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jugated linoleic acid 황갈색의 인체암세포와 인체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Lack of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against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8 = no.148, 2012년, pp.1099 - 1106  

지유철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안채린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서양곤 (경상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서정세 (경상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정옥 ((주)HK바이오텍) ,  하영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체지방감소 효과가 있는 시판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색깔을 제거하고 이 색깔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황갈색의 시판 CLA 제품을 구입하여 crude CLA (c-CLA) 시료로 하였다. c-CLA 시료를 감압증류(10 mmHg-$220^{\circ}C$, 10 mmHg-$235^{\circ}C$, 10 mmHg-$240^{\circ}C$, 20 mmHg-$260^{\circ}C$; 30분)하여 증류된 CLA (distilled CLA; d-CLA) 시료와 증류되지 않고 남아있는 황갈색 CLA (residual CLA; r-CLA) 시료로 분리하였다. 10 mmHg-$220^{\circ}C$에서 증류하여 얻은 d-CLA 시료의 색깔은 L (brightness), a (red/blue), b (yellow/green)로 분석한 결과 무색에 가까웠고 r-CLA 시료는 황갈색이었고, 이들 두 CLA 시료의 CLA 이성체 조성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10 mmHg-$220^{\circ}C$에서 얻은 r-CLA 시료의 인체암세포(유방암 MCF-7. 폐암 A-549, 직장암 HT-29, 전립선암 PC-3)와 인체 정상세포(신경모세포 SK-N-SH)에 대한 세포독성을 d-CLA 시료와 비교하였다. 이들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r-CLA 시료와 d-CLA 시료 처리 2일 후의 세포독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10 mmHg-$220^{\circ}C$로 감압증류 하여 제거할 수 있었고, r-CLA 시료의 세포독성은 d-CLA 시료의 세포독성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세포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as investigated in human cancer cell lines and a normal human cell line. Commercially-available CLA with a brown color (designate crude CLA; c-CLA) was distilled in a vacuum (10 mmHg-$220^{\circ}C$, 10 mmHg-$235^{\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유를 alkaline isomerization로 합성한 CLA의 색깔에 대한 세포독성을 연구하였다. 다이어트용으로 시판되는 CLA제품(safflower seed oil로부터 합성)을 구입하여 CLA 색깔의 인체암세포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9,t11-CLA 이성체의 특징은 무엇인가? CLA는 다양한 이성체(C7-C12의 cis, trans 이성체)를 갖는다. 그 중 c9,t11-CLA 이성체는 B. fibrisolvens와 같은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합성되어 반추위 동물의 조직이나 우유에 축적되고 있다[15,18]. 또한 인체의 장에 서식하는 L.
Conjugated linoleic acid는 항암효과 외 어떤 효과를 갖는가? 그 이후 CLA는 여러 인체암세포와 발암물질로 유발한 동물실험에서 그 항암성이 인정되었고 그 기작도 연구되었다[2,3,6,8,9,11,14,21,23,24]. 또한 CLA는 항암효과 외에 면역증진효과, 혈중 cholesterol 감소효과, 체지방감소효과 등 인체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물질임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졌다[1,4,7,20]. 따라서 21C에 개발된 최고의 기능성 물질로서 인정을 받고 있는 CLA는 1997년에 인체 체지방을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diet supplement로 미국에서부터 시판되기 시작하여 현재 유럽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시판되고 있다.
Conjugated linoleic acid는 언제 최초로 동정되었는가?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1987년에 최초로 ground beef에서 7,12-di-methylbenz[a]anthrathene (DMBA)으로 유발한 mouse skin carcinogenesis를 억제하는 항암물질로 분리 및 동정되었다[6]. 그 이후 CLA는 여러 인체암세포와 발암물질로 유발한 동물실험에서 그 항암성이 인정되었고 그 기작도 연구되었다[2,3,6,8,9,11,14,21,23,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bers, R., Van der Wielen, R. P. J., Brink, E. J., Hendriks, H. F. J., Doro- vska-Taran, V. N. and Mohede, I. C. M. 2003. Effects of cis-9, trans-11 and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on immune function in healthy men. Eur. J. Clin. Nutr. 57, 595-603. 

  2. Beppu, F., Hosokawa, M., Tanaka, L., Kohno, H., Tanaka, T. and Miyashita, K. 2006. Potent inhibitory effect of trans9, trans11 isomer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growth of human colon cancer cells. J. Nutr. Biochem. 17, 830-836. 

  3. Biaek, A., Tokarz, A., Dudek, A., Kazimierska, W. and Bielecki, W. 2010. Influence of diet enrich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s on their distribution in tissues of rats with DMBA induced tumors. Lipids Health Dis. 9, 1-9. 

  4. Chen, S., Lin, Y., Huang, H., Hsu, W., Houng, J. and Huang, C. 2012.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weight loss and body fat composition in a Chinese population. Nutrition 28, 559-565. 

