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침선소품의 조형적 형태미를 기반으로 한 텍스타일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nd Design Contents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Based on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Sewing Craf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4, 2012년, pp.485 - 499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designs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that can communicate the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this end, motives and printing patterns were created based on the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sewing crafts. A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d to identify characteri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규방문화를 통해 이루어진 침선활동은 가지각색의 침선소품들을 탄생시켜 우리 고유의 수공예적인 공예문화의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내재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침선소품 고유의 형태를 통해 현대적인 감각의 독창적인 모티브로 전개할 수 있는 무한한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문양화 하고 직물디자인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내재한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과거 전통 공예품에 치우친 문화상품으로의 전개나 복식의 문양, 색채를 활용한 문화상품전개, 또는 복식 이외의 전통 문화적 요소를 이용한 문화상품 전개가 아닌 전통침선소품의 형태적 원형을 살려 전통미를 내재함과 동시에 현대적인 감각의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전통규방문화에 대한 가치를 재조명하고, 보다 독창적인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전개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전통침선소품의 디자인적 가치를 이해하고, 전통침선소품의 형태적 조형미를 살려 모티브와 문양패턴을 제작하여 한국전통문화가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4와 Adobe Photoshop CS4를 이용하여 전통침선소품 형태를 이용하여 모티브 화하고, 이를 손수건, 티셔츠, 넥타이, 파우치 및 핸드백에 적용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전통침선소품의 형태미를 재조명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및 패션문화 상품 디자인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규방문화를 통해 이루어진 침선활동은 가지각색의 침선소품들을 탄생시켜 우리 고유의 수공예적인 공예문화의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내재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침선소품 고유의 형태를 통해 현대적인 감각의 독창적인 모티브로 전개할 수 있는 무한한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규방 문화가 다른 조형예술 분야와 구분되는 특징은 무엇인가? 특히 조선시대의 사회, 문화,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자적이고 독특한 조형미를 형성한 규방 문화는 그 시대의 다른 조형예술 분야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여성 특유의 장식성과 다채로운 색채감각을 나타낸다(Kim & Kim, 2009). 규방문화 중에서도 유독 여인들의 침선활동은 침선소품 유물들을 탄생시켜 오늘날까지도 독특한 조형미를 전해주고 있으며, 문화상품으로서의 무한한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다.
오랫동안 형성된 전통문화로부터 얻은 고유한 이미지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문화의 세기라고 일컬어지는 오늘날 많은 나라들이 자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바탕으로 한 문화산업 및 문화콘텐츠 개발에 열중하여 국가의 문화적 이미지 제고 및 핵심전략산업으로까지 확대시켜 나아가고 있다. 한 민족의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전통문화로부터 얻은 고유한 이미지는 타문화와 구별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소재이며, 특히 각 민족 특유의 전통복식은 한 민족의 미의식이나 생활의 여건과 감정, 정신적 가치 등을 반영하며, 독특한 조형미로 디자인적 측면에서 그 어떤 것보다도 독특하고 차별화된 조형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복식문화의 바탕에는 규방문화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침선소품들 또한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규방 문화 중에서 침선활동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특히 조선시대의 사회, 문화,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자적이고 독특한 조형미를 형성한 규방 문화는 그 시대의 다른 조형예술 분야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여성 특유의 장식성과 다채로운 색채감각을 나타낸다(Kim & Kim, 2009). 규방문화 중에서도 유독 여인들의 침선활동은 침선소품 유물들을 탄생시켜 오늘날까지도 독특한 조형미를 전해주고 있으며, 문화상품으로서의 무한한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침선 소품의 다양한 종류 및 여기에 표현된 문양들은 조선시대 여인들의 삶과 정신세계, 미의식의 표현물인 동시에 민족 고유의 독창적 미의식을 정서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매개가 된다는 점에서 소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전통문화 및 그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복식과 공예분야에서 바느질 도구와 소품에 대한 선행 연구(Choi, 2003; Chung, 1998; Hong, 1972; Kang & Kwan, 2003; Kim, 1986; Kim, 2003; Kwan, 2009; Lee, 2002; Park, 1985; Park, 1986; Shin, 2010)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복식사적 측면에서의 연구나 작품재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조형성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전통침선의 형태미를 모티브로 한 텍스타일디자인이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 pouch(2011, May 20). Daum encyclopedi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_Id10011513&modetitle&query%C1%D6%B8%D3%B4 %CF 

  2. A thimble(2011, May 20). Daum encyclopedi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Id10006291&modetitle&query%3Cb%3E%B0%F1%B9 %AB%3C%2Fb%3E&dircode0 

  3. Bobbin(2011, May 2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archive.nfm.go.kr/Search/sub_search.jsp?contentssearch_end.jsp?query999999-1777&type1&sTypephoto&pContentssearch_picture.jsp&pPa ge_num null&pQuery실패 

  4. Choi, J. I.(2003).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Korea traditional beauty and traditional women's craft(Gyubang Gong-Ye): Focused on the textil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5. Chung, B. R.(1998). A study on the ornaments using needlework in the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6. Han, Y. W.(1996). Traditional embroidery. Seoul: Daewonsa. 

  7. Heo, D. H.(1998). Our Gyubang culture. Seoul: Hyeonamsa. 

  8. Hong, S. D.(1972). A study on Korea sewing t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Kang, J. H., & Kwon, Y. S.(2003). Sensibility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4), 1-16. 

  10. Kim, M. O.(1986). A study on the spool of Chosun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1. Kim, B. K.(2003). Study on traditional sewing in Gyubang cra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12. Kim, E. K., & Kim, Y. I.(2009).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found in the Gyubang culture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3), 109-130. 

  13. Kim, E. Y.(1997). The traditional Korean knot. Seoul: Daewonsa. 

  14. Kim, J. Y., & Kim, M. J.(2000). Crafts of Gyubang. Seoul: Cultureline. 

  15. Kwan, S. Y.(2009). Formative features of women's embroidered handicrafts of the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Jeju. 

  16. Lee, M. S.(2002). A study on the Gyubang culture and sewing craft-works in the Chosu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7. Needle keeper & needle cushion(2011, May 2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archive.nfm.go.kr/Search/sub_search.jsp?contentssearch_picture.jsp&detailnone&select_type1&query%EB%B0%94%EB%8A%98%EC%A7%91%EA%B3%BC+%EB%B0%94%EB%8A%98%EA%BD%82%EC%9 D%B4# 

  18. Park, I. J.(1986). A study on the decorated needle keeper and needle cushion in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Park, S. M.(1985). A study of the thimbl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 Seok, J. S.(1971). History of Korean costume. Seoul: Bojinjae. 

  21. Sewing(2011, May 20).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2. Sewing basket(2011, May 2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www.nfm.go.kr/nfm.dasen?cmdmuseum-view&ac1137 

  23. Sewing box(2011, May 2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www.nfm.go.kr/_Upload/BALGANBOOK/362/08.pdf 

  24. Shin, M. J.(2010).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the symbol in needlework props of lady's room in the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5.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1997). 2,000 years of Korean costume. Seoul: Shinyu. 

  26. Thimble(2011, May 2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trieved May 20, 2011, from http:// www.nfm.go.kr/nfm.dasen?cmdmuseum-view&ac1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