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엔기후변화협약회의(UNFCCC)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의 부족한 경제성 확보 및 개발도상국으로의 확대의 하나의 방편으로 CCS를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로 수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2005년부터 진행되었다. CCS의 CDM 수용과 관련하여 CCS 기술보유국 및 산유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의견차이로 인하여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논의가 거듭되다, '10.12월 칸쿤 회의결과, CCS의 CDM 수용 가능성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졌다(CMP[2010], Decision7/CMP.6). 당시 당사국들은 CCS의 CDM 수용을 위해 방식 및 절차에 관련한 주요 이슈, 즉, 1) 저장지 선정, 2) 모니터링, 3) 모델링, 4) 경계, 5) 누수 측정 및 계산, 6) 월경 효과, 7) 연계프로젝트 배출 계산, 8) 위해성 및 안전성 평가, 9) CDM 체제하의 책임 등에 대한 합의를 우선 요구하였으며, 동기간 동안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SBSTA)에서는 의견 교환 및 워크숍 개최 등을 통해 방식 및 절차에 대한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 초안을 바탕으로 '11년 12월 남아공 더반 회의에서 마침내 CCS기술을 CDM으로 수용키로 최종 합의하였다(CMP[2011], Decision-/CMP.7). CCS의 CDM 수용은 단순히 경제적 인센티브의 제공이라는 의미를 넘어 CCS 기술이 국제사회에서 이산화탄소 저감기술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국내의 관련 기술 및 산업뿐만 아니라 법 정책적 측면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이슈들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가 계획하고 있는 CCS 실용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정책적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다. 금번에 채택된 CCS기술의 CDM 체제 방식 및 절차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같은 비부속서 I 당사국도 방식 및 절차에서 제시한 법 제도를 수립할 경우 CCS CDM 사업 활동 수행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상위법인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어 있으나 CCS CDM 방식과 절차에서 요구하고 있는 세부 법 제도 프레임웍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포집, 수송, 저장 분야 별로 관련법 개정을 통해 CCS CDM 기반 조기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단일법 제정을 포함한 CDM 체제 하의 CCS 사업관련 종합적 법제도 기반을 준비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dioxide, emitted by human activiti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s regarded as a major contributor of global warming. There are many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and carbon dioxide capture and geological storage (CCS) is recognized as one of key technologies because it can redu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많은 당사국에서 현존하는 CCS 프로젝트 규정 제정에 있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저장 부지의 소유권이 국가로 이전되고 있음을 주지하며, 일부의 경우 폐쇄 이후나 누수의 위험이 매우 적을 때 책임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이번에 합의된 CCS기술의 CDM 체제 방식 및 절차에서 책임은 투자유치국으로 이전되기 이전에는 사업 참여자가, 그 이후에는 투자유치국에 책임이 있다고 명시하였다. 그리고 사업 참여자에서 투자유치국으로의 책임 이전 시기를 모니터링 종료 조건에 따라 지질 저장 부지의 모니터링이 종료된 이후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국내 법·제도를 제정할 시에 책임 이전의 조건을 분명히 하여, 사업 참여자와 CDM 사업 유치 국가의 책임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 또한, 국제 수역(international waters)에 위치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하였는데, 본 사안과 관련하여서는 다음 제 8차 CMP에서 고려하기로 합의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Tabl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저장지 선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질 저장 부지의 특성화 및 선정 수행시,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지질공학적, 지구화학적, 수리지질학적 정보 등 넓은 범위의 데이터와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그리고 CCS 사업 활동을 통해 발급된 CERs과 관련하여 CCS 사업의 영구성과 연관하여 누출이 일어났을 경우 발급한 CERs을 취소하고, 행정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간구한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 밖에 성공적인 CCS 사업 활동을 위해 기술적인 부분-저장부지 선정, 위해성 및 안전성 평가, 모니터링, 재정조항, 책임, 환경 및 사회-경제적 영향평가-에 대한 부분도 각 당사국이 참고하여 법 및 규제체제를 정립할 수 있도록 부록으로 작성하여 채택하였다. 이로써, CCS 사업이 타 사업과 더불어 CDM 체제하에 정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국제적 프레임워크가 세워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 6을 통해, CCS를 청정개발체제로 수용 가능한 것으로 논의 되었다(CMP[2010]). 이 회의에서 CCS 기술의 CDM 체제로의 수용이 적절하다는 것에 합의하였으나 수용에 앞서 그동안 논의되어온 여러 이슈들에 대한 합의를 우선사항으로 제시하였다. 주요 이슈들로는 저장지 선정, 모니터링, 모델링, 경계, 누수 측정 및 계산, 월경 효과, 연계프로젝트 배출 계산, 위해성 및 안전성 평가, CDM 체제하의 책임 등이 제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맵 시나리오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 시나리오인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블루맵 시나리오(BLUE Map scenario)에 근거하여 2050년까지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가장 비용효율적인 방법들을 통해 절반 가량 감축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감축 기술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블루맵 시나리오란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양을 2005년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인데, IEA는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이 전체 감축량 중 약 19% 정도 기여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IEA[2010]). 이는 CCS 기술이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CCS 기술의 CDM 체제 수용을 찬성하는 국가는 어떠한 국가들인가? 그러나 CCS 기술의 CDM 체제 수용은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사이의 상이한 이해관계에 의해 쉽게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수년에 걸쳐 논의를 계속하였다(허 등[2011]). 수용을 찬성하는 국가는 CCS 기술 개발에 주도적인 선진국 및 유·가스전을 가지고 있는 산유국들이다. 이들은 CDM 체제를 통해 CCS 기술에 의해 저감된 CO2를 탄소시장에서 온실가스 배출권(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CERs)으로 인정받음으로써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제공 받기 위해 CDM 체제 수용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CDM 체제에서 가장 핵심이 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앞서 기술한 것처럼 CCS 기술의 CDM 체제 수용과 관련하여 당사국들이 쉽게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오랜 시간에 거쳐 논의를 거듭한 것에는 CCS 기술이 CDM 체제에 적절한지 여부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이었다. CDM 체제에서 가장 핵심이 된다고 볼 수 있는 CERs의 발급으로 볼 수 있는데, CDM 체제를 통해 발급된 CERs이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에 사용되는 만큼 CCS 기술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영구적 감소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CCS 기술의 CDM 체제 수용은 지중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대기로부터 영구적으로 격리되었다는 증거가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성길, 허 철, 2008, "해저 지질구조내 CO2 저장기술의 연구개발동향 및 향후 국내 실용화 방안", J. KOSMEE, Vol.11, No.1, 24-34. 

