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수급자가 인식한 의료급여 사례관리 이용 경험
Medical Aid Beneficiaries' Experiences of Receiving Medical Aid Case Management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1, 2020년, pp.112 - 124  

조정현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소) ,  송명경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정경인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삼숙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on their experiences of receiving case manage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medical aid beneficiaries who had been receiving medical aid case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ye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수급자들이 자신이 받고 있는 사례관리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의료급여 수급자들은 의료급여 사례관리라는 명칭은 모르고 있었지만 본인이 받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인식을 하고 있었고, 사례관리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잘못된 의료이용행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스스로 의료이용을 관리하게 되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급여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사례관리 이용 경험을 이들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서술적 질적 연구 (exploratory-descriptive qualitative study)이다.
  •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하여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급여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이들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 16명으로부터 확인된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급여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은 3개의 일반 범주, 8개의 하위 범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 최근 정부는 지역사회 주민들이 의료기관이나 시설 등에서 벗어나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며, 개개인의 필요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돌봄 사업인 커뮤니티케어를 도입하여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Lee, 2018). 본 연구의 결과는 소득, 주거, 의료, 돌봄 등의 서비스가 서로 다른 사업부서에 의해 각기 다른 우선순위 설정 기준에 따라 제공되고 있는 현실에 서 대상자 중심의 통합 서비스 제공 형태인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커뮤니티케어 라는 큰 틀 안에서 의료급여 수급자의 특성에 맞는 포괄적 돌봄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급여 사례관리 대상자의 의료 급여 사례관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 하고 설명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질문은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급여 사례관리로 인한 경험은 어떠한가?
  •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례관리는 “질과 비용-효과적인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뮤니케이션과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 필요에 맞는 선택사항과 서비스를 사정, 계획, 시행, 조정, 모니터, 평가하는 협동적 과정”을 의미한다(Mullay, 1998). 의료급여 제도 내에서도 수급권자 삶의 질 향상 및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도입하여 시행해 오고 있으며, 수급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합리적 의료이용을 통하여 수급자의 건강 삶의 질을 높임과 동 시에 의료급여 재정 안정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20-a).
  • 대상자 측면에서 사례관리로 인해 실질적으로 느끼는 변화와 사례관리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지에 대한 발견을 통해 의료 급여 사례관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례관리 경험과 인식을 대상자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급여 사례관리 모형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례관리란?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비용효율적인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측면 및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사례관리 접근법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Choi, Kim, Kim, & Yang, 2007).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례관리는 “질과 비용-효과적인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뮤니케이션과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 필요에 맞는 선택사항과 서비스를 사정, 계획, 시행, 조정, 모니터, 평가하는 협동적 과정”을 의미한다(Mullay, 1998). 의료급여 제도 내에서도 수급권자 삶의 질 향상 및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도입하여 시행해 오고 있으며, 수급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합리적 의료이용을 통하여 수급자의 건강 삶의 질을 높임과 동 시에 의료급여 재정 안정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20-a).
의료급여 사례관리 서비스의 제공 대상자는? 의료급여 사례관리 서비스의 제공은 전국 226개 시 군구에서 총 630여명의 의료급여관리사가 담당하고 있으며(Center for Medicaid in Korea, 2020), 이들 인력은 의료급여 사례관리 도입 당시 채용된 소수의 사회복지사들을 제외하면 모두 간호사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급여 사례관리 지침에 따르면, 의료급여 사례관리 대상자는 신규 수급자, 고위험군, 집중사례관리군, 장기 입원자군의 네 가지 대상군으로 분류되며, 의료급여관 리사 1인당 수급자 300명을 담당하고 있다(MOHW, 2020-b). 의료급여관리사는 방문, 전화, 서신, 자원연계 방법을 통해 수급자를 대상으로 의료급여제도 안내, 의료기관 이용 상담, 건강교육과 상담, 복약지도, 보건 복지 자원과의 연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03년부터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도입하여 시행한 목적은?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례관리는 “질과 비용-효과적인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뮤니케이션과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 필요에 맞는 선택사항과 서비스를 사정, 계획, 시행, 조정, 모니터, 평가하는 협동적 과정”을 의미한다(Mullay, 1998). 의료급여 제도 내에서도 수급권자 삶의 질 향상 및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도입하여 시행해 오고 있으며, 수급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합리적 의료이용을 통하여 수급자의 건강 삶의 질을 높임과 동 시에 의료급여 재정 안정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20-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J., & Choi, Y, K. (2015).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high-risk medicaid beneficiar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430-5441.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430 

