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1년 봄 황사시기 제주도 고산에서의 황사와 오염입자의 광흡수 기여도 산정
Estimation of the Light Absorption Contribution for Asian Dust and Polluted Particles at Gosan, Jeju during the Asian Dust Episode in the Spring 2011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8 no.4, 2012년, pp.411 - 422  

이시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상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윤순창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based in-situ measurements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at Gosan climate observatory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optical contribution of Asian dust and polluted particles on light absorption in springtime 2011. During the Asian dust episode, the contribution of Asian dust particl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거리 이동하여 제주 고산에 도달한 황사와 오염 입자의 광학 특성 중 태양복사의 흡수에 기여하는 광흡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3.
  • 참고로 기상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고산의 황사 발생일은 2011년 5월 12일과 13일이었다. 황사 발생시 Si, Ca, K, Mg 등을 비롯한 지각 물질(crustal material)을 구성하는 원소 성분의 농도와 무기이온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실시간 화학조성 분석이 가능한 PILS(particle-into-liquid sampler)나 AMS(aerosol mass spectrometer) 자료 등이 있으면 좀 더 명확히 황사 사례를 구분해 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화학분석 자료 없이 광학 측정 자료만으로 황사와 오염 사례를 구분하고, 각 사례별 광흡수와 관련된 에어로졸의 광학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장거리 이동하는 에어로졸 중 빛을 흡수하는 대표적 입자인 블랙카본, 브라운카본으로 불리며 빛을 흡수하는 유기탄소, 철을 포함한 황사 입자에 의한 광흡수 기여도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황사 사례 때 500 nm 파장대에서 황사입자의 광흡수 도는 11~23%를 차지하였으며, 브라운카본과 블랙 카본의 광흡수도가 약 80%를 차지하면서 탄소 입자의 광흡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그림 6에서 각 화학종의 광합수 효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화학성분별 광흡수도는 다음과 같은 식 (1) 에 의해 구해졌다. 이 때, 에어로졸에 의한 광흡수는 대부분 황사입자, 블랙카본 (본 연구에서는 원소탄소를 이용해 광흡수도를 계산), 브라운카본 (본 연구에서는 유기탄소 중 광흡수를 일으키는 탄소 지칭)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의 입경은 어떻게 되는가? , 2008). 황사의 입경은 0.1 μm에서 100 μm 이상까지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큰 입자들은 배출원 근처에서 침적되고 10 μm보다 작은 입자들만이 장거리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osmüller et al., 2009).
동아시아의 황사는 언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어떠한가? , 2004). 지금까지 동아시아 황사는 주로 봄철에 발생한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인공위성이나 지상 라이다 관측 등을 통해 지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상층으로 지나가는 황사까지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겨울의 황사 발생 빈도 역시 적지 않음이 밝혀졌다(Kim et al., 2010).
황사는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황사는 다양한 점토(clay) 성분(예를 들어, kaolinite, illite, montmorillonite) 및 방해석 (calcite), 석고 (gypsum), 적철광(hematite) 등과 같은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고, 종종 80~100 μm 정도의 크기를 가진 입자들과 혼합되어 지표 토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Curtis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ng, Y., K.-B. He, M. Zheng, F.-K. Duan, Z.-Y. Du, Y.-L. Ma, J.-H. Tan, F.-M. Yang, J.-M. Liu, X.-L. Zhang, R.J. Weber, M.H. Bergin, and A.G. Russell (2011) Mass absorption efficiency of elemental carbon and water-soluble organic carbon in Beijing, China, Atmos. Chem. Phys., 11, 11497-11510. 

  2. Chung, C.E., K. Lee, and D. Muuller (2012a) Effect of internal mixture on black carbon radiative forcing, Tellus B, 64, 10.3402/tellusb.v64i0.10925. 

  3. Chung, C.E., S.-W. Kim, M. Lee, S.-C. Yoon, and S. Lee (2012b) Carbonaceous aerosol AAE inferred from in-situ aerosol measurements at the Gosan ABC supersite, and the implications for brown carbon aerosol, Atmos. Chem. Phys., 12, 6173-6184. 

  4. Clarke, A.D. and R.J. Charlson (1985) Radiative properties of the background aerosol - Absorption component of extinction, Science, 229(4710), 263-265. 

  5. Clarke, A.D., C. McNaughton, V. Kapustin, Y. Shinozuka, S. Howell, J. Dibb, J. Zhou, B. Anderson, V. Brekhovskikh, H. Turner, and M. Pinkerton (2007) Biomass burning and pollution aerosol over North America: organic components and their influence on spectral optical properties and humidification response, J. Geophys. Res., 112, D12S18, doi:10.1029/2006JD007777. 

  6. Clarke, A.D., Y. Shinozuka, V.N. Kapustin, S. Howell, B. Huebert, S. Doherty, T. Anderson, D. Covert, J. Anderson, X. Hua, K.G. Moore II, C. McNaughton, G. Carmichael, and R. Weber (2004) Size distributions and mixtures of dust and black carbon aerosol in Asian outflow: Physiochemistry and optical Properties, J. Geophys. Res., 109, D15S09, doi:10.1029/2003JD004378. 

  7. Curtis, D.B., B. Meland, M. Aycibin, N. P. Arnold, V.H. Grassian, M.A. Young, and P.D. Kleiber (2008) A laboratory investigation of light scattering from representative components of mineral dust aerosol at a wave-length of 550 nm, J. Geophys. Res., 113, D08210, doi:10.1029/2007JD009387. 

  8. Hand, J.L. and S.M. Kreidenweis (2002) A new method for retrieving particle refractive index and effective density from aerosol size distribution data, Aerosol Sci. Technol., 36, 1012-1026. 

