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Basic Research for Constituting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Topographic Map :Based on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Music Genre 원문보기

조사연구 = Survey research, v.13 no.1, 2012년, pp.61 - 87  

최샛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  이명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국내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주요 문헌과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질문지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과 차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영역과 차원을 고려하여 한국 사회에 보다 적합한 질문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각 분야별 문헌조사와 전문가 조사, 그리고 대상자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장르를 주요 영역으로 선정하고 문화의 '고급/대중' 차원과 '소비/생산' 차원, 그리고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문화자본의 보유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에서 일관성 없이 사용된 문화자본 측정의 세 가지 측면(선호, 참여, 인지)을 통합 보완하여, 각 항목을 좋아하는 정도(선호), 각 항목에 참여하는 정도(참여), 그리고 각 항목이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와 각 항목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를 묻는 질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이로써 그 동안 서구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화자본 논의에 있어서의 비서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fundamental research to form the topographic map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based on large scale research data. Its purpose is to suggest suitable questions for today's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compare with previous data accumulated from other 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특수성을 살필 수 있는 항목들과 더불어 기존의 음악장르들을 보다 세분화하여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국내 연구들의 경우, 한국의 특수한 음악장르라 할 수 있는 트로트나 전통음악 등을 항목에 포함시킬때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준을 따랐는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목을 구성함에 있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표 4>는 본 연구의 음악장르 항목의 구성 근거를 정리한 것이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렇게 구성된 항목들에 대해 ‘선호’, ‘참여/활동’, ‘인지적 경계 ­ 고급스러움의 차원’, ‘인지적 경계 ­ 멋있음의 차원’의 각 측면을 동일하게 묻는 질문을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하고자 했다.
  • 부르디외의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개념은 개념 자체의 다의성과 모호함 때문에 측정 대상으로서의 문화자본에 대한 학자들 간의 합의를 어렵게 하였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화자본은 계급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 이해될 수 있으나, 부르디외가 각 계급이 보유한 문화자본을 구분함에 있어 예술작품과 같은 객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이나 학력과 같은 제도화된 형태의 문화자본뿐만 아니라 문화에 대한 취향, 무의식적인 말투나 행동, 매너 등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까지를 포함시킴으로써, 이후 문화자본을 연구하는 학자들로 하여금 이 같은 문화자본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질문 문항을 제시하기에 앞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대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자본을 측정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되어 온 문화활동의 생산 측면과 문화자본 측정의 네 가지 차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화자본과 관련된 국내 · 외의 광범위한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주요 문헌과 조사들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질문지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과 차원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여기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이로써 그 동안 서구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화자본 논의에 있어서의 비서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집적된 외국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비교사회학적 시각에서의 많은 연구들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 예상된다.
  • 앞서의 1절과 2절을 통해 문화자본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함에 있어 문화예술 활동영역과 음악장르 영역에 관련된 문항들의 세부 항목을 확정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이 절을 통해서는 확정된 문항의 항목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을 측정하고자 하였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 영역으로 선정한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장르들에 대하여 ‘선호’, ‘참여/활동’, ‘인지 ­ 고급스러움의 차원’, 그리고 ‘인지 ­ 멋있음의 차원’이라는 서로 다른 네 가지 측면을 측정하였다.
  •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듯이, 문화의 소비와 생산은 서로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연속선상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에 관한 항목들을 구성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져 온 음악 청취나 공연 관람과 같은 문화의 소비활동 이외에 악기 연주나 노래 부르기와 같은 문화의 생산활동을 추가해 문화자본의 소비와 생산 측면을 균형 있게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구성하고자 한다.
  • 이들 연구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미술(시각예술), 문학, 음악, 연극, 무용이 핵심적인 영역으로 다루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급문화’와 관련된 항목들에 이 핵심영역으로 다루어진 항목들을 포함시켰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광범위한 국내외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주요 문헌 및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검토한 다음,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문항들을 구성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문화자본 연구가 갖는 이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나아가 대규모 양적 자료 집적을 통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에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여기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 이 중에서 2005년 수행된 ‘여성문화향수실태조사’와 ‘2007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에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음악장르를 구분하였으며, 한국 사회의 음악장르 선호를 분석한 후속 연구들은 주로 이 두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역시 두 조사에서 제시한 음악장르 구분에 바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3>은 전술한 조사들에서 구분한 음악장르 항목을 정리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문화자본 연구가 갖는 이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나아가 대규모 양적 자료 집적을 통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에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여기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광범위한 국내외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주요 문헌 및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검토한 다음,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문항들을 구성해 보고자 한다.
