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주거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mpact on Changes in Residential Communiti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with Art Programs - Focused on Cheong-ju Sajik 2-dong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4, 2012년, pp.69 - 76  

최민경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황희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권정주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importance levels and also an AHP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from Aug 2011 through Feb 2012) carried out in the Sajik 2-dong in the City of Cheong-ju. By quantitatively eliciting the effect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use art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의 효과 및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 예술매개 프로그램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고 모니터링 한 자료를 기반으로, 예술매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거공동체 의식변화에 미친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시행하여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1년 8월과 2012년 2월에 시행된 청주시 사직2동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주거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주민 자력형 도시재생사업의 목적으로 청주시 사직2동에서 시행된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주거공동체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직2동의 지역주민, 예술상회 예술인, ‘지역특화 및 상권 활성화 추진협의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중요도 분석 및 AHP 분석을 통해 정량화된 영향력 값을 산출하였다.
  • 이를 위해 모니터링 지표와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 간 중요도 분석과 AHP 분석을 활용해 예술매개 도시 재생 사업이 주거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추진 결과가 주거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청주시 사직2동에 적용된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주거공동체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예술 공간을 조성하여 도시재생을 도모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는? 청주시 사직2동은 국가 R&D 연구 목적으로 문화·예술 공간을 조성하여 도시재생을 도모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곳은 상권쇠퇴와 인구 감소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난 지역으로, 2008년 재개발 구역의 지정·고시와 함께 재개발 조합이 출범하여 주민동의, 정비 계획 및 설계, 시공사 선정단계까지 사업추진이 진행되었었다.
도시 내부 공간구조 개편과 서비스향상을 통한 재활성화로인한 단점은?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는 기존 시가지의 물리적·사회적 쇠퇴로 도시 내부 공간구조 개편과 서비스향상을 통한 재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건축·재개발·재정비촉진사업 등이 성행하였지만, 기존시설의 전면 철거와 사업성 위주의 개발로 지역 커뮤니티 해체를 비롯한 많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Hwang, 2011).
예술매개를 통한 쇠퇴지역 활성화 사업은 어떤식으로 이루어지는가?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역주민은 물리적 개발에 의한 도시정비 방식에서 벗어나 주민 스스로 주체가 되어 지역의 역량을 강화하고 쇠퇴지역을 활성화 하는 지역 자력형 도시재생을 적극 시도하고 있다. 특히, 예술매개를 통한 쇠퇴지역 활성화 사업은 주민이 스스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지역 커뮤니티를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지역 자력형 도시재생사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예술매개를 통한 쇠퇴지역 활성화 사업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미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도시재생사업단 (2012. 2). 창원테스트베드 기법 적용 연구 (도시재생사업 제2단계 연구보고서 No. 07도시재생B01). 경기: 도시재생사업단 

  2. 주관수 (2008). 도시정비에서 도시재생으로: 재개발의 패러 다임 전환을 위하여. Huri Focus, 27, 1-47. 

  3. 황희연 (2011). 도심쇠퇴지역 주민의 주민참여형 재생방안과 청주 중앙동 적용사례. BK21+NRL 국제 심포지움, 청주. 

  4. Atkinson, R., & Helms, G. (2007). Securing an Urban Renaissance: Crime, Community, and British Urban Policy. Brisrol: Policy Press. 

  5. Bea, S. (2007). A study on the urban revitalization by art culture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ong-Ik, Seoul. 

  6. Cho, S., & Lee, T. (2010). A preliminary study on the measure of sense of community in apartment.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0. 

  7. Chun, H. (2008). A study on examples urban regeneration infused by cultural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ong-Ik, Seoul. 

  8. Hong, E. (2012). A comparativ study on charateristic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s between Korea and England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buk National, Cheongju. 

  9. Jang, W., & Moon, S. (2010). A study on possibility of social enterprise as a main participant in urban renaiss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Business Link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al Information Association, 12(2), 45-69. 

  10. Jeong, Y. (2012). Analysis of the value of arts urban regeneration program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buk National, Cheongju. 

  11. Kim, G. (2011). A study on activation of cultural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onnam, Gwangju. 

  12. Kim, N. (2009). An analysis of economic impacts of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urban rehabilitation project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6), 89-103. 

  13. Kim, N., Kim, Y., Seo, I., & Jeong, G. (2010). An analysis on the changes and impacts of industrial structur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ournal of Residention Environment, 8(2), 15-24. 

  14. Kwon, J. (2012).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the governance participa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Jungang-dong, CheongJu-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2), 285-304. 

  15. Moon, J. (2008). Study on stimulation of regions through art & cultural sp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16. Lim, K. (2010). An analysis of the clusterization process in UK urban regeneration partnership.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5), 277-284. 

  17. Park, C., & Oh, D. (2004). A study on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downtown regeneration of foreign countr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5), 25-38. 

  18. Park, E. (2009). Creative urban regeneration by forming creative districts and expanding urban cultural space. Journal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2(1), 26-42. 

  19. Park, K., Baek, H., & Seo, S. (2001).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he Community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Research Rep. No. 2001-54). Seongnam: Housing Corporation for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 Roberts, P., & Sykes, H. (2000).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s. 

  21. Shin, H. K., Lee, J., & Jo, I. (2010). A study on the residents' need of program for community ac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33-40. 

  22. Song, S., & Jang, H.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scheme of the system for regional medium and small cities' vitalization in Korea.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28, 208-227. 

  23. Yoo, D., & Baek, H. (2011). Study on the ways of Pocheon inner city revitalization: Strategies of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n Governance Review, 18(1), 117-140. 

  24. Youm, C. Tchah. C., & Park, I. (2008). Study on Methods of Building a Local Based Support Network for Architectural and Urban Programs and Revitalizing Its Coordinator Function: Focusing on Support System Construction For Capacity Strengthening of Local Goverments (Research Rep. No. 2008-10). Anyang: AURI. 

  25. http://kourc.or.kr/tb/jsp/index.js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