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감성지능과 개인의 직무태도, 조직성과와의 관계분석
Understanding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itchen Staff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4, 2012년, pp.354 - 366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현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job attitud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itchen staff. A survey collected data from foodservice employees (N=611). Statistical analys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성지능 이론을 근거로 감성지능 수준을 측정 하였고, 이를 통해 감성지능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감성지능과 조직 및 조리종사자 관련 변인, 조직성과에 대한 가설을 토대로 감성지능의 효과성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감성지능이 태도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급식산업에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는 급식업체에서 종사자들의 감성지능 관리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급식업체 조리종사자들의 감성조절능력인 감성지능과 직무수행 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사)와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급식업체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조리종사자의 감성지능 수준은 조직몰입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조리종사자의 감성지능 수준은 조직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조리종사자의 감성지능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조리종사자의 조직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조리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이직의사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조리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이직의사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alovey와 Mayer (1990)은 감성지능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감성지능는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연구한 Thorndike(1936)에 의해 그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Salovey와 Mayer (1990)가 처음으로 그 개념을 언급하면서 감성지능이란 “자신 및 타인 정서를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고, Goleman(1995)의 저서 「Emotional Intelligence」가 Time Magazine의 커버스토리로 소개됨에 따라 그 관심이 증폭되었다. Goleman(1995)은 감성지능의 구인요인을 정서자각능력(Self-Emotional Appraisal), 타인정서인지 이해능력(Other-Emotional Appraisal), 정서관리능력(Regulation of Emotion), 자기 동기화 및 대인관계 조절능력(Use of Emotion)으로 설명하였다.
Sin 등(2004)는 감성지능이 어떤 것과 연관된다고 하였는가? 감성지능 즉 감성능력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자와 교육학자들을 주축으로 계속 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개인의 높은 감성능력은 문제해결을 촉진한다는 연구결과가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감성능력으로 측정되는 감성지능은 개인의 성취나 효율적인 경영과도 관련된다고 하였다(Sin 등 2004).
Goleman(1995)은 감성지능의 구인요인의 감성능력을 몇 가지 예시하였나? Goleman(1995)은 감성지능의 구인요인을 정서자각능력(Self-Emotional Appraisal), 타인정서인지 이해능력(Other-Emotional Appraisal), 정서관리능력(Regulation of Emotion), 자기 동기화 및 대인관계 조절능력(Use of Emotion)으로 설명하였다. 이후 1998년 Goleman은 5개의 감성 능력에서 25개의 감성능력을 예시하였고, 이들 감성능력들을 5가지 군(자기인지군, 자기조절군, 자기동기군, 공감대군, 사회적 기능군)으로 묶어서 제시한 바 있다(Boyatzis 등 2000). Mayer 등(2000)은 감성지능을 인지적 역량 또는 정신적 능력이라고 규정하였을 때, 그들이 개발한 감성지능의 척도는 전통적인 지능의 준거들을 충족하며, 그 증거로 감성지능과 언어지능의 상관성 및 감성지능의 공감대 요인과 일반능력과 관계를 제시하였고, 젊은 피험자 보다 나이든 피험자가 감성지능이 더 높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ien NJ, Meyer J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 of Occupational Psychlogy, 63(1):1-18 

  2. Ashkanasy NM, Hartel CE, Daus CS. 2002. Diversity and emotion: the new frontiers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J. of Management, 28(3):307-338 

  3. Bluedorn AC. 1982.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 Human Relations, 32(2):135-153 

  4. Boyatzis R, Goleman D,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pp 1-20 

  5. Brewer GA, and Selden SC. 2000.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0(4):685-711 

  6. Brewer, GA, Selden, SC, and Facer RL. 2000. Individual concept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0(3):254-264 

  7. Chang SY. Han MJ. 2002. A Study on the Job and Need Satisfactions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Area.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8(6):69-75 

  8. Choi HY. Ryou OH. 2010. A Study of the Priority Order fo Kitchen Employees' Turnover Factors in the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net Company. J.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 of Korea, 13(4):79-98 

  9. Choi KC, Choi WS. 2006.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J. of Tourism Sci., 30(6):113-133 

  10. Cote S. Miners TH. 2006.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cence Quarterly, 51(1):1-28 

  11. Druskat VU, Wolff SB. 2001. Build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roups. Harvard Business Review, 79(1):80-90 

  12. Eu YS, Lee HR. 2011. A Study on Relationships of Food Service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oderator of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Korean J of Hotel Administration, 20(1):161-182 

  13. Gardner L, Stough C. 2002.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senior level managers.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3(2):68-78 

  14.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New York. pp 3-10 

  15. Goleman D. 2002.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New York. pp 95-110 

  16. Guleryuz G, Guney S, Aydin EM, Asan O. 2008.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s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ltional J. of Nursing Studies, 45(11):1625-1635 

  17. Guleryuz G, Guney S, Aydin EM, Asan O. 2008.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11):1625-1635 

  18. Hahm KJ. Yun WS. 1998. The Effect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m's Affective Conflict, Cohesiveness, Creativity.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5(4):265-284 

  19. Jeon YJ. Lee SB. 2011. The Effects of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up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 Deluxe Hotel.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5(3):109-127 

  20. Jung HY. Kim HA. 2010. A study on influence of food service manager'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2):1880-1892 

  21. Kim HC. Baek SH.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tion of School Dietitians,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7(2):18-34 

  22. Lee HY, Yang IS. 2004. The Model of TQM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apacity of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J. Tourism Science, 28(3):203-219 

  23. Nikolaou I, Tsaousis I. 2002.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kplace: Exploring its effects on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s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Special Issue on Emotional Intelligence, 10(1):327-342 

  24. Mayer JD, Caruso DR, Salovey P. 2000.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4): 267-280 

  25.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 vocational behavior, 14:224-247 

  26. Palmer B, Walls M, Burgess Z, Stough C.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22(1):1-7 

  27. Park CI, Hong JK. 1997. The relation problem solving and Job preformance. Cheonju National University Press. 36:213- 231 

  28. Prati LM, Douglas C, Ferris GR, Ammeter AP, Buckley MR. 2003.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eam leadership: Reply to the critique by Antonkis.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11(4):363-369 

  29. Saarni C. 1999.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J. psychology, 12:234-245 

  30. Salovey P, Mayer J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185-211 

  31. Salovey P. Stroud LR. Woolery A. Epel ES. 2002.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reactivity and symptom repoarts: Further explorations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sychology & Health, 17(5):611-627 

  32. Schutte NS, Malouff JM, Hall LE, Haggerty DJ, Cooper JT, Golden CJ, Dornheim L.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167-177 

  33. Sin JG, Moon SG, Moon HN. 2004. Emotional Business Emotional Leadership. NexBiz. Seoul. pp 13-50 

  34. Taylor WL, Robertson HM. 1957. Adam Smith's Approach to the theory of value. Economic Journal, 67(266):181-191 

  35. Thorndlike RL. 1936. Factor analysis of social and abstract intelligence. J. Educational Psychology, 27(1):231-233 

  36. Wong C. Law K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e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243-2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