  5. Coakley, M., Ross, R. P., Nordgren, M., Fitzgerald, G., Devery, R. and Stanton, C. 2003. Conjugated linoleic acid biosynthesis by human-derived Bifidobacterium species. J. Appl. Microbiol. 94, 138-145. 

  6. Ha, Y. L., Grimm, N. K. and Pariza, M. W. 1987. Anticarcinogens from fried ground beef: heat-altered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arcinogenesis 8, 1881-1887. 

  7. Ha, Y. L. and Jeong, S. B. 2010.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body fat reduction and physical exercise enhancement of obes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J. Life Sci. 20, 1844-1850. 

  8. Ha, Y. L., Storkson, J. and Pariza, M. W. 1990.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by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ancer Res. 50, 1097-1101. 

  9. Halade, G. V., Rahman, M. M. and Fernandes, G. 2009. Effect of CLA isomers and their mixture on aging C57Bl/6J mice. Eur. J. Nutr. 48, 409-418. 

  10. Hernandez-Mendoza, A., Lopez-Hernandez, A., Hill Jr, C. G. and Garcia, H. S. 2009. Bioconversion of linoleic acid to conjugated linoleic acid by Lactobacillus reuteri under different growth conditions. J. Chemical Technol. Biotechnol. 84, 180-185. 

  11. Islam, M. A., Kim, Y. S., Jang, W. J., Lee, S. M., Kim, H. G., Kim, S. Y., Kim, J. O. and Ha, Y. L. 2008. A mixture of trans, trans conjugated linoleic acid induces apoptosis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with reciprocal expression of Bax and Bcl-2. J. Agric. Food Chem. 56, 5970-5976. 

  12. Jang, W. J. 2006. Production of natural CLA by submerged liquid culture of mushrooms. Maste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3. Juaneda, P., De la Perriere, S., Sebedio, J. and Gregoire, S. 2003. Influence of heat and refining on formation of CLA isomers in sunflower oil. J. Am. Oil Chem. Soc. 80, 937-940. 

  14. Kelley, N. S., Hubbard, N. E. and Erickson, K. L. 2007. Conjugated linoleic acid isomers and cancer. J. Nutr. 137, 2599-2607. 

  15. Kim, Y. J. 2003. Partial inhibition of biohydrogenation of linoleic acid can increase the conjugated linoleic acid production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A38. J. Agric. Food Chem. 51, 4258-4262. 

  16. Kim, S. J., Park, K. A., Jung, H. Y., Kim, J. O. and Ha, Y. L. 2000. Preparation of a large quantity of cis-9, trans-11 and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from synthetic CLA. J. Food Sci. Nutr. 5, 86-92. 

  17. Kwon, J. M., Moon, Y. G., Kim, Y. S., Jung, J. Y., Ha. Y. L. and Yang, J. K. 2011.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lants on the growth human of neuroblastoma SK-N-SH Cells. J. Life Sci. 21, 1190-1198. 

  18. Liavonchanka, A. and Feussner, I. 2008. Biochemistry of PUFA double bond isomerases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hemBioChem. 9, 1867-1872. 

  19. Liu, G. and Chen. G. 2012. Study on the decolorization of biodiesel from waste cooking oil. Adv. Mater. Res. 347, 3781-3787. 

  20. Mitchell, P. L., Langille, M. A., Currie, D. L. and McLeod, R. S. 2005.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somers on lipoproteins and atherosclerosis in the Syrian golden hamster. Biochim. Biophys. Acta. 1734, 269-276. 

  21. Ochoa, J. J., Farquharson, A. J., Grant, I., Moffat, L. E., Heys, S. D. and Wahle, K. W. J. 2004.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s) decrease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Different molecular mechanisms for cis-9, trans-11, and trans-10 cis-12 isomers. Carcinogenesis 25, 1185-1191. 

  22. Park, S. J., Park, C. W., Kim, S. J., Kim, J. K., Kim, Y. R., Park, K. A., Kim, J. O. and Ha, Y. L. 2002. Methylation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omers in various lipid samples. J. Agric. Food Chem. 50, 989-996. 

  23. Rakib, M. A., Kim, Y. S., Jang, W. J., Choi, B. D., Kim, J. O., Kong, I. K. and Ha, Y. L. 2010. Attenuation of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TPA)-induced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inhibition in MCF-10A cells by c9,t11-conjugated linoleic acid. J. Agric. Food Chem. 58, 12022-12030. 

  24. Rakib, M. A., Kim, Y. S., Jang, W. J., Jang, J. S., Kang, S. J. and Ha, Y. L. 2011. Preventive effect of t,t-conjugated linoleic acid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uman mammary epithelial MCF-10A Cells. J. Agric. Food Chem. 59, 4164-4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