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문화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한국전통문양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6 = no.165, 2007년, pp.985 - 996  

현선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배수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통문양의 문헌고찰 및 활용 사례의 분석을 통해 활용되는 문양의 종류와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패션문화상품의 전통문양활용 실태를 토대로 문양의 상징성을 적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함으로써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발전적 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패션문화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문화상품을 광범위한 패션의 일부로 간주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최근 3년 동안 S/S 시즌의 패션트렌드를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컨셉을 설정하였다 둘째, 패션문화상품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문양을 중심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문양을 선정하였다. 셋째,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템을 선정하고, 전통문양의 상징적 의미에 따라 아이템의 문양을 선정하였다. 넷째, 텍스타일 디자인에 활용할 모티브를 발췌하여 패턴의 배열방법에 따라 전개하였다. 끝으로, 전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은 텍스타일 CAD(Tex pro)와 Illustrator 10을 활용하여 아이템별 도식화에 적용하고, 이미지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통문양을 이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은 전통 문양 의미적 측면 외에 문양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를 적용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미의식에 대한 이해와 철학적 접근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전통공예품이나 민예품에 사용되어 오면서 소비자에게 진부한 문양으로 인식된 전통문양은 형태를 변형하거나 간결한 형태로 단순화하여 이미지를 강조하고, 트렌드를 반영한 스타일 및 색채의 적용으로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재창조될 수 있다. 셋째, 전통 문양을 응용한 디자인은 표현기법과 제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와 시각적 효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활용범위가 확대되어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다. 넷째, 패션문화상품에서의 전통문양은 우리 고유의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로 활용될 수 있어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영감의 원천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개발을 위해서는 전통문양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접근과 시도가 이루어져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mbolism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which reflect an emotional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people, to apply modernized and developed patterns to Textile Design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o explore productive direction of developing desig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patterns and their symbolic significa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o attempt textile designs which applied traditional patterns associated with their symbolic significance based on the use of traditional patterns, and search for the expanded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 In this study, to develop textile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shown in , patterns for textile design were selected based on frequently used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applied to items in the consideration of their symbolic significance.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types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response to the need of the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By attempting textile designs based on this analysis, expanded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were examin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Park, O. M. & Jeong, W. H. (2003). A study on the modem interpretation and a symbol of traditional pattern on scar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9(2), 69-80 

  2. Lee, J. H. & Kim, M. J.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igh-value-added cultural fashion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968-977 

  3. The Culture and Tourism Ministry. (1998). A study on improvements and boost of fashion merchandise based upon the Korean culture. Seoul: The Culture and Tourism Ministry 

  4. Jung, O. S. G. (2001). A study on the market condition in the domestic tour shopping goods and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ture- related fashion items by vendors in the fous of insadong and itaew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cheon 

  5. Seo, H. H. (2001). The study on development of cultural merhandise using fabric material-based on Korean traditional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raft, 4(1) 47-49 

  6. Kim, H. K. & Jung, S. I. (2000). The study on cap design for developing tourist souvenir - Applying traditional bat motif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8),1209-1219 

  7. Fashion Trend. (2005 S/S-2007 S/S). Interfashion planning. Retrieved March 13, 2006, from http://www.ifp.co.kr 

  8. Chang, S. K. (1994),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ir typ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 284-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