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역별 사례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by Geographic Locatio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2, 2012년, pp.289 - 302  

조정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김순옥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송명경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633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assigned from over users of medicaid. We used the need assessment tool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지역 유형에 따라 의료이용 및 의료자원분포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는 수행되었으나(Joo, Kim, Lee, & Min, 1996; Lee, 2005)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지역유형별 의료급여 사례관리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별 특성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도 차이 및 사례관리 효과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사례관리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사례관리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지역별 사례관리 요구도 및 효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노인 고위험군의 사례관리 요구도는 건강 삶의 질, 자가 건강관리 능력 영역에서는 농촌 지역에서 요구도가 높았고, 합리적 의료 이용, 지지체계 영역에서는 대도시, 중소도시 지역에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의료급여 사례관리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지역 유형별 사례관리 요구도 및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 대상자 중 고위험군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 유형에 따른 사례관리 요구도 및 사례관리 효과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 대상자 중 노인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지역별 사례관리 요구도 및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사례관리 운영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사례관리 내용은 의료급여제도 안내, 과다 이용자에 대한 합리적 의료이용 유도, 보건복지 서비스 자원 연계 및 의뢰, 질병에 관한 정보제공, 상담 및 지지 등으로 제공되며, 고위험군의 경우 사례관리 기간은 3개월이며, 4회 이상의 전화와 2회 이상의 직접 방문으로 제공된다. 사례관리 목표는 사례관리 요구도 사정 4개 영역 건강 삶의 질, 자가 건강관리 능력, 합리적 의료이용, 지지체계 구축 요구도 진단에 따른 목표별 지식, 생각, 태도,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활동을 수행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별 특성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도 차이 및 사례관리 효과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사례관리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급여 제도는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가? 의료급여 제도는 저소득 국민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로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들에게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한 의료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안전망으로 평가받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MOHW], 2010).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저소득층으로 교육수준이 낮고 고령자 및 여성 비율이 높으며(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2011; Shin et al.
현재까지 10여 년간 시행해 온 의료급여 사례관리 사업의 한계는 무엇인가? , 2008; Shin, Shin, & Hwang, 2007; Shin, Shin, Hwang, & Rho, 2006) 수급권자의 자가 건강관리능력과 삶의 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Ahn, Kim, & Ko, 2010-a; Lee, Oh, & Choi, 2010)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현재 의료급여 사례관리 사업은 보건복지부의 지침에 의해 일괄적인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효과연구 또한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Ahn 등(2010-b)은 일괄적인 기준보다는 대상자의 개별 특성에 맞는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였고, Kim 등(2010)은 지역에 따른 대상자 특성과 지리적, 문화적 특성, 자원 분포 등의 환경적 특성에 맞는 사례 관리 운영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의료급여 제도는 저소득 국민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로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들에게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한 의료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안전망으로 평가받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MOHW], 2010).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저소득층으로 교육수준이 낮고 고령자 및 여성 비율이 높으며(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2011; Shin et al., 2008), 건강보험 적용자에 비해 중증․복합질환자의 비율이 높다(Shin, Choi, Shin, Hwang, & Yoon, 2005). 또한 자신의 질환에 대한 이해와 건강관리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만성질환 유병 기간이 길고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Song A. R., Ham, O. K., Kim, C. O., Jung, J. A., Bae, I. J., Choi, S. H., Kim, S. O., & Song, M. K. (2011).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for effective medicaid case managemen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Yonsei University. 

  2. Ahn, Y. H., Kim, E, S., & Ko, I. S. (2010-a). The effects of tele-care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medical aid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51-361. 

  3. Ahn, Y. H., Kim, E. S., Jang, S. J., Ham, O. K., Kim, S, H., Kim, S. O., & Song, M. K. (2010-b). The need for case management in medicaid beneficiarie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 Yonsei University. 