  • 문화자본은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고정되어 불변하는 것은 아니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또 특수한 사회적 · 역사적 배경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질문 문항을 제시하기에 앞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대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자본을 측정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되어 온 문화활동의 생산 측면과 문화자본 측정의 네 가지 차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그리고 사회적 · 문화적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되는 현 상황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 중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급문화 향유에 관한 항목들에 대중문화 향유에 관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문화의 고급과 대중의 차원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질문 문항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화자본의 형성이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영역 안에서 각각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문화예술 활동들을 얼마나 선호하고 또 참여하는지뿐만 아니라, 얼마나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지, 한국인들에게 있어 ‘고급문화’로 인지되는 문화적 활동과 대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한국 음악과 서구 음악 사이의 차이점을 반영하지 않은 음악장르 분류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음악장르 분류의 사용은 각 나라의 특성과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중음악 내의 상징적 경계를 살펴보는 데 있어 제약이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대중음악장르 내에서 그려질 수 있는 상징적 경계를 살펴보기 위해 대중음악장르를 한국의 대중음악(가요)과 서구의 대중음악(팝송)의 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같은 구분을 토대로 전술한 세 사이트에 제시된 세부 음악장르들 중 두 개 이상의 사이트에서 제시된 음악장르들을 선별하여 본 연구의 음악장르 항목에 포함시켰다.
  • 물론 이같은 이론적 축의 구성은 구체적인 경험적 자료를 통한 확인절차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이 개발한 두 가지 축과 관련된 척도들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에 대해 추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만약 관련 변수에 대한 상관계수가 높으면 두 축 사이의 관련성이 높은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을 측정하는 문항의 각 항목들을 구성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를 위해 해당 연구들에서 사용된 항목들을 활용하되, 한국적 상황에 맞는 항목들을 적절하게 추가하여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연구에 보다 적합한 항목을 구성해 보고자 한다.
  • 후속 연구자들은 부르디외 연구가 갖는 이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계급과 음악 취향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보다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런데 음악의 경우 다른 문화예술 활동에 비해 종류가 다양하고 범위가 넓어 이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때 많은 연구자들이 취향으로서의 음악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으로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 다양한 음악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표준화한 ‘장르(genre)’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프랑스 사회학자는 누구인가?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그의 독창적인 통찰력과 풍부한 경험적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문화에 대한 취향과 지식, 그리고 개인의 자질 등이 어떻게 계급 재생산에 기여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유럽을 넘어 전 세계의 사회과학계에 문화에 대한 관심을 점화시켰다. 그의 이론은 영향력만큼이나 격렬한 논쟁을 야기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각기 다른 사회 ·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론의 적합성 문제와, 문화자본에 대한 조작화 및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론상의 문제는 이같은 논쟁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쟁점이 되어 왔다.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은 어떤 문제점을 가지는가? 부르디외의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개념은 개념 자체의 다의성과 모호함 때문에 측정 대상으로서의 문화자본에 대한 학자들 간의 합의를 어렵게 하였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화자본은 계급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 이해될 수 있으나, 부르디외가 각 계급이 보유한 문화자본을 구분함에 있어 예술작품과 같은 객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이나 학력과 같은 제도화된 형태의 문화자본뿐만 아니라 문화에 대한 취향, 무의식적인 말투나 행동, 매너 등 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까지를 포함시킴으로써, 이후 문화자본을 연구하는 학자들로 하여금 이 같은 문화자본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하였다.
부르디외의 이론 중 대표적인 쟁점이 된 것들은 무엇인가?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그의 독창적인 통찰력과 풍부한 경험적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문화에 대한 취향과 지식, 그리고 개인의 자질 등이 어떻게 계급 재생산에 기여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유럽을 넘어 전 세계의 사회과학계에 문화에 대한 관심을 점화시켰다. 그의 이론은 영향력만큼이나 격렬한 논쟁을 야기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각기 다른 사회 ·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론의 적합성 문제와, 문화자본에 대한 조작화 및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론상의 문제는 이같은 논쟁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쟁점이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