  2. 녹색성장위원회, 2009, 국가 온실가스 중기 감축목표('9.11 국무회의). 

  3. 에너지관리공단, 2009, 기업을 위한 CDM 사업 지침서, 에너지관리공단, 152. 

  4. 임효숙, 윤순진, 2009, "청정개발체제(CDM)에 대한 평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ECO, Vol.13, No.2, 141-174. 

  5. 허 철, 강성길, 주현희, 2011, "이산화탄소 포집 및 지중저장(CCS) 기술의 청정개발체제(CDM)로의 수용 여부에 대한 정책적 고찰: 지중저장과 관련된 이슈 및 대응방안", J. KOSMEE, Vol.14, No.1, 51-64. 

  6. CMP, 2005, Further Guidance Relating to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Decision 7/CMP.1, UNFCCC. 

  7. CMP, 2010,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activities, Decision 7/CMP.6, UNFCCC. 

  8. CMP, 2011, Modalities and procedures for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activities, Decision-/CMP.7, UNFCCC. 

  9. IEA, 2009, Technology Roadmap-Carbon Capture and Storage, IEA. 

  10. IEA, 2010,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IEA. 

  11. IPCC, 2005,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OECD/IEA, 2011, Caborn Capture and Storage Legal and Regulatory Review, Edition 2. 

  13. UNFCCC, 2010a,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Activities, FCCC/SBSTA/2010/L.11, UNFCCC. 

  14. UNFCCC, 2010b, Views Related to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a Possible Mitigation Technology, FCCC/SBSTA/2010/Misc.2, UNFCCC. 

  15. UNFCCC, 2010c, Views Related to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a Possible Mitigation Technology, FCCC/SBSTA/2010/Misc.2/Add.1, UNFCCC. 

  16. UNFCCC, 2011a, Views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activities, FCCC/SBSTA/2011/MISC.10, UNFCCC. 

  17. UNFCCC, 2011b, Report on the technical workshop on modalities and procedures for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n geological formations 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activities, FCCC/SBSTA/2011/INF.14, UNFCC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