 제공, 차별화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럭셔리 패션브랜드들은 아름다움의 미학을 포기하고 예술 작업과 같은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자세를 표방하는 등 현대예술과 연관시키려는 전략을 구사하였는데, 이는 브랜드의 예술적 신뢰도를 높이고 대중들을 위한 판매 전략으로 아방가르드적 입장을 취한 것이다(Svendsen, 2004/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예술의 영역을 상업적 전략으로 활용한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사례들을 패션저널인 『Fashion Theory』와 패션 관련 문헌에서 소개된 예시들, 뉴욕타임즈의 기사들을 통해 살펴보겠다. 그리고 패션의 예술적 측면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패션전시, 패션건축물, 패션쇼 퍼포먼스, 콜라보레이션 제품, 문화예술재단을 중점으로 살펴보겠다.
  • 럭셔리 패션브랜드는 오늘날 패션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화된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사례들을 정리하고, 그 내포된 의미들을 분석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번 장에서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들이 그러한 예술 전략을 통해 얻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와 그것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럭셔리 패션브랜드에서의 예술의 기능과 예술 전략의 궁극적인 목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객관적인 의미 분석을 위해 II장에서 살펴본 이론가들의 담론을 근거로 한 비즈니스적인 상호협조의 입장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겠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관한 사적 고찰 및 여러 분야의 이론가들의 담론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최근 예술화된 패션의 맥락적 관점을 이해하고, 이를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패션과 예술의 관계의 사적고찰과 담론을 참고로 하여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예술 전략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주의, 구성주의 예술가들은 어떤 옷을 디자인하였는가? 큐비즘의 등장과 함께 예술가들의 섬유, 컷(cut), 드레이프(drape)와 같은 패션요소의 사용은 근대적 관점에서 예술에 대한 패션의 위대한 행보였다. 특히 미래주의, 구성주의 예술가들은 집단의 정체성을 창조하고 이데올로기를 표현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패션을 인식하고 사회개혁의 목표가 결합된 옷을 디자인하였다. 이것은 패션을 명확하고 철학적인 행위,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행위, 이론적이고 예술적인 행위, 그리고 조각적이고 순수예술적인 행위로서의 무기로 만든 첫 사건이었다(Brand, 2009).
럭셔리 패션브랜드와 예술의 상업적 관계가 패션건축물에서 잘 드러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한때 예술가의 보호구역이자 갤러리들로 넘쳐났던 뉴욕의 소호(Soho) 지역에 패션브랜드 매장들이 증가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것은 의도적 결과인데, 패션브랜드들이 매장을 미술관과 근접한 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예술이 지닌 상징적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Negrin, 2013). 그 예로, 프라다(PRADA)는 뉴욕 구겐하임 분관의 자리에 에피센터 스토어(Epicenter Store)를 위치시키고 박물관 같은 내부의 환경을 유지시킴으로써 구겐하임이 소유하는 특별한 가치를 매장으로 전염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패션과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 최소한 15세기 르네상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패션과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5세기 르네상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Boucher, 1996), 이는 카메라가 존재하기 이전 수세기 동안 초상화가 역사의 정확한 순간을 전달하는 시대의 기록물로서 시대정신과 이상미는 물론, 특정 시대의 유행복식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복식사가 Hollander(1993)가 연구하고, 이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증명되었다(Mackrell, 2005; Simo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rnold, R. (2000). Luxury and restraint: Minimalism in 1990s fashion. In N. White & I. Griffiths (Eds.), The fashion business: Theory, practice, image (pp. 167-182). Oxford & New York: BERG. 

  2. Becker, H. (1982) Art worlds. London: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Ltd. 

  3. Boucher, F. (1996).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London: Thames and Hudson. 

  4. Bourdieu, P. (2005).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 du judgement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J. C. Choi, Trans.). Seoul: Samoolgyeol. (Original work published 1984) 

  5. Boodro, M. (2007). Art and fashion. In L. Welters & A. Lillethun (Eds.), The fashion reader (pp. 256-260). Oxford & New York: BERG. 

  6. Brand, J. (Ed.). (2009). Fashion and imagination: About clothes and art. Arnhem: ArtEZ Press. 

  7. Chanel Mobile Art. (2008, October 20). The exhibition: The inspiration. Chanel Mobile Art. Retrieved November 15, 2013, from https://www.chanel-mobileart.com 

  8. Crane, D. (2012). Boundaries: Using cultural theory to uravel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In A. Geczy & V. Karaminas (Eds.), Fashion and art (pp. 99-110). London & New York: BERG. 

