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기 아버지에 대한 애착, 성인기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hild-Father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Adulthood on Adult Students' School Adjustment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4, 2012년, pp.1 - 10  

이사라 (세종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복지학과)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ttachment across an individual's lifespa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father attachment in childhood influences adult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ose two variables. Five hund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표상이 성인기의 자아존중감과 성인기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때 아버지와의 애착과 성인기 대학생활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던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연구들(Emmanuelle, 2009; Nam & Park, 2009)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애착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겠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던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연구들(Emmanuelle, 2009; Nam & Park, 2009)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애착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겠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아버지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 한편,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고 있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아버지에 대한 애착,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기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어릴 적 부모와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표상과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529명의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표상이 성인기의 자아존중감과 성인기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때 아버지와의 애착과 성인기 대학생활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영향이 미치는 시점을 성인기전체로 확장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초기의 연구대상이 아닌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즉, 성인들이 대학생활이라는 전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과거 아버지와의 애착경험이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청소년 후기 및 성인기 적응에서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적응과 건강한 발달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Harter, 1990, 1996), 사회생활을 지속해오다가 다시 대학생활을 접하게 되면서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에 아버지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애착의 연속성을 밝혀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이 부모와의 애착에 대한 내적표상과 대학 생활적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영향이 미치는 시점을 성인기전체로 확장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초기의 연구대상이 아닌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즉, 성인들이 대학생활이라는 전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과거 아버지와의 애착경험이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적작업모델은 무엇으로부터 발달하게 되는가? 즉, Bowlby는 사회적 관계에 대해, 사회적 맥락에 있는 중요한 타인들에 대해, 그리고 자아에 대해 발달하는 내적 표상을 묘사하기 위해 내적작업모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내적작업모델은 생애 초기 영아와 애착대상과의 상호작용, 영아의 행동들, 그리고 상대방으로부터 받게 되는 피드백 등의 경험으로부터 발달하게 된다. 이는 애착과 관련된 경험, 감정, 사고를 조직하는 인지구조로서 초기 애착관계의 유형을 토대로 자아와 세상에 대해 형성되는 정신적 표상을 의미한다.
Bowlby는 애착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생애초기 주 양육자와 맺은 애착은 성장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은 물론 이후 다른 사람들과 맺게 되는 관계에 영향을 준다. Bowlby(1977, 1980)는 애착을 인간이 특정한 타인에게 강한 정서적 유대를 갖는 성향으로 정의하면서, 영아기에 주 양육자와 형성한 애착관계가 훗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내적작업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즉, Bowlby는 사회적 관계에 대해, 사회적 맥락에 있는 중요한 타인들에 대해, 그리고 자아에 대해 발달하는 내적 표상을 묘사하기 위해 내적작업모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성인기에서도 어릴 적 아버지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는 성인기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성인들이 다시 대학생활로 전환할 때 적응적인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아버지와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표상, 자아존중 감, 그리고 학교적응의 관계를 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각 하위변인 간 많은 변인들 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Nam & Park, 2009; Smokowski et al., 2009)과 일치하는 것으로 아버지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는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개인의 바람직한 환경적응에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인기에서도 어릴 적 아버지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는 성인기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성인들이 다시 대학생활로 전환할 때 적응적인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insworth, M. D. S. (1991). Attachment and other affectional bonds across the life cycle. In C. M. Parkes, J. Stevenson-Hinde, & P. Marris (Eds.), A attachment across the life cycle. New York, NY: Routledge. 

  2. Baik, J-S. (2000). Attachment to parents: Relationship to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8(1), 127-137. 

  3. Banpo Multi-Social Service Cent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actice Social Welfare Studies. (2007). Social welfare scale for practitioner and researcher. Seoul: Sharing House. 

  4.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 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226-244. 

  5. Bowlby, J. (1977).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0, 201-210. 

  6.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 New York: Basic Books. 

  7. Bringle, R. G., & Bagby, G. J. (1992). Self-esteem and perceived quality of romantic and family relationships in young adult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6, 340-356. 

  8. Buck, F., & Seiffge, K. (2010). Romantic relationships in Intra-ethnic adolescent couples in Germany: The role of attachment to parents,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4(2), 128-135. 

  9.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6- year-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 152-162. 

  10.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644-663. 

