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잎분말을 첨가한 밥의 품질특성 및 연잎쌈밥의 저장 중 향기성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oked Rice, Yenipsambab, with Lotus Leaf Powd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4, 2012년, pp.374 - 382  

박복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두 (주식회사 다연) ,  전은례 (남미시시피대학교 식품영양전공) ,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yenipsambab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Hunter's color L and a values of yenipsambab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lotus leaf powder, whereas b value increased. Moreover, addition of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잎이 갖는 우수한 생리기능을 활용하고자 연잎분말을 첨가한 연잎쌈밥용 밥의 품질과 연잎쌈밥의 저장 중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연잎쌈밥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잎쌈밥용 밥의 색도는 연잎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연잎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며 친환경 소재인 연잎과 연잎분말을 이용한 연잎쌈밥의 Take out 상품을 개발하고자, 연잎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연잎쌈밥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연잎쌈밥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연잎쌈밥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근과 연잎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신성시하며, 용도에 있어서는 꽃은 관상용과 차제( 劑)로 이용하여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 연근과 연잎은 methylcorypalline, diemthylcocaeurine, β-sistosterol, kaempferol, quercetine 및 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Jung 등 2003; Lee 등 2006). 연(Nelumbo nucifera)에 관한 연구로는 연잎차(Kim 등 2006), 연꽃과 연잎으로 제조한 연엽주(Lee 등 2005), 연근, 연잎, 조릿대의 대사성 질환완화 작용(Ko 등 2006) 등이 있으며 주로 연잎의 지질저하 효과(Kim 등 2005; Shin & Han 2006),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Lee 등 2006a), 항균효과(Lee 등 2006b), 연잎가루 첨가 설기떡(Yoon 2007), 연잎 어묵(Shin 2007), 연잎 죽(Park 등 2009a), 연잎 두부(Park 등 2009b), 연잎 국수(Park 등 2010)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연이란 무엇인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써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신성시하며, 용도에 있어서는 꽃은 관상용과 차제( 劑)로 이용하여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
연잎의 약리성분을 이용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연근과 연잎은 methylcorypalline, diemthylcocaeurine, β-sistosterol, kaempferol, quercetine 및 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Jung 등 2003; Lee 등 2006). 연(Nelumbo nucifera)에 관한 연구로는 연잎차(Kim 등 2006), 연꽃과 연잎으로 제조한 연엽주(Lee 등 2005), 연근, 연잎, 조릿대의 대사성 질환완화 작용(Ko 등 2006) 등이 있으며 주로 연잎의 지질저하 효과(Kim 등 2005; Shin & Han 2006),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Lee 등 2006a), 항균효과(Lee 등 2006b), 연잎가루 첨가 설기떡(Yoon 2007), 연잎 어묵(Shin 2007), 연잎 죽(Park 등 2009a), 연잎 두부(Park 등 2009b), 연잎 국수(Park 등 2010)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연잎의 약리성분을 이용한 식품으로서의 가공이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urroni LV, Grosso NR, Guzman CA. 1997. Principal volatile components of raw, roasted and fried argentinean peanut flavors. J. Agric. Food Chem., 45(8):3190-3192 

  2. Buttery RG, Ling LC, Juliano BO, Turnbaugh JG. 1983. Cooked rice aroma and 2-acety1-1-pyrrolin. J. Agric. Food Chem., 31(6):823-826 

  3. Buttery RG, Turnbaugh JG, Ling LC. 1988. Contribution of volatile to rice aroma. J. Agric. Food Chem., 36(8):1006- 1009 

  4. Cho HS. 2010. Rheological propertie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567-574 

  5. Choi JY, Lee TS, Noh BS. 1999.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mproved kochujang prepared with glutinous rice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1221-1226 

  6. De Kimpe NG, Stevens CV, Keppens MA. 1993. Synthesis of 2- acety1-1-pyrrolin, the principal rice flavor component. J. Agric. Food Chem., 41(8):1458-1461 

  7. Endo I, Chibuku S, Tano T. 1977. Measurement of volatile carbonyl compounds in the vapor of cooked rice.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24(1):142-146 

  8. George AB. 1995. Fenaroli's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 3rd ed., Vol. I, II, CRC Press Inc, USA 

  9.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Rice research group,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336-338 

  10. Han OK, Cho CH, Chae JC. 1998. Identfication and evauation of flavor components and their difference among wheat varieties. Korean J. Breed, 30(5):273-282 

  11. Jeon JY, Choi SH. 201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ea mixed with green tea and the root of a kudzu. Korean Soc. Life Sci., 20(3): 350-355 