  4. Han, H. K., Lee, J. A., & Jung, E. K. (2002). The effect of a coordinating program of health and welfare on th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based on interdisciplinary case management team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8, 61-81. 

  5. Jee, Y. S., & Goo, C. M. (2007). The Differences of Abilities to Physical Activity, Social Networks,Depression Degrees of Elderly between residing Rural and Urban.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9(2), 425-439. 

  6. Jang, I. S. (2003). A study on self-rel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1), 35-46. 

  7. Joo, K. S., Kim, H. J., Lee, S. H., & Min, H. Y. (1996). A comparativ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9(2), 311-329. 

  8. Kang, Y. S., Kim, E. S., Gu, M. O., & Eun, Y. (2003).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the needs of health-related services of female elderly in an urban-rural combined c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1), 47-57. 

  9. Kim, E. S., Ahn, Y. H., Ko, I. S., Lee, K. O., & Ko, J. S. (2008). Planning and development of guide for medical aid case management service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Yonsei University. 

  10. Kim, E. S., Ahn, Y. H., Song, A, R., Lee, J. Y., Ham, O. K., Seo, Y. O., Kim, J., Lim, S. J., Cho, J. H., Kim, S. O., Song, M. K., & Kim, K. S. (2010). The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medicaid beneficiaries in long-term treatmen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Institute of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11. Kim, E. S., Nam, J. J., Kim, M. Y., Ko, I. S., Lee, D. M., Kim, K. S., Choi, J. S., Park, H. J., Shin, S. M., Lee, S. H., & Yang, I. S. (2007). Long-tern medical service use status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it's improvements. Seou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Institute of Nursing Policy. 

  12. Kim, S. T. (2000). A comparative study on enjoying silver medicare service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13. Lee, H. J., Oh, J. J., & Choi, J. M. (2010). Comparison of Case Management between Tele Care Regions and General Care Regions in Korean Medicaid. 

  14. Lee, J. H., & Song, M. Y. (2004). The study of community-oriented welfare service for the rural elderly: focused on 'villages supported by special programs for the rural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5(3), 149-165. 

  15. Lee, K. A. (2006). A study on the uses of medical benefits service-with a focu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lderly recipients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Unpublished master's these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6. Lee, S. H. (2012).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Daegu.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13-125. 

  17. Lee, Y. J. (2005). Regi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1(3), 3-27. 

  18. Lee, Y. J. (2007). A Study of the factors and the regional difference of Medical aid program recipient's medical utilization. Social Welfare Policy, 28, 233-25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Guideline for medicaid program in 2010. Seoul: Author.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1. Seoul: Author.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medicaid 2010. Seoul: Author. 

  22. Oh, J. J. (2010). Outcome of a pilot project on case management service for medical aid cl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61-70. 

  23. Oh, J. J., Choi, J. M., & Ji, Y. G. (2009). Health services use and health status of medicaid beneficiaries according to medicaid policy change.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Dankook University. 

  24. Rhee, W. H. (2006). Developing a case management strategies program for a Koream medical aid clients. Unpublished docto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5. Shin, Y. A., Shin, H. C., Shin, H. W., Park, E. J., Hong, S. W., Shin, S. M., Lim, S. J., Cho, J. H., Choi, S., & Hwang, D. K. (2008). Health services use and health status of medicaid beneficiaries according to medicaid policy change.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Institute of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26. Shin, Y. S., Choi, B. H., Shin, H. W., Hwang, D. K., & Yoon, S. J. (2005). Medical expenditure status and reforming the reward of medicaid for medicaid beneficiarie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7. Shin, Y. S., Shin, H. W., & Hwang, D. K. (2007).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I.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 Shin, Y. S., Shin, H. W., Hwang, D. K., &, Rho, I. C. (2006). Monitoring for medicaid financial efficienc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 Son, S. R.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30. Sunwoo, D., & Oh, J. S. (2009). Policy issues for maintaining the living activ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49, 64-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