  9. Curtis, E., & Watson, H. (2007). Fashion retail. New York: Race Pointing Publishing. 

  10. Duggan, G. (2001). The greatest show on Earth: A look at contemporary fashion show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formance art.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5(3), 243-270. 

  11. Evans, C. (2007). Fashion at the edge: Spectacle, modernity, and deathliness.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2. Finkelstein, J. (1996). After a fashion. Carlton: Melbourne Uni- versity Press. 

  13. Geczy, A., & Karaminas, V. (Eds.). (2013). Fashion and art. London & New York: BERG. 

  14. Hollander, A. (1993). Seeing through cloth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td. 

  15. Kang, B. S., & Kim, Y. M.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marketing observ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 (3), 97-109. 

  16. Kim, H. J. (2001). A study on art marketing strategy of luxury fashion brand through contemporary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17. Kim, S. B. (1998). Is fashion art?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51-71. 

  18. Kim, S. H., & Rhee, S. C. (2009).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3), 225-233. 

  19. Lee, D. (2008). Collabonomics. Seoul: NextWaveMedia. 

  20. Lipovetsky, G., & Manlow, V. (2009). The 'Artialization' of luxury stores. In J. Brand & J. Teunissen (Eds.), Fashion and imagination: about clothes and art (pp. 154-167). Arnhem: ArtEZ Press. 

  21. Louis Vuitton Young Arts Project. (2010). theguardian.com. Retrived December 23, 2013, from http://www.theguardian.com 

  22. Mackrell, A. (2005). Art and fashion: The impact of art on fashion and art (2nd ed.). London: Batsford. 

  23. Marie, C. (2011). Louis Vuitton. Marie Claire. Retrieved November 15, 2013, from http://www.marieclairvoyant.com 

  24. Martin, R. (1999). Art & fashion, Viktor & Rolf.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3(1), 109-120. 

  25. Mendes, V. (2003). Twentieth-century fashion (J. E. Kim, Trans.). Seoul: Sigong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6. Muller, F. (2000). Art and fashion. London: Thames and Hudson. 

  27. Negrin, L. (2013). Aesthetics: Fashion and aesthetics-A fraught relationship. In A. Geczy & V. Karaminas (Eds.), Fashion and art (pp. 43-54). London & New York: BERG. 

  28. Park, S. M. (2011). An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 of mutualborrowing paradigm in twentieth century fashion and a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80-100. 

  29. Pasols, P. (2005). LOUIS VUITTON: The birth of modern luxury (L. Ammon, Trans.).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30. Prada the Evolution of DNA. (2010). Woman dongA.com. Retrieved April 5, 2014, from http://thewoman.donga.com/List_01/3/01/20100618/29170204/3 

  31. Ryan, N. (2012). Patronage: Prada and the art of patronage. In A. Geczy & V. Karaminas (Eds.), Fashion and art (pp. 155-167). London & New York: BERG. 

  32. Saisselin, R. (1959). From baudelaire to Christian Dior: The poetics of fashion.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18(1), 110-115. 

  33. Shin, J. Y. (2008).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8), 1-12. 

  34. Simon, M. (1995). Fashion in art: The second empire and impressionism. London: Philip Wilson Publishers. 

  35. Steel, V. (2012). Fashion. In A. Geczy & V. Karaminas (Eds.), Fashion and art (pp. 13-27). London & New York: BERG. 

  36. Svendsen, L. (2013). Fashion: A philosophy (S. Y. Do, Trans.). Seoul: MID.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37. Taylor, M. (2005). Culture transition: fashion's cultural dialogue between commerce and art.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9(4), 445-460. 

  38. Teunissen, J. (2010). Fashion and art. In J. Brand & J. Teunissen (Eds.), Fashion and imagination (pp. 10-25). Arnhem: ArtEZ Press. 

  39. Townsend, C. (2002). Rapture: Art's seduction by fashion since 1970 to 2002. New York: Thames and Hudson. 

  40. Troy, N. (2003) Couture culture: A study in modern art and fashion. London: The MIT Press. 

  41. Velters, L. (2007). Fashion and art. In L. Velters & A. Lillethun (Eds.), The fashion reader (pp. 253-255). Oxford & New York: BERG. 

  42. WIKIPEDIA. (2013). List of most visited art museums in the world. Wikipedia. Retrieved October 10, 2013, from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most_visited_art_museums_in_the_world 

  43. Wilson, E. (2003).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2nd ed.). London: Virago Press Ltd. 

  44. Yun, J. Y.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aesthetic enjoyment of fashion as an a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2), 4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