  12. Jeon JY, Choi SH. 2011. Flavor components of parched waxy corn tea. Korean Tea Soc., 17(1):83-86 

  13. Jung HA, Kim JE, Chung HY, Choi JS.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rmens. Arch. Pharm Res., 26(5):279-285 

  14. Karahadian C, Johnsos KA. 1995. Analysis of headspace volail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 corn tortillas made from fresh masa dough and spray-dried masa flour. J. Agric. Food Chem., 41(7):791-799 

  15. Kato H, Ohta T, Tsugita T, Hosaka Y. 1983. Effect of parboiling on texture and flavor components of cooked rice. J. Agric. Food Chem., 31(7):818-823 

  16. Kim AJ, Rho JO, Woo KJ, Choi WS. 2003.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ating ratios of mulberry leaves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571-580 

  17. Kim DC, Kim DW, In MJ. 2006. Preparation of lotu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163-166 

  18. Kim EM, Yang HJ, Kim YH, Chang K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ith added eating quality conditioner. Food Engineering Pro., 12(1):1-7 

  19. Kim JH, Ki KR, Kim JJ, Oh CH. 1992. Comparative sampling procedures fo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1):171-176 

  20. Kim JH, Nam SH, Kim MH, Sohn JK, Kang MY. 2007. Cooking properties of rice with pigmented rice bran extract. Korean J. Crop Sci., 52(1): 60-68 

  21. Kim JH, Hawer WD, Ha JH, Moon KD, Chung SK. 1995.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n roasting conditions in cassia tora see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1):736-741 

  22. Kim JM, Lee YC, Kim KO. 2003. Effects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393-398 

  23.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6):401-408 

  24. Kim KH, Park BH, Cho HS, Kim SR,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rimp flour added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Culture, 24(2): 206-211 

  25.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IB hamster. Korean J. Pharmaogn, 6(3):229-234 

  26.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an J. Food Sci. Technol., 36(6):930-936 

  27. Kim YD, Ha KY, Lee KB, Shin HT, Cho SY. 1998.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lored rice. Korean J. Breed, 30(5):305-308 

  28.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J. Food Sci. Technol., 38(1):114-120 

  29. Lee JC, Kim YH. 1999.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components of korean aromatic rice and nonaromatic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299-304 

  30. Lee KS, Choi YM, Noh DO, Suh HJ. 2005.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lotus liquor (Yunyupju). Int J. Food Sci. Technol., 40(7):709-715 

  31. Lee KS, Kim MG, Lee KY. 2006a.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2):182-186 

  32. Lee KS, Oh CS, Lee KY. 2006b.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2):219-223 

  33. Maga JA. 1978. Cereal volatiles-A review. Cereal Chem., 26(3):175-178 

  34. Nam SH, Cho SP, Kang MY, Koh HJ, Kozukue N, Friedman.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bran extracts from twenty one pigmented rice cultivars. Food Chem., 94(5):613-620 

  35.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2009a.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55-61 

  36.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Koh KM. 2009b.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Society Food Culture, 24(3):315-320 

  37.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lde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Society Food Culture, 25(2):225-231 

  38.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12. Cook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 rice of yenipsambab with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Pre., 19(2):25-75 

  39. Park MK, Lee JM, Park CH. 2002. Comparis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gmented rice Cholpyon with those of brown and white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4):471-475 

  40. Shin MK, Han SH. 2006.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 rats. Korean J. Food Culture, 6(2):202-208 

  41. Shin WC, Song JC. 1999.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cookd rice according to th various cook method. Korean J. Food & Nutr., 12(2):142-149 

  42. Shin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947-953 

  43. Song SJ, Lee YS, Rhee CO.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alc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1015-1021 

  44. Tsuda T, Horio F, Osawa T. 1998. Dietary cyanidine-3-O- $\beta$ -Dglucoside increases ex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Lipids, 33(5):583-586 

  45. Tsugita T, Ohta T, Kato H. 1983. Cooking flavor and texture of rice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gric. Biol. Chem., 47(5):543-549 

  46. Yoo KM, Lee YK, Kim SH, Hwang IK, Lee BY, Kim SS, Hong HD, Kim YC. 2005.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different coating ratio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6):117-123 

  47.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433-442 

  48. Zeng Z, Zhang H, Zhang T, Tamogami S, Chen JY. 2009. Analysis of flavor volatiles of glutinous rice during cooking by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trometry with modifie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method. J. Food Com & Anal., 22(4): 347-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