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를 위해 PET 기판에 증착한 TiO2 박막의 특성
Properties of TiO2 Thin Films Deposited on PET Substrate for High Energy Density Capacitor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2 no.8, 2012년, pp.409 - 415  

박상식 (경북대학교 나노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O_2$ thin films for high energy density capacitors were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at room temperature. Flexible 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substrate was used to maintain the structure of the commercial film capacitors. The effects of deposition pressure on the cryst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밀도 캐패시터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10~50 µm 두께의 유연성을 갖는 PET 기판위에 세라믹 유전체인 TiO2박막을 스퍼터 증착법에 의해 증착하여 종래의 필름캐패시터의 구조를 유지 하면서 TiO2박막으로 구성된 캐패시터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ET 기판위에 TiO2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증착하고, 제조시 증착압력을 변수로 하여 이에 따른 성장거동과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온에서 PET에 증착한 TiO2박막은 증착압력과 무관하게 비정질로 성장하였고, 증착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거칠기가 3~1 nm의 범위에서 작아지고 치밀한 미세 구조로 변화하였다.
  • 7 × 10−9A 값을 보였다. 유전손실과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증착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TiO2막의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최근의 환경 및 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수요가 증가 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나 태양광발전, 풍력발전용의 인버터기기에는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가 필수적이 되었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전력전자, 펄스파워 등의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의료용의 제세 동기(defibrillator), 펄스파를 사용하는 군사용무기체계, 항공우주분야 등의 전원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1-3) 동분 야에 현재 사용되는 파워용 캐패시터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와 PP(Polypropylene)와 같은 폴리머 유전체를 사용하는 범용 필름 캐패시터가 사용되었으나 PET와 PP와 같은 유전체는 유전율이 2~3의 낮은 값을 가지고 있어4) 고에너지밀도를 구현하기엔 한계가 있다.
캐패시 터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85 × 10-12 F/m), ε r 는 유전체의 유전율, Eb는 유전체의 절연파괴강도(V/m)이다. 따라서 캐패시터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기 위해서는 높은 유전율과 절연파괴강도가 필요하다. 다양한 유전체중 TiO2는 약 100정도의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과 100 kV/cm 이상의 높은 절연파괴강도를 보이기 때문에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에의 적용을 위한 유전체로 관심을 받아왔다.
현재 사용되는 파워용 캐패시터에는 무엇이 사용되었는가? 최근의 환경 및 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수요가 증가 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나 태양광발전, 풍력발전용의 인버터기기에는 고에너지밀도 캐패시터가 필수적이 되었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전력전자, 펄스파워 등의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의료용의 제세 동기(defibrillator), 펄스파를 사용하는 군사용무기체계, 항공우주분야 등의 전원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1-3) 동분 야에 현재 사용되는 파워용 캐패시터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와 PP(Polypropylene)와 같은 폴리머 유전체를 사용하는 범용 필름 캐패시터가 사용되었으나 PET와 PP와 같은 유전체는 유전율이 2~3의 낮은 값을 가지고 있어4) 고에너지밀도를 구현하기엔 한계가 있다. 캐패시 터의 에너지밀도는 아래 (1)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 Jayalakshmi and K. Balasubramanian, Int. J. Electrochem. Sci., 3, 1196 (2008). 

  2. R. Vazquez-Reina, S. Chao, V. Petrovsky, F. Dogan and S. Greenbaum, J. Power Sourc., 210, 21 (2012). 

  3. K. R. Bray, R. L. C. Wu, S. Fries-Carr and J. Weimer, Thin Solid Films, 518, 366 (2009). 

  4. A. Nishino, J. Power Sourc., 60, 137 (1996). 

  5. S. Chao and F. Dogan, Int. J. Appl. Ceram. Tech., 8(6), 1363 (2011). 

  6. C. R. Martins, Y. M. de Almeida, G. C. do Nascimento and W. M. de Azevedo, J. Mater. Sci., 41, 7413 (2006). 

  7. K. N. Pandiyaraj, V. Selvarajan, M. Pavese, P. Falaras and D. Tsoukleris, Curr. Appl. Phys., 9, 1032 (2009). 

  8. K. O. Awitor, A. Rivaton, J. L. Gardette, A. J. Down and M. B. Johnson, Thin Solid Films, 516, 2286 (2008). 

  9. L. T. Lamont and A. Lang, J. Vac. Sci. Tech., 7, 198 (1970). 

  10. Y. Zhao, Y. Qian, W. Yu and Z. Chen, Thin Solid Films, 286, 45 (1996). 

  11. J. Guillot, F. Fabreguette, L. Imhoff, O. Heintz, M. C. Marco de Lucas, M. Sacilotti, B. Domenichini and S. Bourgeois, Appl. Surf. Sci., 177, 268 (2001). 

  12. J. Jun, J. H. Shin and M. Dhayal, Appl. Surf. Sci., 252, 3871 (2006). 

  13. P. M. Kumar, S. Badrinarayanan and M. Sastry, Thin Solid Films, 358, 122 (2000). 

  14. V. M. Ferreira, J. L. Baptista, S. Kamba and J. Petzelt, J. Mater. Sci., 28, 5894 (1993). 

  15. M. Takeuchi, T. Itoh and H. Nagasaka, Thin Solid Films, 51, 83 (1978). 

  16. M. D. Stamate, Appl. Surf. Sci., 218, 318 (2003). 

  17. R. C. Pullar, S. J. Penn, X. Wang, I. M. Reaney and N. McN. Alford, J. Eur. Ceram. Soc., 29, 41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