  11. Deborah, L., & Gustavo, C. (2004).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maternal and paternal support and control to adolescent social competence, selfworth, and sympath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6), 759-782. 

  12. Do, K-H. (2008). A study of father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5), 861-872. 

  13. Emmanuelle, V. (2009). Inter-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self-esteem and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5(2), 91-99. 

  14. Harter, S. (1990). Causes, correlates, and the functional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R. J. Sternberg & J. Kolligian (Eds.), Competence considered (pp. 67-97).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5. Harter, S. (1996). Historical roots of contemporary issues involving self-concept. In B. A. Bracken (Ed.), Handbook of self-concept: Developmental, social, and clinical considerations (pp. 1-37). New York: Willey. 

  16. Hazan, C., & Shaver, P. R. (1987). Conceptualizing romantic love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17. Hiester, M., Nordstrom, A., & Swenson, L. (2009). Stability and change in parental attachment and adjustment outcomes during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0(5), 521-538. 

  18. Hong, S-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8. 

  19. Kang, J-K., & Choi, H-K. (2001). Mental representations of parents in childhood, self-model in adolescence, and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4(3), 1-24. 

  20. Kim, C-H. (2006). How sense of self-identity and selfdefence mechanisms affect college students and catholic seminarians in adjusting themselves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D-I., Kim S-H., Lee G-J., Jung I-H., & Jung J-J. (2004). Child Development and Learning. Seoul: Education Publication. 

  22. Kim, E-K., & Yoo, G-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fathers' attitudes of child rearing.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5(1), 33-43. 

  23. Kim, G-S. (2007). Amos 16.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Korea: Hannarae. 

  24. Lapsley, D. K., Rice, K. G., & FitGerald, D. P. (1990). Adolescent attachment, ident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adaptation hypothesis. Journal of Counselling and Development, 68, 561-565. 

  25. Lee, A., & Hankin, B. (2009). Insecure attachment, dysfunctional attitudes, and low self-esteem predicting prospective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8(2), 219-231. 

  26. Lee, S-R., & Park, H-W. (2005). The influence of attachment with mother on self-concept,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in Korean- Chinese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9), 109-127. 

  27. Levy, K. N., Blatt, S. J., & Shaver, P. R. (1996). Style of romantic attachment and parental representation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8. Mattanah, J. F., Hancock, G. R., & Brand, B. L. (2004). Parental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mediational effec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2), 213-225. 

  29. McCormick, C. B., & Kennedy, J. H. (1994). Parentchild a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 1-18. 

  30.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10). 2010 comprehensive evaluation report on cyber universit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31. Nam, Y-J., & Park, T-Y.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4), 47-71. 

  32. Park, U-I., & Yoo, M-H. (1997).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mother attachment across 3 year period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8(2), 33-46. 

  33. Rice, K. G., Cunningham, T. J., & Young, M. B. (1997). Attachment to pare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well-being: A comparison of black and white late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 89-101. 

  34. Rice, K. G., FitzGerald, D. P., Whaley, T. J., & Gibbs, C. L. (1995).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ling & Development, 73, 463-474. 

  3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strument reproduced with permission of Morris Rosenberg. 

  37. Ryan, N. E., Solbert, V. S., & Brown, S. D. (1996). Family dysfunctio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84-89. 

  38. Sejong Cyber University. (2009). Sejong Cyber University self-evaluation report. Seoul: Sejong Cyber University Press. 

  39. Smokowski, P., Buchanan, R., Bacallao, M. (2009). Acculturation and adjustment in Latino Adolescents: How cultural risk factors and assets influence multiple domains of adolescent mental health.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30(3), 371-393. 

  40. Stephane, D., Catherine F., Caroline, S., & Evelyne, D. (2009). Early adolescent attachment to parents, emotional problems, and teacher-academic worries about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9(5), 743-766. 

  41. Vivona, J. (2000). Parental attachment styles of late adolescents: Qualitie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consequences for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7, 316-329. 

  42. Wartner, U. G., Grossman, K., Fremmer-Bombik, E., & Suess, G. (1994). Attachment patterns at age six in south Germany: Predictability from infancy and implications for preschoo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5, 1014-1027. 

  43. Yoon, S-Y., & Chung, O-B.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Child Studies, 20(2), 10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