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2, 2012년, pp.303 - 313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이건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마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Older adults who lived in urban and rural local communities were taken into account. Among them, 396 people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 지각된 건강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이 건강상태에 직접,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한 인과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이 노인의 건강상태에 직접,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는 고독감과 건강상태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고, 고독감은 수면의 질과 건강상태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이 노인의 건강상태에 직접,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조사한 연구로 노인의 사회적지지 상태는 노인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독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의 고독감은 직접적으로 노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노인의 수면의 질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으로도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 물론 고독감 자체가 노인의 건강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이 명백하게 기존연구를 통해서 발표되어지고 있으나 수면을 통한 간접적인 연구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휴식 중 수면의 질 부분을 부각시켜 노인의 건강에 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각 요인 중 일부만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을 뿐 사회적 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이 종합 적으로 어떻게 건강상태와 관련되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고독감 및 사회적 지지, 수면의 질을 설명하고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지역사회노인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고 관련요인을 해결하기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하고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적인 수면의 질 상태로 인해 완화된 노인의 고독감은 무엇에 효과적인가? 이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심리적인 요인의 반영으로(Segrin & Domschke, 2011) 개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관계와 개인욕구의 차이를 실질적으로 줄여주는 중재를 제공한다면 지각된 격리감정 즉, 고독감은 완화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완화된 고독감은 신체적 활동을 강화시키고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경감시켜 노인의 수면을 통한 건강증진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스마트폰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재가 적용되고 있는 점을 활용하여 노인의 수면패턴관련 건강정보를 관리하는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도 노인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본다.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을 약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노인에게 있어 신체적 기능 저하 및 활동의 제한, 노화로 인한 건강문제, 건강증진행위, 심리적 안녕 등은 매우 빈번하게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신체적, 정신· 심리적, 사회적 환경 같은 다양한 요인들은 노인의 건강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회·심리적 요인에 해당되는 사회적 지지의 결여, 고독감, 소외감 등의 문제는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을 약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이기도하다(Segrin & Domschke, 2011; Theeke, 2010). 노인의 건강관리는 질병과 징후에 대한 국소적이며 객관적인 접근보다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의 건강에 전반적으로 영향에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사회·경제적, 의료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노인의 건강 관련 문제들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노인에게 있어 신체적 기능 저하 및 활동의 제한, 노화로 인한 건강문제, 건강증진행위, 심리적 안녕 등은 매우 빈번하게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신체적, 정신· 심리적, 사회적 환경 같은 다양한 요인들은 노인의 건강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회·심리적 요인에 해당되는 사회적 지지의 결여, 고독감, 소외감 등의 문제는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을 약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인이기도하다(Segrin & Domschke, 2011; Theek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urke, K. E., Schnittger, R., O'Dea, B., Buckley, V., Wherton, J. P., & Lawlor, B. A.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in older adult Irish population, Aging & Mental Health, 16(3), 288-295. 

  2. Buysse, D. J., Reynolds, C. F. 3rd.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ic Research, 28, 193-213. 

  3. Cacioppo, J. T., Hawkley, L. C., Crawford, E., Ernst, J. M., Burlwson, M. H., & Kowalewski, R. B. (2002). Loneliness and health: Potential mechanism. Psychosomatic Medicine, 64, 407-417. 

  4. Cornwell, E. Y., & Waite, L. J.(2009). Social discontentedness, perceived isolation,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0, 31-48. 

  5. Drageset, J., Espehaug, B., & Kirkevold, M. (2012). The impact of depression and sense of coherence on emotional and social lonelines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without cognitive impairment-a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18 JAN 2012. 

  6. Eser, I., Khorshid, L., & Cinar, S. (2007). Sleep quality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in Turkey: Enhancing the quality of sleep improves quality of lif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10), 42-49. 

  7. Edell-Gustafsson, U. M., Kritz, E. I., & Bogren, I. K. (2002).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16, 179-187. 

  8. vaz Fragoso, C. A., & Gill, T. M. (2007). Sleep complaints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 A multifactorial geriatric syndrom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 1853-1866. 

  9. Golden, J., Conory, R., Bruce, I., Denihan, A., Greene, E., Kirby, M., & Lawlor, B. (2009). Loneliness, social support network, mood and well-be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694-700. 

  10. Haseli-Mashhadi, N., Dadd, T., Pan, A., Yu, Z., Lin, X., & Franco, O. H. (2009). Sleep quality in middle-aged and elderly Chinese: Distribution, associated factors and associations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BMC Public Health, 9(9), 130. 

  11. Hawkley, L. C., & Cacioppo, J. T. (2003). Loneliness and pathways to disease. Brain, Behavior, and Immunity, 17, S98-S105. 

  12. Hawkley, L. C., & Cacioppo, J. T. (2007). Aging and Loneliness: Downhill quickl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 187-191. 

  13. Hawkley, L. C., Preacher, K. J., & Cacioppo, J. T. (2010). Loneliness impairs daytime functioning but not sleep duration. Health Psychology, 29, 124-129. 

  14. Hawkley, L. C., Thisted, R. A., & Cacioppo, J. T. (2009). Loneliness predicts reduced physical activity: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Health Psychology, 28, 354-363. 

  15. Hwang, M. H. (2000). A model of self are and well-being of elderly.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17. Hur, J. S. (2011). Determinants of loneliness among the users and non-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 101-131. 

  18. Jacobs, J. M., Hammerman-Rozenberg, R., & stressman, J. (2006). Global sleep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The Jerusalem Cohort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 325-329. 

  19. Kim, Y., Seo, S., Kwon, O., & Cho, M. (2012).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 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3), 252-263. 

  20. Kline, R. X.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1. Lee O.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motiv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inal cord inju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2. Russell, D., Peplau, L. A., & Cutrono,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Psychology, 39, 472-480. 

  23. Segrin, C., & Domschke, T. (2011). Social support, loneliness, recuperative processes, and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health. Health Communication, 26, 221-232. 

  24. Sok S. R., & Choi, J. Y. (2010). Factors influencing sleep of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119-126. 

  25.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2), 93-100. 

  26.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ed.). Needham Heights: A Pearson Education Company. 

  27. Theeke, L., A. (2010).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risks for loneliness and outcome differences by loneliness status in a sample of U.S. older adults.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3(2), 113-125. 

  28. Victor, C. R., Scambler, S. J., Bowling, A. N. N., & Bond, J. (2005).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oneliness in later life: 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Ageing & Society, 25(6), 357-375. 

  29. Wilson, R. S., Krueger, K. R., Arnold, S. E., Schneider, J. A., Kelly, J. F., & Barners, L. L. (2007). Loneliness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4, 234-240. 

  30. Won, H. J. (1994). The Effects of Leisure Particip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s Senior Residents on their Lonelines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4(2), 90-104. 

  31. Youn, J. H. (2004). A study on IBS and stress perceived by college woman and their dietary and sleeping q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2. Zimet, G .D., Powell, S. S., Farley, G. K., Werkman, S., & Berkoff, K. A. (1990).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4), 610-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