  9. Hansen, A.D.A. (2005) The Aethalometer - User Manual, Magee Scientific Company, California USA. 

  10. Huang, K., G. Zhuang, Y. Lin, J. Li, Y. Sun, W. Zhang, and J.S. Fu (2010) Relation between opt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ust aerosol over Beijing, China, J. Geophys. Res., 115, D00K16, doi:10.1029/2009 JD013212. 

  11. Kim, J., C.H. Jung, B.-C. Choi, S.-N. Oh, F.J. Brechtel, S.-C. Yoon, and S.-W. Kim (2007) Number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during ACE-Asia dust and precipitation events, Atmos. Environ., 41, 4841-4855. 

  12. Kim, S.-W., S.-C. Yoon, A. Jefferson, J.A. Ogren, E.G. Dutton, J.-G. Won, Y.S. Ghim, B.-I. Lee, and J.-S. Han (2005) Aerosol optica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t Gosan, Korea during Asian dust and pollution episodes in 2001, Atmos. Environ., 39, 39-50. 

  13. Kim, S.-W., S.-C. Yoon, J. Kim, J.-Y. Kang, and N. Sugimoto (2010)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Seoul, Korea, during 29-31 May 2008: Analysis of transport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from lidar and surface measurements, Sci. Total Environ., 408, 1707-1718. 

  14. Kirchstetter, T.W., T. Novakov, and P. Hobbs (2004) Evidence that the spectral dependence of light absorption by aerosols is affected by organic carbon, J. Geophys. Res., 109, D21208, doi:10.1029/2004JD004999. 

  15. Knox, A., G.J. Evansa, J.R. Brookab, X. Yaoa, C.-H. Jeonga, K.J. Godria, K. Sabaliauskasa, and J.G. Slowika (2009) Mass absorption cross-section of ambient black carbon aerosol in relation to chemical age, Aerosol Sci. Tech., 43, 522-532. 

  16. Lack, D.A. and C.D. Cappa (2010) Impact of brown and clear carbon on light absorption enhancement, single scatter albedo and absorption wavelength dependence of black carbon, Atmos. Chem. Phys., 10, 4207-4220. 

  17. Lee, S., S.-C. Yoon, S.-W. Kim, Y.P. Kim, Y.S. Ghim, J.-H. Kim, C.-H. Kang, Y.J. Kim, L.-S. Chang, and S.-J. Lee (2012) Spectral dependency of light scattering/ absorption and hygroscopicity of pollution and dust aerosols in Northeast Asia, Atmos. Environ., 50, 246-254. 

  18. Lee, S., Y.S. Ghim, S.-W. Kim, and S.-C. Yoon (2009) Seasonal characteristics of chemically apportioned optical properties at Seoul and Gosan, Korea, Atmos. Environ., 43, 1320-1328. 

  19. Lim, S., M. Lee, G. Lee, S. Kim, S. Yoon, and K. Kang (2012) Ionic and carbonaceous compositions of $PM_{10}$ , $PM_{2.5}$ and $PM_{1.0}$ at Gosan ABC Superstation and their ratios as source signature, Atmos. Chem. Phys., 12, 1-18. 

  20. Moosmuller, H., R.K. Chakrabarty, and W.P. Arnott (2009) Aerosol light absorption and its measurement: A review, J. Quantitative Spectroscopy & Radiative Transfer, 110, 844-878. 

  21. Russell, P.B., R.W. Bergstrom, Y. Shinozuka, A. Clarke, P.F. DeCarlo, J. Jimenez, J.M. Livingston, J. Redemann, O. Dubovik, and A. Strawa (2010) Absorption Angstrom Exponent in AERONET and related data as an indicator of aerosol composition, Atmos. Chem. Phys., 10, 1155-1169. 

  22. Satheesh, S.K., C.B.S. Dutt, J. Srinivasan, and U.R. Rao (2007) Atmospheric warming due to dust absorption over Afro-Asian regions, Geophys. Res. Lett., 34, L04805, doi:10.1029/2006GL028623. 

  23. Schmid, O., P. Artaxo, W.P. Arnott, D. Chand, L.V. Gatti, G.P. Frank, A. Hoffer, M. Schnaiter, and M.O. Andreae (2006) Spectral light absorption by ambient aerosols influenced by biomass burning in the Amazon basin. I: Comparison and field calibration of absorption measurement techniques, Atmos. Chem. Phys., 6, 3443-3462. 

  24. Shin, D.-S., S. Kim, J.-S. Kim, and J.-W. Cha (1999) Aerosol optical thickness of the yellow sand from direct solar radiation at Anmyon island during the spring of 1998, J. Korean Society for Atmos. Environ., 15(6), 739-746. 

  25. Weingartner, E., H. Saathof, M. Schnaiter, N. Streit, B. Bitnar, and U. Baltensperger (2003) Absorption of light by soot particles: determination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by means of aethalometers, J. Aerosol Sci., 34, 1445-1463. 

  26. Yang, M., S.G. Howell, J. Zhuang, and B. J. Huebert (2009) Attribution of aerosol light absorption to black carbon, brown carbon, and dust in China - interpretations of atmospheric measurements during EASTAIRE, Atmos. Chem. Phys., 9, 2035-2050. 

  27. Yue, D., M. Hu, Z. Wu, Z. Wang, S. Guo, B. Wehner, A. Nowak, P. Achtert, A. Wiedensohler, J. Jung, Y.J. Kim, and S. Liu (2009) Characteristics of 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new particle formation in the summer in Beijing, J. Geophys. Res., 114, D00G12, doi: 10.1029/2008JD0108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