  2. Center for Medicaid in Korea. (2020). History of medicaid case management. Retrieved April 08, 2020, from https://www.macmc.or.kr/page.do?pgmidmacm020103 

  3. Choi, A, S., Kim, M, H., Kim, S, O., & Yang, S. J. (2007).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rends about case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2), 252-261. 

  4. Choi, J. M. (2013). A study of health care service utilization and health behavior among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terms of whether to apply a designated doctor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8(1), 5-12. https://doi.org/10.22715/JKARHN.2013.8.1.005 

  5. Cho, J. H., Kim, S. O., Song, M. K., & Yim, E. S.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by geographic loc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89-30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89 

  6. Elo, S., &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7. Hwang, D. K., Lee, S. Y., Woo, J. S., Kim, M. J., Park, K. R., Seo, E. W., et al. (2018).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medical aid case management project. Research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8. Hwang, J. Y., Kim, B., & Kim, K. (2014). A qualitative study on attitude, acceptability, and adaptation for home-delivered meal services in the Korean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context.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9(5), 459-467. http://dx.doi.org/10.5720/kjcn.2014.19.5.459 

  9. Kang, H. J., Oh, Y. S., Baek, H. Y., Ha, S. I., Kim, S. Y., Seo, E. W., et al. (2017). Korea healthcare quality report. Research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0. Kim, J. S., & Lee K, J. (2012). Effectiveness analysis on medicaid case management and its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91(0), 50-59. 

  11. Kim, S. A. (2012).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by medical aid case ma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Kim, S. O., & Cho, J. H. (2015). Trends of research on the case management of medicaid benefici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412-42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412 

  13. Lee, K. A. (2007). A study on the uses of medical benefits service-with a focu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lderly recipients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4. Lee, K. (2018). Health care perspectives on community care.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61(10), 586-589. https://doi.org/10.5124/jkma.2018.61.10.586 

  15. Locke, E. A., & Latham, G. 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a). Guideline for medical aid program in 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b). Manual of medical aid case management in 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Moon, J. Y., & Kim, K. H. (2014). Conceptual approach to the client-centered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for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Budget and Policy, 3(1), 163-207. https://doi.org/10.35525/nabo.2014.3.1.005 

  19. Mullahy, C. M. (1998). Essential readings in case management. 2nd ed.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20. Oh, J. J. (2009). On-the-job experiences of medical aid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84-97. 

  21. Park, E. J., & Kim, C. M. (2008). Case management process identified from experience of nurse case manag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789-801. https://doi.org/10.4040/jkan.2008.38.6.789 

  22. Park, J. Y., & Son, J. T. (2017). Social network,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of high-risk beneficiaries in case management of medicai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4), 421-430.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4.421 

  23. Park, Y. H., & Lee, Y. J. (2017). Qualitative analysis of medical usage patterns of medical aid pati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9), 39-49.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039 

  24.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25. Shin, Y. S., Shin, H. O., & Hwang, D. K. (2008). Medical aid case management and effect analysis II.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6. Shteynberg, G., & Galinsky, A. D. (2011). Implicit coordination: Sharing goals with similar others intensifies goal pursui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6), 1291-1294. https://doi.org/10.1016/j.jesp.2011.04.012 

  27. Sohn, J. I. (2008).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medical aid beneficiaries' live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n Korean health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Song, M. K. (2015). Experience of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medical aid excessive-user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9. Sohn, C. W., & Kim, J. A. (2017). Reality of healthcare utilization and health behaviors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